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노래꽃 / 숲노래 동시

― 내가 안 쓰는 말 . 활동 2023.7.31.



봄에는 꽃눈 튼다

여름에는 잎눈 연다

가을에는 하늘눈 넓고

겨울에는 눈꽃 춤춘다


그제는 들에서 달리고

어제는 숲에서 거닐고

오늘은 하늘을 날면서

이제 바다에서 헤엄을


숨통을 트며 시원해

숨길을 열어 새로워

숨빛을 널리 나누고

숨꽃을 함께 노래해


꿈을 그려서 펼친다

마음을 담아 해보고

생각을 심어 이루지

하나씩 실컷 언제나


ㅅㄴㄹ


몸을 움직일 적에 한자말로 ‘활동(活動)’이라 합니다. 그래서 들짐승이나 숲짐승을 한자말로 ‘동물’이라고 여기는데, 곰곰이 보면 풀과 나무도 움직입니다. 사람하고 다르게 움직여요. 새나 고양이하고 다르게 움직이지요. 뿌리가 뻗는 결도 움직임이에요. 줄기가 오르고 잎망울이 맺는 길도 움직임이지요. 꽃송이가 벌어지고 씨앗이 굵으며 열매가 익는 삶도 다 움직임입니다. 우리는 다 다른 숨결이기에, 다 다르게 움직여요. “목으로 잇는 숨”이라는 뜻에서 ‘목숨’인데, 풀과 나무한테는 ‘목’이 없되 줄기가 있어요. 사람한테는 팔다리가 있으면, 풀과 나무한테는 가지랑 잎이 있어요. 이 별에서 함께 살아가는 모든 숨붙이는 바람을 함께 마십니다. 해를 나란히 쬡니다. 비를 같이 맞이하고, 밤마다 별도 도란도란 올려다봐요. 마음에 어떤 숨빛을 담는지 돌아봅니다. 한 발짝을 떼거나 한 손을 펼 적마다 어떤 숨길을 잇는지 헤아립니다. 훨훨 날아가는 씨앗처럼, 팔랑팔랑 날아가는 새예요. 가만히 앉아서 푸르게 빛나는 들풀처럼, 가만히 누워서 새근새근 꿈으로 나아가는 우리 모두입니다.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파리 같은 새말 하나 삶창시선 68
변홍철 지음 / 삶창(삶이보이는창)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꽃 / 문학비평 . 시읽기 2024.4.28.

노래책시렁 401


《이파리 같은 새말 하나》

 변홍철

 삶창

 2022.4.15.



  이파리란, 풀과 나무를 살리는 숨결이면서, 풀과 나무한테는 손이요, 이 땅에는 옷이며, 풀벌레랑 사랑한테는 밥 노릇을 합니다. 이파리란, 해바람비를 맞아들이면서 푸르게 빛나고, 온누리에 푸른 숨결을 새롭게 베푸는 징검다리입니다. 우리가 쓰는 말이 이파리 같다면, 아이어른이 어깨동무하면서 마음을 잇는다는 뜻입니다. 우리가 쓰는 말이 이파리하고 등지거나 동떨어졌다면, 어른이라고 내세우면서 꼰대스러운 어려운 말로 굴레를 씌우거나 담을 친다는 뜻입니다. 《이파리 같은 새말 하나》를 곰곰이 읽는데, 낱말도 말결도 스스로 갇힌 듯싶습니다. 새술을 새자루에 담는다고 하는데, 새길이라면 새말에 담을 노릇입니다. 일본 한자말에도 중국 한자말에도 길들지 않을 줄 아는 넋일 적에 비로소 새말입니다. 옮김말씨에도 일본말씨에도 휩쓸리지 않는 마음일 적에 바야흐로 새글이에요. 굳이 한자말을 안 쓰려고 애쓸 까닭은 없되, 애써 한자말을 쓰려고 할 까닭도 없습니다. ‘푸른길’을 말할 줄 모르는 ‘녹색당’처럼, ‘잎말’을 노래할 줄 모르는 ‘인문지식’과 ‘문학’이라면, 이 나라에는 아무런 새길도 새뜻도 새넋도 새빛도 새말도 없는 굴레요 수렁일 뿐이지 싶습니다.


