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숨은책 917


《책빛숲, 아벨서점과 배다리 헌책방거리》

 최종규 글·사진

 숲속여우비

 2014.7.4.



  오늘이라는 나는 여태까지 걸어온 어제로 이룹니다. 오늘을 살아가는 나는 이제부터 새로 태어날 모레로 나아갑니다. 얼핏 보면 어제·오늘·모레는 모두 다른 듯싶어도 늘 하나로 잇습니다. 글로 안 남기고, 찰칵 안 찍어도, 우리 마음에는 모든 하루를 새깁니다. 2014년에 태어난 《책빛숲, 아벨서점과 배다리 헌책방거리》는 1992년부터 스물세 해를 드나든 인천 배다리책골목 〈아벨서점〉 한 곳을 아로새긴 자취를 담았습니다. 그 뒤 열 해가 지났으니 서른세 해째 헌책집 한 곳으로 책마실을 다니는 셈인데, 1992년 7월에 이곳에서 문득 “아! 책이란 이렇구나! 책집이란 이렇네! 책을 만지고 다루고 읽고 짓는 사람은 이런 빛이네!” 하고 느낄 적에 속으로 “앞으로 서른 해 뒤에도 이곳을 드나들며 ‘단골’이란 이름을 누리자.”고 생각했습니다. 요새는 ‘단골’을 다르게 여기지만, 1992년 언저리만 해도 ‘책집단골’이라는 이름을 들으려면 ‘20해 + 3000자락’이 밑동이어야 한다고 쳤습니다. ‘30해 + 5000자락’을 넘으면 책집지기하고 책손이 서로 ‘마음지기’로 피어난다고 했어요. 줄거리만 담을 적에는 아직 책이 아닙니다. 이야기로 거듭나야 살짝 책입니다. 첫 손길이 닿을 적에도 아직 책하고 멉니다. 두 손길에 서너 손길이 잇달아 스미기에 비로소 책입니다. 헌책이란, 손길이 거듭 닿은 책입니다. 널리 읽혔거나 미처 안 읽혔거나, 우리 손길이 새롭게 닿은 ‘새로 읽히는 빛’이 흘러나오기에 헌책입니다. 그래서 ‘책·빛·숲’ 세 낱말은 다르면서 나란하지 싶습니다. 책으로 눈을 빛내고 마음과 몸을 숲에 두어 사랑을 짓는 사람으로 깨어납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숨은책 914


《1987年 國民投票公報 (憲法改正案)》

 편집부 엮음

 선거관리위원회

 1987.



  이제 한글로 ‘헌법’이라 적지만, 꽤 오래도록 한자로 ‘憲法’이라 적었습니다. 예전에는 한글 아닌 한자로 까맣게 적던 글이라면, 요사이는 거의 모두 한글로 바꾸었습니다. 2000년 무렵까지만 해도 한자를 쓸 줄 모르면 손가락질하거나 나무라는 벼슬꾼과 글바치가 많았습니다. 그러나 《1987年 國民投票公報 (憲法改正案)》 같은 꾸러미를 누가 읽을 수 있을는지 생각할 노릇입니다. 조선 무렵에는 아예 중국글로 적어서 내려보냈으니, 한자를 조금 읽더라도 뜻을 새기기 훨씬 힘들었습니다. 흙살림을 짓거나 장사하는 사람이라면 책은커녕 글씨조차 쓸 일이 아예 없었어요. 퍽 오래 씨내림으로 잇던 임금과 벼슬자리에, 중국글로 뭇사람을 억누르는 얼개였습니다. 앞으로는 ‘헌법’과 ‘국민투표’라는 일본스런 한자말을 수수하고 쉽게 우리말로 바꾸는 첫발을 내딛을 일이라고 느낍니다. 이를테면 ‘첫길·으뜸길 ← 헌법’을 생각할 만합니다. ‘가림·고름 ← 투표’를 생각할 수 있어요. “헌법은 ‘첫째가는 길’이야”나 “국민투표는 ‘우리 누구나 뽑는다’는 뜻이야”처럼 풀어서 말하지 말고, 처음부터 어린이 눈높이로 새말을 여미는 길을 찾으면서 바꿀 만하지요. ‘선거관리위원회’조차 아닌 ‘選擧管理委員會’ 같은 이름은 누가 읽겠습니까. 누구보다 어린이한테 묻고, 어린이가 꿈을 펼 새나라와 새터를 일굴 마음을 펼 첫걸음을 올해에 다시 내디딜 수 있기를 바랍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숨은책 913


