난 드레스 입을거야 비룡소의 그림동화 182
크리스틴 나우만 빌맹 지음, 이경혜 옮김, 마리안느 바르실롱 그림 / 비룡소 / 200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그림책시렁 247


《난 드레스 입을 거야》

 크리스틴 나우만 빌맹 글

 마리안 바르실롱 그림

 이경혜  옮김

 비룡소

 2007.4.13.



  생각하는 힘이 하루를 이끈다고 느껴요. 생각하는 힘이 없다면 남이 시키는 대로 따라요. 우리는 학교에 가야 배우지 않아요. 어디에서나 배워요. 학교에 오래 다니기에 집에서 밥을 잘 차리고 옷을 잘 챙기고 살림을 잘 건사할까요? 아니랍니다. 학교에서는 밥옷집을 하나도 안 가르쳐요. 학교는 밥옷집을 돈을 들여서 남한테 일감을 맡겨서 누리는 길만 일러 줍니다. 아이들은 스스로 지켜보고 생각하면서 자라요. 아이들은 어버이가 바라보는 곳을 함께 바라보면서 스스로 생각을 보태면서 무럭무럭 큽니다. 《난 드레스 입을 거야》에 나오는 아이는 한겨울에 얇은 꽃치마를 입고 싶어요. 아무렴, 한겨울에도 꽃치마는 아름답습니다. 눈으로 하얗게 덮인 곳에서 알록달록한 꽃치마는 얼마나 눈부실까요. 아이는 어머니가 챙겨 주는 옷을 이리 던지고 저리 차면서 노닥거리는데요, 아직 철이 없기 때문입니다. 왜 그러한가 하면 ‘겨울꽃치마’를 손수 뜨개해서 입으면 되거든요. 추위에 거뜬한 겨울꽃치마를, 겨울꽃장갑을, 겨울꽃갓을 하나씩 손수 뜨면 한결 곱겠지요. 이러면서 어머니도 투박한 겨울옷 아닌 해사한 꽃빔으로 건사하는 길을 헤아려 볼 만합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팔랑팔랑
천유주 글.그림 / 이야기꽃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그림책시렁 250


《팔랑팔랑》

 천유주

 이야기꽃

 2015.3.9.



  어느덧 돌림앓이가 확확 퍼지는 별이 됩니다. 처음에는 조그맣던 부스러기가 차츰 커지면서 뭇사람이 앓는데요, 이런 돌림앓이가 퍼지는 까닭은 쉽게 찾아낼 만해요. 좁은 곳에 지나치게 많구나 싶은 사람들이 몰린데다가 풀도 나무도 없고, 흙도 숲도 밀어내면서 시멘트랑 아스팔트로 닦아세우고, 자동차가 끔찍하다 싶도록 넘치며, 화학약품에 젖은 옷을 입고 밥을 먹으면서, 서로서로 이웃이 되기보다는 밥그릇을 챙기는 길에 서기 때문인걸요. 우리는 어느 하나라도 가볍게 여기면 그만 앓으면서 주검길로 가요. 잘 봐요. 주한미군이 머물던 자리는 아주 망가져서 깨끗이 씻자면 한참 걸린다지요. 군부대가 있던 곳은 하나같이 더러워요. 핵발전소가 있던 자리는 앞으로 어떻게 치워야 할까요? 《팔랑팔랑》은 모든 앙금도 바쁜 일도 내려놓고 나면 우리가 어떤 몸짓이며 마음이 되는가를 들려줍니다. 나비가 날듯, 꽃잎이 바람을 타듯, 우리 숨결도 팔랑팔랑할 적에 부드러우면서 아름답겠지요. 팔랑거리는 눈빛이며 손짓일 적에는 저절로 춤사위가 되겠지요. 서울이 나쁠 수 없습니다. ‘작은 서울’이면서 ‘숲 서울’로 가면 아름답습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린 할머니의 복숭아나무 New 이야기 그림책
탕무니우 지음, 조윤진 옮김 / 보림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그림책시렁 246


《린 할머니의 복숭아나무》

 탕무니우

 조윤진 옮김

 보림

 2019.2.26.