ㅅㄴㄹ


시도, 철학도, 그림도 / 역사의 피눈물과 인간의 위대함도 / 다 제각각 다른 혈관을 만나 하늘이 / 먹구름 둟고 피워내는 불가능의 꽃말 (꽃은 활짝 피었구나/34쪽)


아직 나에겐 두 병의 막걸리가 남아 있다 / 아마 금요일까지 남겨놓긴 어려울 듯하다 (저물녘의 운산/71쪽)


+


《이파리 같은 새말 하나》(변홍철, 삶창, 2022)


떠날 준비를 해둔 살림처럼 구근은 제 스스로 땅이고 별이다

→ 떠나려고 해둔 살림처럼 알뿌리는 스스로 땅이고 별이다

→ 떠나려고 챙긴 살림처럼 알은 제가 땅이고 별이다

13쪽


교정 곳곳은 새로 주차장이 되어 있었다

→ 배움뚤 곳곳은 새로 대는터가 되었다

→ 배움뜨락 곳곳은 새로 둠칸이 되었다

14쪽


여기 와 있다는 것을 안다

→ 여기 온 줄을 안다

18쪽


역사의 피눈물과 인간의 위대함도 다 제각각 다른 혈관을 만나

→ 피눈물 자국과 뛰어난 사람도 다 다른 핏줄을 만나

34쪽


그중 하나일 뿐인 내 박명의 심장은

→ 거기서 하나일 뿐인 내 짧은 가슴은

42쪽


천사는 이따금 나그네의 모습으로 날아온다

→ 바람꽃은 이따금 나그네 모습으로 날아온다

→ 별님은 이따금 나그네 모습으로 날아온다

51쪽


군호를 외치듯 언 강가, 띄엄띄엄

→ 서로 알리듯 언 냇가, 띄엄띄엄

→ 알리고 외치듯 언 냇가, 띄엄띄엄

56쪽


사발통문 같은 오월 하늘에 마음을 빼앗겨 오늘도 거사는 실패

→ 대접글 같은 닷달 하늘에 마음을 빼앗겨 오늘도 큰일은 뒤뚱

→ 둥근글 같은 닷달 하늘에 마음을 빼앗겨 오늘도 일은 꽈당

62쪽


문자메시지로 알려주는 대출이자는 참 꼬박꼬박 나간다

→ 쪽글로 알려주는 빌린곱삯은 참 꼬박꼬박 나간다

→ 글월로 알려주는 빌린덧돈은 참 꼬박꼬박 나간다

70쪽


봄의 리듬으로 와서

→ 봄가락으로 와서

→ 봄바람으로 와서

75쪽


능선의 경계에서 배어 나와

→ 등성이 끝에서 배어 나와

→ 멧줄기 가에서 배어 나와

88쪽


이 배의 좌표는 어디인가

→ 이 배는 어느 길인가

→ 이 배는 어디로 가는가

97쪽


전운을 피할 수 없을 때조차도

→ 싸움을 그을 수 없을 때조차도

→ 불길을 벗을 수 없을 때조차도

113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이, 낳지 않아도 될까요?
고바야시 유미코 지음, 노인향 옮김 / 레진코믹스(레진엔터테인먼트) / 2016년 11월
평점 :
절판


다듬읽기 / 숲노래 글손질 2024.4.28.

다듬읽기 37


《아이, 낳지 않아도 될까요?》

 코바야시 유미코

 노인향 옮김

 레진코믹스

 2016.11.4.



  《아이, 낳지 않아도 될까요?》(코바야시 유미코/노인향 옮김, 레진코믹스, 2016)는 우리가 살아가는 여러 길 가운데 하나를 들려줍니다. 짝을 맺어서 살아가지만 아기를 안 낳을 수 있고, 낳을 수 있습니다. 혼자인 아기를 품을 수 있고, 짝꿍하고 둘이서 조용히 삶을 보낼 수 있습니다. 온누리에는 “우리 집 아이”만 있지 않아요. 둘레 모든 아이가 새빛이면서 새숨입니다. 누구나 알게 모르게 “우리 집 아이”하고 “이웃 아이”를 나란히 돌보는 얼거리입니다. 어른으로서 하는 일이 어질고 참하고 착하다면, 저절로 모든 아이한테 사랑손길이 뻗어요. 어른답지 못 한 일을 자꾸 꾀한다면, 어느새 모든 아이를 괴롭히는 셈입니다. 몸이 여리거나 마음이 지쳤으면, 몸으로는 아이를 안 낳되, 넋으로는 하루하루 사랑을 짓는 살림길을 포근히 가꾸면 되어요.


ㅅㄴㄹ


#産まなくてもいいですか #小林裕美子



내가 다니는 요리학원에는 임신부가 있다

→ 내가 다니는 밥살림터에는 애엄마가 있다

5쪽


육아휴직은 받을 수 있지?

