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가사리 체조 탄탄 과학아 놀자
오치 노리코 지음, 사와다 도시키 그림 / 여원미디어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3.12.19.

그림책시렁 1319


《불가사리 체조》

 오치 노리코 글

 사와다 도시키 그림

 박숙경 옮김

 여원미디어

 2013.



  바닷속에 잠기면 포근합니다. 바닷속에서 가만히 눈을 뜨면 “하늘을 난다”가 이런 뜻이로구나 하고 온몸으로 깨닫습니다. 바다에서는 어느 헤엄이도 이곳을 ‘물밭’으로 여기지 않습니다. 그저 왼오른에 위밑옆을 홀가분하게 날아다니는 몸짓입니다. 헤엄이는 사람이란 녀석을 보면 “쟨 뭔데 저렇게 느리고 허둥거린담?” 하고 여길 만합니다. “쟤네는 얼마 놀지도 못 하면서 얼른 달아나네?” 하고도 여길 만합니다. 생각해 봐요. 민물에서도 바닷물에서도 헤엄이는 언제나 그곳에서 살아갑니다. 그러나 사람은 바닷속에서 1분조차 잘 버티지 못 합니다. 《불가사리 체조》를 한참 읽었습니다. 뭍으로 나오면 좀처럼 못 움직이는 불가사리일 테지만, 바닷속에서는 슬금슬금 살랑살랑 춤을 추듯 흐르는 불가사리입니다. 사람은 뭍에서 어떤 몸짓일까요? 서로 포근하게 품을 줄 아는 몸짓인가요? 이 별에서 사랑이라는 씨앗을 심어서 포근한 마음시로 하루를 짓는 매무새인가요? 온누리를 보면 불가사리도 헤엄이도 푸나무도 숲짐승도 풀벌레도 새가 벌나비도 암수가 사이좋습니다. 사람은 순이돌이가 얼마나 서로 사랑으로 품거나 달래는 살림길일까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작은 의자
길지연 옮김, 스즈키 마모루 그림, 다케시타 후미코 글 / 홍진P&M / 2007년 8월
평점 :
절판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3.12.17.

그림책시렁 1325


《작은 의자》

 다케시타 후미코 글

 스즈키 마모루 그림

 길지연 옮김

 홍진P&M

 2007.8.30.



  우리 곁에 있는 모든 살림살이한테는 마음이 있습니다. 걸상, 젓가락, 그릇, 신, 바지한테도 마음이 있어요. 우리 집안 살림살이를 함부로 다루거나 굴리거나 밟으면, 다들 아프고 괴롭고 눈물에 젖습니다. 곱게 다루거나 돌보면서 아낄 적에는 다들 웃고 노래하고 깔깔깔 수다잔치예요. 사람한테만 마음이 있지 않아요. 돌과 모래뿐 아니라, 비 한 방울과 바람 한 자락에도 마음이 있어요. 나뭇잎이며 가랑잎한테도 마음이 있고요. 들풀을 마구 뽑거나 풀죽음물을 함부로 뿌리면 다들 숨막히고 고단한 나머지 끙끙거리다가 죽어갑니다. 《작은 의자》는 조그마한 걸상이 태어나고서 살아가는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처음에는 들에서 우람하게 자라면서 숲동무한테 그늘이랑 푸른바람을 베푸는 나무였고, 어느 날 어느 할아버지 손을 거쳐서 ‘어린이하고 동무할 걸상’이라는 새몸을 입습니다. 어른은 못 앉고, 오직 아이만 앉는 걸상입니다. 아이가 앉아서 날개로 삼고, 아이가 부둥켜안으면서 마음을 달래고, 아이가 소근소근 말을 걸면서 꿈을 키우는 작은 걸상이에요. 어릴 적에 사랑받지 못 한 채 태어나는 아기란 없습니다. 우리 스스로 사랑을 잊을 뿐입니다. 작은 새가 내려앉는 작은 걸상처럼, 작은 어른 눈빛이 온누리를 살립니다.


#竹下文子 #鈴木まもる #ちいさいいすのはなし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달에 우유 가지러 간 고양이
알프레드 스메드베르이 원작, 히시키 아키라코 지음, 김숙 옮김, 다루이시 마코 그림 / 북뱅크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3.12.14.

그림책시렁 1298


《달에 우유 가지러 간 고양이》

 하시키 아키라코 글

 다루이시 마코 그림

 김숙 옮김

 북뱅크

 2010.5.5.