《하늘을 우러러 한점 부끄럼 없이》

 윤동주 글

 전광하·박용일 엮음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2002.7.



  중국에 우리 한겨레가 무척 많이 삽니다. 처음부터 한겨레가 많이 살지는 않았습니다. 나라를 잃고 집을 잃고 논밭까지 잃고 아이들마저 잃은 슬픈 사람들은 이웃나라로 건너갔습니다. 러시아하고 일본에도 한겨레는 숱하게 건너갔고, 때로는 끌려갔습니다. 맨몸으로 걸어갔어요. 맨손으로 땅을 일구었어요. 윤동주 님은 ‘명동촌(용정시)’에서 1917년에 태어납니다. 그무렵 한겨레는 고되게 일하면서도 저마다 꿈을 품었고, 먼나라에서 태어나는 아이들이 어질게 배워서 참하게 일어설 새길을 그렸습니다. 오늘날 우리가 익히 아는 윤동주 님 노래는 여러 동무와 이웃과 뒷내기 손길로 태어났습니다.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는 석 자락을 꾸려 스스로 하나, 이양하 님한테 하나, 정병욱 님한테 하나 남겼고, 이 가운데 전남 광양 어머니집 독에 고이 숨긴 정병욱 님 꾸러미가 1945년까지 살아남았다지요. 2002년에 흑룡강에서 펴낸 《하늘을 우러러 한점 부끄럼 없이》를 읽다가 문득 생각합니다. 한겨레로서 ‘한말’을 ‘한글’로 담은 글자락이고, 예전 북녘말씨하고 연변말씨를 새삼스레 돌아볼 수 있더군요. 그런데 중국은 뜬금없이 ‘중국조선족 애국시인’이란 이름을 붙이면서 윤동주 님을 ‘중국 역사’로 끼워맞추려 합니다. 어처구니없습니다. 이제 우리나라를 찾아서 누리는 나날이라면, 나라지기부터 앞장서서 ‘한겨레 한노래’를 편 옛자취를 제대로 밝힐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이 좀 많습니다 - 책 좋아하는 당신과 함께 읽는 서재 이야기
윤성근 지음 / 이매진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듬읽기 / 숲노래 글손질 2024.6.4.

다듬읽기 218


《책이 좀 많습니다》

 윤성근

 이매진

 2015.2.28.



  《책이 좀 많습니다》(윤성근, 이매진, 2015)는 그닥 안 알려졌다고 여기는 책벌레하고 만난 이야기를 풀어내는 듯싶습니다. 다 다른 사람이 다 다르게 책을 읽는 줄 헤아린다면, 글쓴이 눈에 뜨이는 책이 아니라, 이웃이 풀어내거나 들려주고 싶은 책을 복판에 놓고서 줄거리를 여미어야 어울릴 텐데 싶더군요. 모든 책은 갈래만 다를 뿐, 속내는 매한가지입니다. 다 다른 사람이 다 다른 갈래를 바라보고 걸어가면서 언제나 나란한 빛과 씨앗을 얻고 나누고 심고 베풀고 펴면서 일구는 책밭입니다. 한 자락을 읽건 즈믄 자락이나 하늘만큼 읽건 안 대수로워요. 어느 책을 읽든지 “책을 마주하는 손길과 매무새와 눈빛”을 바라볼 수 있다면, 책 하나로 풀어낼 살림살이는 가없이 넓고 깊습니다. 굳이 넓고 깊이 안 들어가도 될 테지만, 책밭 어귀에서 서성이다가 끝맺는구나 싶어 아쉽습니다. 책을 덮고서 다시 살피자니 책이름부터 “책이 좀 많습”이군요. 이미 부피와 크기로 보려는 눈인 탓에 여러모로 어지럽고 섣부르게 다가갔구나 싶습니다.