  어린나무 한 그루를 얻어 뒤꼍에 심은 지 예닐곱 해 만인 지난해에 노란꽃 세 송이가 겨울 끝자락에 피었습니다. 올해에는 셀 수 없도록 잔뜩 꽃잔치입니다. 어린나무를 건네준 할머니는 “무슨 영어 이름이라는데 나도 잘 몰라.” 하셨습니다. 꽃집이나 나무집에서 붙인 긴 영어 이름이야 몰라도 되지요. 오늘 우리가 이 나무에 새롭게 이름을 붙이면 되는걸요. 겨울이 저무는 날씨가 아쉬운 하늘은 눈발을 뿌렸고 바람도 휭휭 일으켰습니다. 겨울이라면 이만 한 눈바람이라는 뜻을 온누리에 고루 흩뿌렸어요. 마음으로 하늘에 대고 속삭입니다. ‘그래, 겨울은 언제나 기운차면서 싱그럽고 눈부셨지.’ 《린 할머니의 복숭아나무》에 나오는 할머니는 복숭아나무에서 맺는 꽃을 즐기고, 열매를 사랑합니다. 그리고 할머니한테 찾아오는 크고작은 모든 이웃을 반겨요. 할머니는 어떻게 이 열매도 저 열매도 서글서글 나누어 줄까요? 할머니는 열매를 먹고 싶지 않을까요? 아마 할머니는 나무가 자라는 동안 바라본 잎빛이며 꽃빛으로 언제나 흐뭇했으리라 생각해요. 꽃내음으로도 배부르고 꽃빛으로도 넉넉했겠지요. 자라는 아이를 바라보는 어버이는 모두 가멸지요.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난 공룡을 갖고 싶어
하이어윈 오람 지음, 사토시 키타무라 그림, 정영목 옮김 / 예림당 / 2006년 10월
평점 :
절판


숲노래 그림책

그림책시렁 251


《난 공룡이 갖고 싶어》

 햐윈오람 글

 키타무라 사토시 그림

 정영목 옮김

 예림당

 1994.4.1.



  여기에 별을 갖고 싶은 아이가 있습니다. 아이는 이 별에서 저 먼발치 별을 그리면서 저 별을 우리 집에 놓고서 날마다 더 반짝이도록 닦아 주고 돌보겠노라 다짐합니다. 저 조그맣게 빛나는 별한테 걸맞을 잠자리를 보아주고, 별님한테 노래를 불러 주겠다고 생각합니다. 저 별이 배가 고프다면 밥도 맛나게 지어 주고, 저 별이 심심하다면 주머니에 넣고서 나들이를 같이 다니겠다고 꿈꾸지요. 이러던 어느 날, 먼먼 곳에 있던 별이 아이한테 찾아옵니다. 별이 차츰 가까이 다가올수록 예전에는 그렇게 작아 보이던 별은 매우 커 보였고, 아이가 사는 별이 흔들흔들하며 바람이 멈추지 않고 뜨겁게 달아오르기까지 해요. 《난 공룡이 갖고 싶어》를 읽다가 문득 ‘별을 갖고 싶은 아이’가 떠오릅니다. 우리가 사는 이 별에 떨어진 별똥이란, 어쩌면 ‘별을 갖고 싶은 아이’ 바람대로 다른 먼먼 곳에서 찾아온 별님이지는 않을까요? 공룡하고 놀고 싶다는 아이가 조르는 말에 할아버지는 어떻게 할까요? 어머니하고 아버지는 어떻게 달랠까요? 언니나 동생은, 마을 동무나 이웃은 이 아이한테 어떤 이야기를 들려줄 만할까요? 공룡이며 별을 마음에 품어 봅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색깔이 궁금해 - 잠자기 전에 읽는 색깔 책 자연이 키우는 아이 5
노정임 글, 안경자 그림, 바람하늘지기 기획 / 웃는돌고래 / 201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그림책시렁 248


《색깔이 궁금해》

 노정임 글

 안경자 그림

 웃는돌고래

 2013.9.26.



  “자, 이 풀은 어떤 빛깔인가요?” 하고 물을 적에 “풀은 초록색이지요.” 하고 말하는 분이 제법 있습니다. 이렇게 빛깔말을 읊는 분한테 “물은요? 해는요? 별은요? 꽃은요? 하늘은요? 바다는요? 흙은요? 나무는요?” 하고 잇달아 물어봅니다. 이러고서 “풀은 무슨 빛깔인가요?” 하고 되물어요. 놀라운지 안 놀라운지 모르겠으나 “풀이 풀빛이라는 생각을 해본 적 없어요.” 하고 말하는 분이 꽤 있더군요. 《색깔이 궁금해》를 읽는데 처음부터 끝까지 ‘풀’을 놓고서 ‘풀빛’이라 안 하고 ‘초록’이라 나옵니다. 왜 이런 말을 써야 할까요? ‘초록’이라는 한자말이 ‘풀 초 + 푸를 녹’인 줄을 모를까요? 그러니, 하늘은 “파란 하늘”이고, 들은 “푸른 들판”입니다. 우리는 봉건사대주의였던 조선하고 일제강점기라는 나날에 이어 미국 등쌀이 짙던 해방 뒤를 보내면서 빛깔을 빛깔답게 바라보거나 말하는 숨결을 크게 잊거나 잃었습니다. 이제라도 온누리 곳곳을 제빛으로 마주하면 좋겠어요. 덧씌우거나 덧입히지 말고, 수수한 빛살이며 빛결을 헤아리기를 바라요. 빛깔을 담은 연필이라면 ‘빛연필’이겠지요.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