→ 아기쉼은 받을 수 있지?

→ 아기말미는 받을 수 있지?

26쪽


자네처럼 우수한 인재는 단축 근무를 하지 않았으면 했네

→ 자네처럼 뛰어난 사람은 일을 줄이지 않기를 바랐네

→ 자네처럼 훌륭한 일꾼은 토막일이 아니기를 바랐네

27쪽


문진표는 저 주시고요

→ 살핌쪽은 저 주시고요

→ 물음쪽은 저 주시고요

43쪽


이런 부분에서는 친정 엄마가 훨씬 직설적인 것 같다

→ 이런 곳은 우리 엄가 훨씬 거리끼지 않는다

→ 이런 쪽은 울 엄마가 훨씬 까놓고 말한다

52쪽


뇌는 자기가 기억하고 싶은 것만 기억하니까

→ 머리는 떠올리고 싶은 일만 떠올리니까

→ 골은 새기고 싶은 이야기만 새기니까

60쪽


자기 아이를 믿으며 키우는 것이 언니에게는 엄마와의 관계를 청산하는 방법이었을지 모른다

→ 언니로서는 아이를 믿으며 키워야 엄마라는 끈을 털 수 있었을지 모른다

→ 언니는 아이를 믿고 키우며 엄마하고 끊을 수 있었을지 모른다

67쪽


동성으로서 엄마가 안심하고 아이를 키울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것이 내 역할이지 않을까 생각해

→ 나란꽃으로서 엄마가 느긋이 아이를 키울 수 있는 터전을 일구어야겠다고 생각해

→ 같은 순이로서 엄마가 넉넉히 아이를 키울 수 있는 삶터를 가꾸어야겠다고 생각해

81쪽


그런 식으로 말하는 건 정말 최악인 것 같아

→ 그렇게 말하면 아주 끔찍해

→ 그처럼 말하면 대단히 나빠

→ 그런 말은 몹시 고약해

82쪽


가끔은 바깥 공기 마시면서 점심 먹는 것도 괜찮을 것 같아서요

→ 가끔은 바깥바람 마시면서 낮밥 먹어도 어울릴 듯해서요

→ 가끔은 바깥바람 마시면서 샛밥 먹어도 즐거울 듯해서요

88쪽


이 사회의 소수자가 아닐까 생각하기도 해

→ 이 나라에서 적다고 생각하기도 해

→ 이 삶터에서 드물다고 생각하기도 해

107쪽


시간제한도 있는 문제이니 이제는 이야기를 나눠 봐야 할 때인 것 같다

→ 마감도 있는 일이니 이제는 이야기를 할 때인 듯하다

→ 끝이 있기도 하니 이제는 말을 나눠야 할 때이지 싶다

112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외국 外國


 외국 사람 → 이웃사람 / 곁나라 사람

 외국 유학 → 바깥배움 / 먼배움

 외국으로 이민 가다 → 먼나라로 떠나다

 외국 자본을 유치하다 → 다른나라 돈을 들이다

 외국 문화가 무조건 우월하다고 믿는 → 바깥바람이 늘 높다고 믿는

 외국에서 온 사람처럼 → 먼나라서 온 사람처럼


  ‘외국(外國)’은 “자기 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 ≒ 외방·이조”를 가리킨다고 합니다. ‘곁나라·옆나라’나 ‘다른나라·다른겨레·딴나라·딴겨레’로 손봅니다. ‘먼나라·먼겨레·머나먼 나라·멀디먼 나라’나 ‘나라밖·바깥·밖·바깥나라·밖나라·바깥겨레·밖겨레’로 손볼 만하고, ‘남·남남·남나라·남누리’로 손보면 돼요. ‘이웃·이웃꽃·이웃하다’나 ‘이웃나라·이웃겨레·이웃자리·이웃터’로 손보고, ‘낯설다·설다·다르다·멀다’나 ‘너머·너머꽃·너머길·너머빛·너머누리·너머나라’로 손보아도 어울립니다.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외국(外局)’을 “중앙 행정 기관의 본부 밖에 두는 기관”으로 풀이하면서 싣지만 털어냅니다. ㅅㄴㄹ



