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행이야
강미야 지음 / 학교앞거북이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3.11.11.

그림책시렁 1306


《다행이야》

 강미야

 학교앞거북이

 2023.9.1.



  어린이는 대단합니다. 어버이나 어른이 어린이를 돌보는 살림일 텐데, 어린이는 저보다 작은 뭇숨결을 돌보거나 아끼거나 품으려는 마음을 펴요. 어린이는 달팽이를 돌보고 싶습니다. 어린이는 개미에 거미를 보살피고 싶습니다. 어린이는 사마귀에 메뚜기에 잠자리를 풀어놓고 싶습니다. 어린이는 길고양이에 길개도 데려와서 품고 싶어요. 이 상냥하며 따사로운 마음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어진 사람인 어른다울까요? 이 곱고 착한 마음씨를 어떻게 쓰다듬을 줄 알 적에 어버이라고 여길 만할까요? 《다행이야》는 버림개(유기견)를 품는 줄거리를 들려줍니다. 오늘날에는 집에 개나 고양이를 품는 분이 많아요. 워낙 사람하고 안 살던 개나 고양이인 터라, 또 개나 고양이하고 함께 살더라도 집안으로 안 들이고서 마당에서 따로 살도록 ‘개집’을 놓고 ‘고양이 둥지’를 놓았는데, 요새는 ‘마당 없는 잿집(아파트)’에서 다들 살아가다 보니, 이를테면 ‘뒤가림(배변훈련)’을 시킵니다. 요샛사람은 개나 고양이가 뒤가림을 마땅히 해야 한다고 여기지만, 개나 고양이로서는 몹시 버거워요. 개도 고양이도 흙땅과 풀숲에서 조용히 뒤를 보던 숨결이거든요. ‘품기’만으로는 ‘함께살기’이지 않습니다. 우리는 어떤 집에 어떤 마을을 이루는가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둠 속에 혼자서 생각하는 분홍고래 21
콘스탄체 외르벡 닐센 지음, 외위빈 토르세테르 그림, 정철우 옮김 / 분홍고래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3.11.11.

그림책시렁 1307


《어둠 속에 혼자서》

 콘스탄체 외르벡 닐센 글

 외위빈 토르세테르 그림

 정철우 옮김

 분홍고래

 2022.3.22.



  어느 곳에서든, 어린이 곁에 어른이 있던 나날입니다. 어느 마을에서건, 어른이라면 어질게 어린이를 품고 돌보던 살림입니다. 나라(정부)가 있기 앞서까지 누구나 스스로 보금자리를 일구어 오순도순 집안을 일구면서 마을살이가 조촐했습니다. 나라가 선 뒤로 숱한 사내는 나라지기 곁으로 모여서 싸울아비 노릇을 했고, 어느새 온누리 어디나 어린이가 마음껏 뛰놀 터전이 줄어듭니다. 이제 어린이는 집하고 배움터(학교·학원) 사이를 쇳덩이(자동차·버스)에 실려 오가는 얼거리입니다. 호젓하게 골목이나 마을에서 뛰노는 아이가 감쪽같이 사라집니다. 잿더미(아파트 단지)에 조그맣게 세운 놀이터 바깥을 벗어날 수 없는 아이들이에요. 《어둠 속에 혼자서》는 아이가 ‘오름틀(승강기)’에 갇히면서 힘든 한때를 보내는 줄거리를 들려줍니다. 오름틀이 갑자기 멎는 바람에 아이는 깜짝 놀라고 무섭지만, 씩씩하게 견딘다지요. 곰곰이 보면 온누리 모든 아이들은 ‘집과 배움터 사이에 갇힌 사슬’에서도 씩씩하게 버팁니다. 마음이 까맣게 타들지만 좀처럼 속내를 털어놓지 못 하면서 맴돌이를 합니다. 새카맣게 타버린 아이들 마음을 누가 들여다볼까요? 우리는 언제쯤 마당이며 마을에서 쇳덩이(자동차)를 치울까요? 이 사슬을 누가 풀까요?


ㅅㄴㄹ


+


갑자기 깜깜해졌어요

→ 갑자기 깜깜해요

1


아이는 어둠 속에 혼자 있어요

→ 아이는 어둔 곳에 혼자 있어요

1


이미 집에 도착했어야 해요

→ 이미 집에 있어야 해요

→ 집에 일찍 닿아야 해요

11


아이가 어둠을 무서워하는 걸 알아요

→ 아이가 어두우면 무서운 줄 알아요

16


정적만 흐를 뿐이에요

→ 고요하기만 해요

→ 아뭇소리가 없어요

22


물의 흐름만 조심하면 괜찮아

→ 물흐름만 살피면 돼

→ 물줄기만 헤아리면 돼

35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빼앗긴 사람들 지양어린이의 세계 명작 그림책 50
아민 그레더 지음, 윤지원 옮김 / 지양어린이 / 2018년 2월
평점 :
품절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3.11.5.

