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2021.10.25.

숨은책 561


《現行朝鮮語法》

 鄭國采 글

 宮田一志 펴냄

 宮田大光堂 1926.12.25.



  1917년에 한힌샘 님이 편 ‘한글모죽보기’를 550사람 즈음 들었고, 이때 함께 들은 정국채 씨는 1926년에 《現行朝鮮語法》을 일본글로 써내는데, “전라남도 광주 금계1리 133번지”에 살면서 썼고, “光州 弓町六五番地”에 있는, 일본사람이 꾸리는 출판사에서 펴냅니다. 책 앞자락에는 조선총독부 학무국장(李軫鎬)이 ‘訓民八週丙寅’란 글씨를, 전라남도지사(石鎭衡)가 ‘言海指針’란 글씨를 남겨요. 첫머리는 조선총독부 ‘視學官’이라는 현헌(玄櫶)이라는 사람이 쓰는데, 이때 ‘시학관’은 오늘날 ‘교육감’입니다. 현헌 씨는 경성고등보통학교·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교유(敎諭)를 하다가 1921년부터 조선총독부 시학관을 맡는데, 이이 아들 현영섭(창씨개명 天野道夫아마노 미치오)은 “내선일체를 위해선 조선말을 완전히 없애버려야 한다”고 외쳤다지요. 어떤 이는 홀로서기(독립)를 꿈꾸며 한글을 익히고, 어떤 이는 일본바라기(친일부역·내선일체)를 꾀하려고 조선글을 일본사람한테 가르칩니다. 그나저나 《現行朝鮮語法》은 ‘カケハシ書店’에서 팔린 자국이 있어요. “山口市 下立小路(혼슈 야마구치시 오리타테에おりたてえ)”에 있던 작은 책집이라는데, 조선사람이 사서 읽었습니다. 글 하나를 놓고 다 다른 삶과 길입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2021.10.23.

숨은책 557


《物質觀の歷史, 化學史の中心として》

 スヴェドベリ-

 田中 實 옮김

 白水社

 1941.1.17.첫./1952.12.25.넉벌.



  열린책숲(공공도서관)에서 새책을 들일 적에 마을책집한테 맡기곤 합니다. 서로 이바지하는 길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들인 책을 열 해·스무 해 뒤에는, 또 서른 해·마흔 해 뒤에는 어떻게 할까요? ‘도서관·십진분류법’을 비롯해서 온갖 말씨는 일본사람이 한자로 지었습니다. ‘수서(收書)’도 일본 한자말 가운데 하나예요. 책을 들이거나 맞추거나 차리는 일이라면 우리말로 ‘책들임·책맞춤·책차림’으로 옮길 만합니다. 책을 가를 적에는 ‘책가름·책갈래’로 옮길 만하고요. 《物質觀の歷史, 化學史の中心として》는 “국민대학교 도서관”에 “1961.6.13. 8314” 같은 글씨가 적힌 채 들어왔다가 2020년 무렵 버린 책입니다. 빌린이가 아무도 없이 예순 해를 살다가 책숲(도서관)을 떠나야 했는데, 문득 살피니, “外國圖書, 株式會社 文耕書林. 서울 忠武路 八口. 電話 2.8855番. 賣上카-드 No.3575 ¥280”라 적힌 쪽종이가 그대로 있습니다. 국민대 도서관에서 이 쪽종이를 떼어냈다면 1961년에 어느 마을책집에서 책을 사들였는지 안 남았을 테지만, 이 쪽종이가 남아서 서울 충무로에 있던 〈문경서림〉 자취를 읽고, 책들임 흐름을 살핍니다. 줄거리뿐 아니라 손자취로 함께 읽는 책입니다. 모든 자취에는 우리 삶이 깃듭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2021.10.23.

숨은책 560


이 좋은 세상에

 김남주 글

 한길사

 1992.3.25.



  푸른배움터 여섯 해(1988∼1993년)를 돌아보면, 길잡이(교사)는 가위를 챙기고 다니며 머리카락을 재서 잘랐습니다. 이들은 한 손에 몽둥이를 쥐고 다니며 팼습니다. 총칼로 짓밟은 일본이 다스리는 나라도 아닌데 “조선놈은 맞아야 한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배움터에서 몽둥이는 사라졌을까요? 얼핏 사라진 듯 보이지만 참말 사라졌을까요? 작대기·골프채·야구방망이는 치웠어도 셈겨룸(시험)이라는 숨은 몽둥이는 고스란합니다. 1992년에 《이 좋은 세상에》가 나왔다지만, 나온 줄 몰랐습니다. 1994년 2월에 김남주 님이 숨을 거두었다지만, 이때에도 몰랐습니다. “이 좋은 세상에”라는 이름을 붙여 노래를 부른 넋을 돌아봅니다. 1990년대에서 서른 해가 지난 2020년대는 “얼마나 좋은 나라”일까 하고 생각합니다. 누구나 홀가분히 목소리를 낼 수 있나 하고 살피면 아닌 듯합니다. 누구나 꿈을 키우고 사랑을 속삭이는가 하고 헤아리면 아닌 듯합니다. ‘우주개발’을 한다며 전남 고흥 끝자락 나로섬에서 펑펑 쏘아대지만, 정작 고흥 같은 시골은 빠르게 늙고 어린이·젊은이는 빠르게 떠납니다. 제주 헌책집 〈동림당〉에서 김남주 님 손글이 깃든 책을 만났어요. 살살 쓰다듬습니다. 어린이한테 아름다운 나라로 가는 길을 그려 봅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2021.10.12.

