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2021.12.13.

숨은책 585


《新註 墨場必携》

 洛東書院 엮음

 洛東書院

 1930.2.15.첫/1941.10.15.넉벌



  글을 잘 쓰는 사람이 있고, 글을 잘 쓰는 척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삶을 그대로 글로 옮기는 사람이 있고, 삶을 꾸며서 글로 꾸미는 사람이 있습니다. 어느 사람은 글빛을 글빛 그대로 읽으나, 어느 사람은 꾸밈글이나 거짓글을 도무지 안 알아봅니다. 저는 낱말책을 짓는 사람이라 맞춤길·띄어쓰기·서울말을 다 헤아리고 가다듬어야 합니다만, 저 혼자만 이럴 뿐, 어린이나 어른 이웃이 글을 쓴다고 할 적에는 셋 모두 아예 생각조차 말라고 얘기합니다. 모든 글은 모름지기 글쓴이 삶을 사랑으로 가다듬어서 풀어내면 됩니다. 맞춤길·띄어쓰기·서울말은 나중에 책으로 여밀 적에 엮는이가 추슬러 주면 넉넉해요. 《新註 墨場必携》는 노래쓰기(시쓰기)를 이끄는 줄거리를 들려줍니다. 중국사람이 예부터 쓰는 한문을 바탕으로 어떻게 글씨를 맞추어 노래를 엮는지 짚어요. 한자를 쓰되 ‘두글씨∼열여섯글씨’로 맞추는 길을 들려주고, 중국글을 보기로 찬찬히 듭니다. 우리한테는 ‘시조’가 있었다지만, 막상 글바치 아닌 수수한 살림돌이나 살림순이가 ‘시조’를 즐긴 일은 없다시피 해요. 오늘날은 수수한 이웃님이 마음껏 노래(시)를 쓰거나 즐길까요? 좀 나아졌을까요? 삶을 노래하는 길이 너무 먼 우리 글꽃(문학)에 갇혔다고 느낍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2021.12.13.

숨은책 587


《어쩌다 그림책 vol.4. 나무의 시간》

 하정민 엮음 

 그림책산책

 2021.8.1.



  1997년 12월 31일에 드디어 강원도 양구를 떠났습니다. 스물여섯 달 동안 싸움터(군대)에서 보낸 나날은 꿈 같았습니다. 삶죽음 사이를 날마다 넘나들며 갖은 막말·막짓이 춤추던 곳이 참말로 있었는지 아리송했습니다. 새벽 여섯 시에 대우산 꼭대기 눈밭부터 걸었고, 또 걸었고, 짐차 뒤칸에 열 몇 사내가 온몸이 얼어붙으면서 “눈밭이 아름다워 보여도 뒤를 돌아보지 말자.”고 다짐했습니다. 시골버스로 읍내로 가고, 다시 춘천으로 가는 시외버스를 타고, 이제 기차로 청량리에 닿고서야 “죽음터에서 빠져나왔구나!” 하고 깨닫습니다. 용산 헌책집 〈뿌리서점〉부터 들릅니다. 이제부터 홀가분히 읽을 책을 손에 쥐며 눈물을 흘립니다. “집부터 가야지, 책집부터 오나? 허허. 군대를 마친 선물로 오늘 책값은 안 받지.” 1995년 11월∼1997년 12월은 저한테 ‘사라진’ 날입니다. 사라진 날을 찾으려고 처음 쥔 책은 《몽실 언니》요, 이때부터 어린이책을 하나하나 찾아 읽습니다. 어린이를 한참 지난 풋사내 마음은 어린이책이 달래 주었어요. 《어쩌다 그림책》은 구미 마을책집 〈그림책산책〉이 선보이는 조촐한 꾸러미입니다. 어쩌다 그림책이냐 묻는다면 사람마다 다르겠지요. 저는 죽음 아닌 삶을 사랑으로 보려고 그림책을 찾습니다.


ㅅㄴㄹ


《어쩌다 그림책》을 만나고 싶다면

경북 구미 마을책집인

〈그림책산책〉을

나들이해 보셔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2021.12.5.

숨은책 584


《岡山文庫 105 岡山の映畵》

 松田完一 글

 日本文敎出版株式會社

 1983.7.1.