  사람들이 으레 잊는데 ‘달빛은 없다’입니다. 얼핏 있는 척하지만 막상 없는 빛이 달빛입니다. 달빛이란 허울입니다. 달바라기를 하면서 멍하니 있을 적에는 우리 기운을 달한테 빼앗긴다고 여길 만합니다. 바라보려면 별바라기를 해야지요. 별을 볼 적에는 아무 기운을 안 빼앗겨요. 오히려 별바라기를 하는 사람은 별한테서 새빛을 받아들입니다. 《달에 우유 가지러 간 고양이》는 새끼 고양이를 돌보고픈 어미 고양이 하루를 들려주는 듯한데, 고개를 자꾸자꾸 갸우뚱했습니다. 어미 고양이는 수고양이인가요? 암고양이라면 스스로 젖을 물릴 노릇입니다. 사람 아기도 고양이 새끼도 어미젖을 물어야 튼튼히 자랍니다. 암고양이 없이 수고양이만 있다면, 이때에는 소젖을 얻으려 할 수 있겠지요. 모름지기 고양이는 사람 손길을 굳이 안 타면서 스스로 의젓하게 들살림을 하는 이웃입니다. 개한테는 목줄을 하되, 고양이한테는 목줄을 안 하는 뜻을 잊지 않기를 바라요. 좁다란 집에 가두면 고양이는 미쳐버리게 마련입니다. 낮에는 풀내음 그윽한 곳에서 해바라기를 즐기고, 밤에는 별빛이 고즈넉한 데에서 밤노래를 누리는 고양이 살림길입니다. 고양이를 무턱대고 이쁘게만 그리려 하지 말고, 별이 무엇이고 들살이가 무엇인지부터 보기를 바라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가 함께 있을게 웅진 세계그림책 120
볼프 에를브루흐 글 그림, 김경연 옮김 / 웅진주니어 / 200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3.12.14.

그림책시렁 1324


《내가 함께 있을게》

 볼프 에를브루흐

 김경연 옮김

 웅진주니어

 2007.10.31.



  열여섯 살 아이가 여덟 살이던 무렵에 《내가 함께 있을게》를 함께 읽은 적이 있습니다. 그즈음 아이는 이 그림책이 어렵다고 얘기했습니다. 열여섯 살에 이르러 다시 읽고 싶다고 하기에 스스럼없이 챙겨서 건네었습니다. ‘테리 프래쳇’ 님이 쓴 《디스크 월드》를 읽고서 ‘죽음’을 다룬 그림책을 새로 살피고 싶다고 하더군요. 《내가 함께 있을게》를 차근차근 되읽은 아이는 굳이 안 읽어도 되었다면서 쓸쓸히 웃습니다. 왜 그러냐 물으니, 이 그림책은 죽음도 삶도 제대로 못 다루거나 안 다뤘다고 얘기합니다. 그래요, 어느 모로 보면 그렇습니다. 무엇보다도 책이름부터 잘못 옮겼습니다. 독일말로는 “오리, 죽음, 봉긋꽃(Ente Tod und Tulpe)”으로 나왔는데, 왜 뜬금없이 바꿨을까요? 책이름만 바뀌었을까요? 몸글도 잘못 옮긴 데가 있지 않을까요? 삶이 좋거나 죽음이 나쁘지 않습니다. 우리 넋한테는 죽음이 없습니다. 우리 몸한테만 헌옷과 새옷이 있습니다. 풀줄기한테서 얻은 실로 짠 옷은 닳으면 흙으로 돌아가 새롭게 풀로 자랍니다. 그러면 새 풀줄기한테서 새 실을 얻어 새옷을 짓지요. 몸도 이와 같아요. 넋은 옷처럼 몸을 갈아입습니다. 이 그림책은 ‘봉긋꽃을 든 죽음’이라는 대목을 제대로 안 짚으면 샛길에서 헤맵니다.


ㅅㄴㄹ


#EnteTodundTulpe #WolfErlbruch


+


《내가 함께 있을게》(볼프 에를브루흐/김경연 옮김, 웅진주니어, 2007)


얼마 전부터 오리는 느낌이 이상했습니다

→ 오리는 얼마 앞서부터 야릇했습니다

→ 오리는 요사이에 꺼림했습니다

→ 오리는 요즈음 뭔가 느꼈습니다

4쪽


대체 누구야? 왜 내 뒤를 슬그머니 따라다니는 거야?

→ 누구야? 왜 내 뒤를 슬그머니 따라다녀?

4쪽


지금 나를 데리러 온 거야?

→ 오늘 나를 데리러 왔어?