그림책시렁 1304


《빼앗긴 사람들》

 아민 그레더

 윤지원 옮김

 지양어린이

 2018.2.5.



  낯설기에 남입니다. 내(나)가 아닌 떠돌이를 나그네라고 합니다. 한우리에 깃들어도 다 다른 나인 남이 모여요. 한우리 바깥이어도 나 아닌 남이요, 둘은 서로 다투거나 싸워야 할 까닭이 없어요. 들을 봐요. 어느 풀꽃도 안 싸웁니다. 다 다른 풀꽃은 뿌리를 서로 얽으며 흙을 단단히 쥡니다. 조그맣고 여린 풀꽃이지만, 뿌리를 서로 얽기에 어떤 돌개바람이나 회오리바람이 쳐도 흙을 붙잡고서 들이 푸르게 잇는 밑바탕을 이룹니다. 또한 풀꽃은 저마다 다른 철과 날에 줄기를 올려 꽃을 피우지요. 《빼앗긴 사람들》은 팔레스타인하고 이스라엘이 얽힌 기나긴 삶 가운데 요 온해(100년) 사이를 들려줍니다. ‘더 옛날부터 살던’ 사람을 따진다면, 그곳은 팔레스타인 사람들만 살아야 맞습니다. ‘더 오랫동안 살던’ 사람을 살핀다면, 거기는 팔레스타인 터전이 맞습니다. 함께 살아갈 ‘두 겨레 한 나라’를 일굴 만했으나, 총칼을 쥔 이들은 힘으로 짓밟았어요. 다만, 어느 쪽에서 우격다짐으로 마구 죽이고 거꾸러뜨린대서 똑같은 짓을 한다면 그만 불수렁에 갇혀요. 지난날 윤봉길 님이나 안중근 님은 ‘싸울아비·우두머리’만 노렸습니다. 힘(권력)을 거머쥔 이들은 순이돌이(평민)를 허수아비로 몰아세웁니다. 우리는 나인가요 남인가요?


#GliStranieri #ArminGreder

이방인 낯선 남


+


《빼앗긴 사람들》(아민 그레더/윤지원 옮김, 지양어린이, 2018)