ㅅㄴㄹ


와이셔츠를 차려입은 남자 혼자

→ 흰웃옷을 차려입은 사내 혼자

→ 흰웃도리 차려입은 돌이 혼자

6쪽


이해 못 할 정도로 괴짜 소리를 듣는

→ 알쏭달쏭한 녀석 소리를 듣는

→ 알 길 없는 도깨비 소리를 듣는

7


평범한 사람들 중에 얼마나 많은 애서가들이 있는지 조금 짐작할 수 있게 됐다

→ 수수한 사람 사이에 글사랑님이 얼마나 많은 줄 조금 어림할 수 있었다

→ 둘레에서 책사랑님이 얼마나 많은 줄 조금 헤아릴 수 있었다

8


이렇게 많은 책을 가진 사람은 어릴 때부터 독서광이지 않았을까

→ 이렇게 책이 많으면 어릴 때부터 책벌레이지 않을까

→ 이렇게 책이 많으면 어릴 때부터 글사랑이지 않을까

13


문고본을 모으는 책장이 따로 있고

→ 손바닥책 모으는 시렁이 따로 있고

→ 작은책을 모으는 칸이 따로 있고

16


한번 관심이 생기면 거기에 관련한 책은 직성이 풀릴 때까지

→ 눈여겨보면 이와 얽힌 책은 속이 풀릴 때까지

→ 눈이 가면 이 갈래 책은 마음이 풀릴 때까지

17


한적한 곳에 컨테이너로 만든 서재를 갖고 있는

→ 한갓진 곳에 모둠칸으로 연 책칸이 있는

→ 기스락에 모둠집으로 꾸민 책마루가 있는

25


한 질을 선물로 주셨죠

→ 한 꾸러미를 주셨죠

→ 한 꿰미를 주셨죠

→ 한 묶음을 주셨죠

→ 한 동을 주셨죠

→ 한 보따리를 주셨죠

35


정말 안 어울리는 조합이 아닌가

→ 참 안 어울리지 않은가

71


짧은 복도를 지나면 바로 거실 겸 주방이 나온다

→ 골마루를 지나면 마루인 부엌이 나온다

→ 골마루를 지나면 마루이자 부엌이다

105


이제는 헌책방도 대형이 되고 있다

→ 이제는 헌책집도 큼직하다

→ 이제는 손길책집도 크다

112


최성희 씨에게 공부라는 것은 삶의 리듬이나 마찬가지다

→ 최성희 씨는 삶가락으로 배운다

→ 최성희 씨는 삶결 그대로 익힌다

→ 최성희 씨는 살아가는 대로 배운다

125


책상 위에도 많은 책이 위태롭게 쌓여 있다

→ 책상에도 책이 잔뜩 아슬아슬 쌓였다

135


벽면을 모두 차지하는 책장은 전희정 씨가 특히 좋아하는 책들로 채웠다

→ 둘레를 모두 차지하는 책칸은 전희정 씨가 아주 반기는 책으로 채운다

159


인포그래픽을 전문으로 보여주는 한 인터넷 사이트에서

→ 알림그림을 잘 보여주는 어느 누리집에서

→ 그림빛을 두루 보여주는 어느 누리집에서

184


책 읽기에는 어느 정도의 용기가 필요할까

→ 책을 읽으려면 얼마나 다부져야 할까

→ 책을 읽자면 얼마나 배짱이어야 할까

→ 책읽는 뚝심은 어느 만큼이어야 할까

→ 책읽는 뱃심은 어느 만큼이어야 할까

220


농사일을 하며 근처에 있는 대안 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친다

→ 논밭일을 하며 둘레 새배움터에서 아이들을 가르친다

→ 흙을 일구며 가까운 새길터에서 아이들을 가르친다

280


각별한 애정이 있다

→ 남달리 즐긴다

→ 몹시 반긴다

285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꿈에서도 보고픈 1
아케가타 유우 지음, 반기모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6.4.