숨은책 556


《THE NATURE HOUR, Sixth Year·Autumn and winter》

 Lucille Nicol·Samuel M.Levenson·Teressa Kahn 글

 Silver Burdett and com

 1935.



  먼 옛날에는 누구나 ‘사람’이란 이름이었을 텐데, 어느 무렵부터 ‘벼슬’이나 ‘감투’란 이름으로 갈린 자리가 생기고 ‘임금’이란 이름으로 높이는 자리가 불거집니다. 그저 사람일 적에는 나란하게 나아가는 길인 어깨동무였다면, ‘벼슬·감투·임금’으로 가르고 ‘나리’로 올라서는 쪽이 나타나면서 말씨가 확 갈렸구나 싶어요. 힘자리에 선 쪽에서는 밑자리를 이루는 쪽하고 다르게 말하려고 애썼습니다. 우리나라는 이웃나라에서 쓰는 한문을 받아들여 힘자리 힘말로 삼아요. 밑자리에서 살아가는 사람은 ‘벼슬·감투·임금’이 옆나라 말씨로 생각을 펴든 말든 수수하게 삶·살림·사랑을 지으면서 삶말·살림말·사랑말을 나눕니다.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는 길에 《THE NATURE HOUR, Sixth Year·Autumn and winter》 같은 책을 틈나는 대로 목돈을 들여 장만합니다. 우리나라 붓바치는 밑자리에서 삶·살림·사랑을 짓는 수수한 사람들이 늘 마주하는 수수한 풀꽃나무나 풀벌레나 새나 짐승은 거들떠보지 않거든요. 벼슬꾼이나 임금님 딸아들을 가르치려고 중국 한문을 읊을 뿐이었습니다. “숲하루(THE NATURE HOUR)”를 돌아보는 눈빛을 담아 1935년에 태어난 책은 미국 어린이가 숲을 두루 읽고 익히면서 슬기롭게 어른이 되기를 바랍니다. 수수한 아이를 숲빛으로 품기에 배움길이요 푸른길이라고 느껴요.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2021.9.28.

숨은책 559


《한글의 투쟁》

 최현배 글

 정음사

 1958.6.30.



  외솔 어른은 일본글을 안 썼다고 합니다만, 한문을 즐겨썼습니다. 한힌샘 어른에 이어 우리글 밑틀을 다지려고 힘쓰셨습니다만, “영어 말틀(문법)을 살펴 일본말 틀을 세운 뼈대”를 우리글 밑틀에 고스란히 맞춘 첫걸음이자 발판이었습니다. 오늘날 크게 말썽거리인 입음꼴이나 ‘-의’ 말버릇을 북돋우고 말았어요. 이녁이 지은 《우리말본》은 대단한 책이지만, 우리말 길잡이로 삼기에는 알맞지 않습니다. ‘우리말길’하고는 멀거든요. 《한글의 투쟁》은 이녁이 얼마나 힘겨이 싸우면서 한글을 지키려 했는가를 밝히기는 하되, 이 책조차 몸글을 적잖이 한자말로 채웠습니다. 책이름 ‘-의 투쟁’에서 엿보듯 ‘-의’를 거의 아무 데나 붙입니다. 일본글은 안 쓰셨어도 일본말씨 ‘の’를 죄다 ‘-의’로만 바꾼대서 우리말이 되지 않아요. 이 책 끝에는 펴낸곳에서 《우리말본》을 알리는 글을 붙였는데 아찔합니다.


“國文法의 集大成, 學界의 燦爛한 金字塔, 崔鉉培 著, 增補版 菊版 900頁”

“큰숨못쉬고 자라온 한글 學界의 寶典이자 大指針인 本書는 解放后 全民族의 歡呼聲裡에 再刊되었다가 6·25事變으로 紙型이 烏有에歸하매 이번에 全的으로 修訂增補하여 刊行하게되었으니, 곧 先生의 還歷記念 出版이 될 것이다 …….”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