  일본 오카야마 구라시키에 깃든 마을책집 〈벌레문고〉 지기가 쓴 책이 2021년 5월에 《나의 작은 헌책방》(다나카 미호 글/김영배 옮김, 허클베리북스)이란 이름으로 나왔고, 153∼158쪽에 ‘오카야마 문고’ 얘기가 흐릅니다. 《나의 작은 헌책방》을 인천 마을책집 〈나비날다〉에서 지난 7월에 장만했고, 석 달이 지난 10월에 서울 헌책집 〈흙서점〉에서 《岡山の映畵》를 만납니다. 《岡山の映畵》 뒤쪽에는 “岡山縣の百科事典·2,000,000人の岡山文庫”라 적으면서 200만에 이르는 사람들이 살아가는 고장 ‘오카야마’를 손바닥책에 차곡차곡 담아서 두루 알리고 나누는 책살림이라고 밝힙니다. 오카야마라는 곳에서 품을 들여 꾸준히 내는 손바닥책은 1963년부터 오늘날까지 ‘오직 오카야마 이야기만’ 여민다는군요. 천만이 사는 서울이나 200만이 넘는 인천은 어떤가요? 전남이나 경북은 무엇을 할까요? 손바닥책 한 자락을 내자면 목돈이 아니어도 되면서, 지은이한테 제대로 뒷배를 하는 길입니다. 반짝하고 사라지는 삽질(토목사업)이 아닌 마을빛을 두고두고 사랑하는 길이에요. 이제부터라도 우리는 고장마다 “마을 이야기 손바닥책”을 찬찬히 내놓을 수 있기를 바라요. 마을사랑은 마을 이야기를 마을사람이 손수 지으며 자랍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2021.12.5.

숨은책 583


《도둑고양이 연구》

 이자와 마사코 글

 히라이데 마모루 그림

 이예린 옮김

 파랑새

 2008.2.21.



  이제는 ‘길고양이·골목고양이·마을고양이’ 같은 이름이 흔하지만, 2010년을 넘어서도록 ‘도둑고양이’란 이름을 널리 썼습니다. 왜 ‘도둑고양이’라고 오래도록 가리켰을까 하고 돌아보면, 예부터 고양이를 따로 기르거나 돌보는 일이 드물었어요. 사람 손길을 꺼리는 ‘들개’가 있습니다만, ‘길들인 늑대’를 ‘집개’로 삼았기에 ‘개 = 집개’요 ‘고양이 = 들고양이’였어요. 고양이가 발자국 소리 없이 들어와서 슬쩍 ‘사람밥’을 물어 갈 적에 “예끼! 이 도둑놈!” 하고 성내기 일쑤였고 ‘도둑고양이’란 이름이 퍼졌어요. 일본에서 1991년에 나온 《ノラネコの硏究》를 2008년에 한글판으로 낼 적에 《도둑고양이 연구》란 이름을 붙일 만큼 고양이를 비롯한 이웃 숨결을 바라보는 눈길은 ‘사람 한복판’입니다. 그런데 고양이로서는 사람들이 자꾸 들숲을 밀고 혼자 다 차지하려 하니, 사냥터도 삶터도 잃어 ‘사람밥 사냥하기’에 나설밖에 없지 않을까요? 일본책에 붙은 이름을 살피면 ‘ノラネコ’는 ‘들고양이’요, 그림책 줄거리로 보면 ‘길고양이·마을고양이’입니다. 글님·그림님은 마을에서 함께 살아가는 고양이를 고양이 마음·눈빛·몸짓이 되어 지켜보면서 느끼려 해요. 이웃으로 동무로 사귀려는 한마음입니다.


ㅅㄴㄹ


#ノラネコの硏究

#伊澤雅子 #平出衛

#大草原のノネコ母さん

#Suivonscechat #24heuresdanslavieduncha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2021.11.27.

숨은책 581


《국민학교 국민교육 헌장 풀이 5·6학년》

 문교부 엮음

 동아교과서주식회사

 1970.6.1.



  어린배움터를 다닐 적에 배움칸마다 ‘나라지기(대통령) 얼굴·태극기·배움터 어른(교장) 얼굴’을 칠판 위쪽에 나란히 붙였습니다. 나라지기가 인천에 온다고 하면 어린이는 경인고속도로 앞으로 나가 우르르 줄을 서서 한나절(4시간)을 태극기를 흔들며 기다렸어요. 날마다 길잡이(교사)는 아무나 몇씩 찍어서 ‘애국가 외우기·국민교육헌장 외우기’를 시키고, 한 마디라도 어긋나거나 더듬으면 바로 뺨을 갈기고 골마루에 나가서 한 시간 동안 손을 듭니다. 박정희 때가 아닌, 전두환 때 이야기입니다. 2021년 11월 23일에 전두환이란 할배가 저승길로 갔습니다. 광주를 총칼로 짓밟은 막놈으로만 떠올리는 분이 많으나, 그이가 나라지기 자리에서 물러나기까지 어린이·푸름이는 언제나 숨죽이고 억눌리고 얻어맞고 막말을 들으면서 시름에 잠겼습니다. 그 할배는 광주뿐 아니라 온나라 사람한테, 누구보다 어린이·푸름이한테 엎드려야 하지 않을까요? 그무렵 어린이·푸름이를 때리고 괴롭히고 막말을 일삼고 짓누른 숱한 어른도 나란히 엎드릴 노릇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두머리 한 놈만 있는 총칼나라가 아닌, 밥그릇을 챙기려고 빌붙는 어른이 수두룩합니다. 《국민학교 국민교육 헌장 풀이 5·6학년》을 들추며 새삼스레 서글픕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