→ 이제 나를 데리러 왔니?

6쪽


나는 네 곁에 있었어. 만일을 대비해서

→ 나는 네 곁에 있어. 기다리면서

→ 나는 네 곁에 있어. 지켜보면서

7쪽


독감에 걸린다거나 사고가 난다거나

→ 고뿔에 걸린다거나 다친다거나

8쪽


죽음만 아니라면 괜찮은 친구였습니다

→ 죽음만 아니라면 반가운 동무입니다

→ 죽음만 아니라면 서로 즐겁습니다

10쪽


아무도 죽음에게 그런 제안을 해 준 적이 없었습니다

→ 아무도 죽음한테 이런 말을 한 적이 없습니다

→ 아무도 죽음한테 이렇게 얘기한 적이 없습니다

17쪽


나무 위에 있으니 괴상한 생각만 든다

→ 나무에 오르니 얄궂은 생각만 든다

26쪽


아주 조용히 누워 있었습니다

→ 아주 조용히 누웠습니다

30쪽


하지만 그것이 삶이었습니다

→ 그런데 삶은 이렇습니다

→ 그러나 삶이란 이런걸요

34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01마리 올챙이
가코 사토시 글.그림, 정은지 옮김 / 내인생의책 / 2011년 7월
평점 :
품절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3.12.14.

그림책시렁 1323


《101마리 올챙이》

 가코 사토시

 정은지 옮김

 내인생의책

 2011.7.22.



  작은못도 큰못도 저마다 다른 누리입니다. 작은별도 큰별도 다 다른 삶터입니다. 작은집도 큰집도, 또 작은마을도 큰마을도 서로 사랑을 나눌 적에 아름다운 터전입니다. 어버이는 어질게 살림을 펴면서 아이를 보살피는 길을 배웁니다. 아이는 어버이 곁에서 신나게 노는 동안 이 하루를 새롭게 맞아들이고 기뻐서 노래합니다. 《101마리 올챙이》는 어미 개구리가 아이 올챙이랑 함께 못물살림을 하면서 부닥치는 하루를 들려줍니다. 못물이나 논이나 냇물에서 보면, 올챙이는 스스로 가싯길을 헤쳐나가고, 서로 뭉쳐서 씩씩하게 하루를 열게 마련입니다만, 먼먼 옛날부터 숱한 목숨붙이가 어디에서나 어우러지면서 한살림을 이었어요. 우리는 뭇이웃을 눈여겨볼 수 있을까요? 우리는 사람만 살아갈 셈인가요? 우리는 이 별이 사랑으로 반짝이는 보금자리를 이루도록 마음을 기울일 수 있을까요? 그림결은 살갑고 물빛은 싱그럽습니다. 다만 자꾸 어미 개구리를 ‘아이를 나무라는 어버이’처럼 그리는 대목은 아쉽습니다. “놔두고 가버릴 거야!” 같은 말은 조금도 어른스럽지 않거든요. ‘무찌른다’고 읊는 대목도 아쉽습니다. 들은 들로, 숲은 숲으로, 풀밭은 풀밭으로, 못은 못으로, 이 별은 이 별대로 고스란히 담기만 하면 됩니다.


ㅅㄴㄹ


#おたまじゃくしの101ちゃん #加古里子


+


자꾸 한눈팔면 놔두고 가버릴 거야

→ 자꾸 한눈팔면 놔두고 갈게

→ 자꾸 한눈팔면 놔두고 가야겠어

4


나란히 줄을 서 보자. 준비됐니?

→ 나란히 줄을 서 보자. 됐니?

→ 나란히 줄을 서 보자. 다 됐니?

7


도대체 어딜 간 거니?

→ 아니 어딜 갔니?

8


여기서 동그라미 만들기 놀이를 했는데

→ 여기서 동그라미를 그리며 놀았는데

10


이 저수지는 우리 조상 대대로 살던 곳이라고

→ 이 못은 우리 옛어른이 내내 살던 곳이라고

→ 이 못물에서 우리 옛님이 길이길이 살았다고

18


상대는 난폭한 녀석이니까 다 같이 힘을 모아야 해

→ 저놈은 사나우니까 다 같이 힘을 모아야 해

→ 저 녀석은 날뛰니까 다 같이 힘을 모아야 해

20


백한 번째의 말을 듣고는

→ 온한째 말을 듣고는

→ 온한째가 말을 하자

20


저수지는 다시 조용해졌어요

→ 못은 다시 조용합니다

→ 못물을 다시 조용해요

30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