살아온 이야기를 잊지 않기 위해서

→ 살아온 이야기를 잊지 않으려고

→ 살아온 이야기를 잊지 않도록

→ 살아온 이야기를 잊지 않게끔

3


몰아치는 폭풍을 뚫고 한 무리의 낯선 사람들이 찾아왔어요

→ 몰아치는 바람을 뚫고 낯선 사람들이 찾아왔어요

→ 돌개바람을 뚫고 낯선 무리가 찾아왔어요

4


먼 옛날 이곳은 우리의 땅이었소

→ 먼 옛날 이곳은 우리 땅이었소

9


이리저리 떠돌면서 고생을 많이 했소

→ 이리저리 떠돌면서 힘들었소

→ 이리저리 떠돌면서 고단했소

9


이 땅에서 편히 살고 싶소

→ 이 땅에서 고이 살고 싶소

→ 이 땅서 아늑히 살고 싶소

9


낯선 사람들은 먼저 묘지를 만들고 신께 무릎 꿇고 기도했어요

→ 낯선 사람들은 먼저 무덤을 파고 님한테 무릎 끓고 빌어요

→ 낯선 사람들은 무덤부터 세우고 님한테 무릎 끓고 비손해요

12


대대로 이 땅에서 살았던 많은 사람들이 죽고

→ 예부터 이 땅에서 살던 숱한 사람들이 죽고

→ 두고두고 이 땅에서 살던 사람들이 잔뜩 죽고

13


땅을 차지한 사람들은 점점 잘살게 됐어요

→ 땅을 차지한 사람들은 차츰 잘살아요

14


잘살게 되면서 사람 수도 늘어났어요

→ 잘살면서 사람도 늘어나요

15


건물을 더 많이 짓는 것은 당연한 일 아니겠소

→ 집을 더 많이 지어야 하지 않겠소

→ 집을 더 지을 수밖에 없지 않겠소

15


쫓겨난 사람들은 항의했지만, 아무도 들어주지 않았어요

→ 쫓겨난 사람들은 따졌지만, 아무도 들어주지 않았어요

16


이 담장은 우리를 지키기 위한 것입니다

→ 이 담은 우리를 지켜줍니다

→ 이 담벼락은 우리를 지킵니다

23


담장은 점점 높아졌어요

→ 담을 더 높이 쌓아요

→ 담벼락을 더 올려요

24


지금의 담장도 언젠가 사라진다는 것을

→ 이 담벼락도 언젠가 사라지는 줄

30


저들도 그 사실을 곧 알게 되리라는 것을

→ 저들도 곧 안다고

30


사랑의 꽃을 증오의 불꽃으로 바꿔 버리는 마술을 부려 왔습니다

→ 사랑꽃을 미움불꽃으로 바꿔 버리는 짓을 부려 왔습니다

31


너와 나를 편가르고, 선과 악의 굴레를 덧씌워 미움과 전쟁으로 몰고가는, 그들은 과연 누구일까요

→ 너와 나를 가르고, 착하고 나쁘다는 굴레를 덧씌워 미움과 싸움으로 몰고가는, 그들은 누구일까요

31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국기따라 세계여행
와라베 기미카 글.그림 / 베틀북 / 2010년 2월
평점 :
품절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3.11.5.

그림책시렁 1303


《국기 따라 세계여행》

 와라베 기미카

 편집부 옮김

 베틀북

 2010.2.22.



  어린이는 알고 싶어서 태어납니다. 하나하나 알아가면서 어른으로 새롭게 섭니다. 두고두고 품어서 알아본 여러 가지를 이제 물려주어야겠구나 하고 느낄 즈음, 마음이 맞는 짝을 만나서 새롭게 아기를 낳고, 새롭게 이 땅에 찾아온 숨결이 스스로 하나씩 알아가도록 보금자리를 가꿉니다. 《국기 따라 세계여행》은 푸른별이라는 하나인 터전에서 저마다 다르게 태어나서 살림을 짓는 숱한 나라에서 어떤 이야기가 어떤 나래(국기)에 스몄나 하고 들려줍니다. 어린이는 나라나래(국기)에는 아예 마음을 안 씁니다. 굳이 서로 갈라야 할 까닭을 안 느끼거든요. 이러던 어느 날 어른 사이에서는 나라도 가르고 고을도 가르고 마을도 가르는 줄 알아차립니다. 곰곰이 생각해 볼 수 있을까요? ‘나라’가 아닐 적에는 울타리도 담벼락도 없이 모든 사람이 홀가분하게 오가고 만났어요. ‘나라’가 선 뒤부터 낛(세금)을 거두려고 울타리에 담벼락을 두르면서 사람들이 오붓이 못 만나도록 가로막습니다. ‘나래’란, 서로 마음으로 가벼이 날면서 만난다는 뜻이어야 할 텐데, 저마다 힘(전쟁무기)을 앞세워 쳐들어가는 짓을 일삼았어요. 푸른별(지구)에는 아무런 나래가 없어요. 나래란, 줄무늬나 빛깔무늬가 아닌, 오롯이 사랑 하나일 뿐입니다.


#わらべきみか 

#せかいのこっきえほん #スキンシップ?本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언제 어디서나 자연미술놀이 개똥이네 책방 44
오치근.박나리 지음 / 보리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3.11.1.

그림책시렁 1289


《언제 어디서나 자연미술놀이》

 오치근·박나리

 보리

 2020.6.15.



  우리 집은 불꽃놀이를 안 보러 갑니다. 이따금 고흥에서도 불꽃잔치를 하는 듯싶으나, 참 덧없는 곳에 매캐하게 돈을 날린다고 느낍니다. 밤에는 불꽃이 아니라 별을 볼 노릇이거든요. 우리 스스로 별빛을 잊고서 밤노래를 잃기에 별하늘을 바라볼 틈을 안 내고서 불꽃잔치에 허벌나게 돈을 쓰면서 불냄새를 퍼뜨리겠지요. 《언제 어디서나 자연미술놀이》를 곰곰이 읽었습니다. 어렵게 ‘자연미술’이란 이름을 붙였습니다만, 어린이 곁에 서는 말씨로 손보자면 ‘숲그림’이나 ‘푸른그림·풀빛그림’입니다. 그런데 가만히 보자니 요새 어린이는 숲하고 동떨어졌어요. 서울(도시) 어린이는 서울대로 숲이 없고, 시골 어린이는 시골대로 풀죽임물(농약)이 범벅인 곳에서 손전화를 들여다봅니다. 숲을 모르는 채, 들을 등진 채, 바다하고 떨어진 채, 멧골을 안 보면서, 이 아이들이 쳐다보는 손전화에 어떤 숲빛이 흐른다고 할 만할까요? 하늘을 맴돌며 사냥감을 찾는 매를 두 눈으로 볼 수 없는 터전이라면, 딱따구리가 나무를 쪼는 소릿가락으로 겨울빛을 알리는 하루를 누릴 수 없는 배움터라면, 어떤 숲그림을 펴면서 오늘을 노래할 만하려나 모르겠습니다. 그래도 이렇게 어린이하고 노는 하루를 담은 책이 있으니 앞으로 바꿀 수 있으려나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