만화책시렁 653


《꿈에서도 보고픈 1》

 아케가타 유우

 반기모 옮김

 AK커뮤니케이션즈

 2021.6.15.



  마음이 맞는 사람을 언제 만날는 지 알 길이 없게 마련이지만, 서두르지 않으면 머잖아 만납니다. ‘머잖아’는 “조금 뒤”일 수 있고, 이튿날일 수 있고, 이태 뒤나 열 해 뒤일 수 있습니다. 서른 해나 쉰 해 뒤일 수 있어요. 이 몸을 내려놓고서 다시 태어나고서일 수 있습니다. 안 서두르는 마음이라면 즈믄 해가 걸리더라도 대수롭지 않습니다. 느긋하게 바라볼 줄 알기에 기나긴 삶이건 짤막한 삶이건 모두 즐겁게 맞이합니다. 《꿈에서도 보고픈 1》를 읽으며 조금 알쏭했는데, 일본에서 “月とすっぴん(달과 민낯)”으로 나온 책을 좀 엉뚱하게 옮겼습니다. “달과 맨얼굴”이라는 이름하고 “꿈에서도 보고픈”은 달라도 한참 다릅니다. 겉으로 꾸미는 얼굴로 일하거나 지내면서 지친 두 사람이 천천히 달빛으로 물들어 가는 줄거리인데, 마냥 보고픈 짝사랑인 듯 잘못 보여줄 수 있습니다. 서로 마음에 두는 사이라면 아무 이름을 안 붙입니다. 깊이 생각하고 살피고 돌아본 끝에 문득 이름을 붙이는 둘입니다. 두고두고 지내는 동안 시나브로 이름 하나 떠오를 테지요. 순이돌이로만 짝을 맺어서 아이를 낳아야 하지 않습니다. ‘순이순이’로 어울리든 ‘돌이돌이’로 어울리든, 서로 마음을 열면서 하루가 빛날 적에 삶이 즐겁습니다.


ㅅㄴㄹ


‘내일은 시호랑 공원에서 커피 마셔야지. 좋아하는 잡화점에 가고, 새로 생긴 도너츠 가게에 들렀다가, 그리고.’ (90쪽)


“저 할아버지, 어렸을 때 자주 놀아주셨어. 못 알아봤나 봐. 나를. 난 이제 도쿄사람이 되었구나.” (127쪽)


#月とすっぴん (달과 민낯) #アケガタユウ


+


《꿈에서도 보고픈 1》(아케가타 유우/반기모 옮김, AK커뮤니케이션즈, 2021)


사과를 많이 받았으니까 콩포트를 만들어야지

→ 능금을 많이 받았으니까 졸임을 해야지

→ 능금을 많이 받았으니까 졸여야지

13쪽


어른의 맛이 나

→ 어른맛이 나

→ 어른스런 맛이야

19쪽


와아∼ 외근 정말 좋아!

→ 와아! 바깥일 즐거워!

→ 와아! 나오면 신나!

24쪽


네게 있어 좋은 피사체는 어떤 거야?

→ 너는 어떤 사람이 마음에 들어?

→ 너는 누구를 찍고 싶어?

→ 너는 어떤 보임꽃을 찍고 싶어?

64쪽


나 찍는 거 즐거워?

→ 나 찍으면 즐거워?

→ 나 찍으며 즐거워?

69쪽


도쿄는 아직 낯설다. 식빵 같은 창문이 나란히 나란히

→ 도쿄는 아직 낯설다. 네모난 칸이 나란히 나란히

→ 도쿄는 아직 낯설다. 같은 미닫이가 나란히 나란히

83쪽


잘 만들어졌거든

→ 잘 나왔거든

→ 잘 빚었거든

94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