외국과 기술제휴도 하지 않고

→ 이웃나라와 손도 잡지 않고

→ 옆나라와 맞잡지도 않고

《포니를 만든 별난 한국인들》(강명한, 정우사, 1986) 18쪽


수박 겉핥기 식 외국 여행을 하지 않으려면

→ 수박 겉핥기 같은 바깥마실을 안 하려면

→ 수박 겉핥기 이웃나들이를 하지 않으려면

《모독冒瀆》(박완서, 학고재, 1997) 5쪽


외국문화의 수용에도 결코 인색하지 않았다

→ 바깥물결도 까칠게 안 굴고 받아들였다

→ 밖바람도 까다롭게 안 굴고 받아들였다

《조선 최고의 명저들》(신병주, 휴머니스트, 2006) 131쪽


어설픈 외국의 이론을 부여잡고 고담준론만으로 일관하거나 출판자본이 만들어내는 잠시의 명예에 안주할 일이 아니다

→ 어설픈 바깥틀을 부여잡고 대단한 듯이 떠벌이거나 책마을 돈꾼이 치켜세우는 가벼운 이름값에 좋아할 일이 아니다

→ 어설픈 바깥말을 부여잡고 자랑질로 흐르거나 책마을 돈바치가 꾸며내는 가벼운 이름값에 머물 일이 아니다

→ 어설픈 바깥길을 부여잡고 잘난 척만 하거나 책마을 돈벌레가 띄우는 가벼운 이름값에 들뜰 일이 아니다

→ 어설픈 바깥바람을 부여잡고 말자랑을 늘어놓거나 책판 돈쟁이가 지어낸 가벼운 이름값에 맴돌 일이 아니다

《곤혹한 비평》(이현식, 작가들, 2007) 95쪽


반출된 물품의 상당수가 외국의 교환시장에서 팔려나가

→ 빼낸 살림은 이웃나라 저잣판에 잔뜩 팔려나가

→ 슬쩍한 살림은 옆나라 장사판에 엄청 팔려나가

《티베트, 말하지 못한 진실》(폴 인그램/홍성녕 옮김, 알마, 2008) 50쪽


외국 문화의 방정식을 규명하기보다는

→ 밖살림이 어떠한가를 알아내기보다는

→ 바깥길과 얽힌 실타래를 밝히기보다는

《번역의 탄생》(이희재, 교양인, 2009) 402쪽


그런 기회가 없는 어른들은 같은 외국 생활에도 언어 습득이 느릴 수밖에 없다

→ 그런 틈이 없는 어른들은 같은 바깥살이에도 말 배우기가 느릴 수밖에 없다

→ 그런 자리가 없는 어른들은 같은 바깥살이에도 말을 느리게 배울 수밖에 없다

《외교관 엄마의 떠돌이 육아》(유복렬, 눌와, 2015) 181쪽


외국의 멋진 우표도 동봉하게 되었는데 진귀한 우표를 찾으려고

→ 이웃나라 멋진 나래꽃도 넣었는데 값진 나래꽃을 찾으려고

→ 옆나라 멋진 날개꽃도 담았는데 드문 날개꽃을 찾으려고

《편지의 시대》(장이지, 창비, 2023) 6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사발통문



 그가 돌린 사발통문에 의하면 → 그가 돌린 대접글씨에는

 사발통문 거사 계획을 세웠다 → 둥근글씨로 큰일을 그렸다

 주변 지인들에게 사발통문을 돌려 → 둘레에 두레글을 돌려


사발통문(沙鉢通文) : 호소문이나 격문 따위를 쓸 때에 누가 주모자인가를 알지 못하도록 서명에 참여한 사람들의 이름을 사발 모양으로 둥글게 삥 돌려 적은 통문



  한문을 쓰던 무렵에는 그릇을 놓고도 한자말 ‘사발’이라 했으니, ‘사발 + 통문’이었을 테고, 오늘날에는 우리말 ‘대접’을 넣어서 ‘대접글·대접글씨’로 풀어낼 만합니다. 둥글게 쓰기에 ‘둥근글·둥근글씨’라 할 만합니다. 여러 이름을 모으면서 두레를 밝히니 ‘모둠글·두레글’이라 할 수 있고, ‘같이쓰기·함께쓰기’라 해도 어울립니다. ㅅㄴㄹ



사발통문 같은 오월 하늘에 마음을 빼앗겨 오늘도 거사는 실패

→ 대접글 같은 닷달 하늘에 마음을 빼앗겨 오늘도 큰일은 뒤뚱

→ 둥근글 같은 닷달 하늘에 마음을 빼앗겨 오늘도 일은 꽈당

《이파리 같은 새말 하나》(변홍철, 삶창, 2022) 6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