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 핑계

 


  어른들이 모이는 자리에 아이들 데리고 가면 여러모로 고단하다. 어른들이 모이는 자리에서는 으레 ‘어른들 생각’만 하지 ‘아이들 생각’은 안 하기 때문이다. 모임을 하는 어른들은 어른들끼리 모여 이야기를 하다가 술과 담배를 곁들이기를 바랄 뿐, 아이들을 어떻게 놀리거나 함께 놀겠다는 생각을 하지 않는다. 그렇다고 바깥밥 먹으러 다니는 자리 가운데 ‘아이들 먹을 만한 반찬’을 마련해서 주는 데도 드물다. 도시라면 제법 있을 테지만, 도시에서라도 ‘어린이 밥상’을 차림판에 따로 올리는 곳은 찾아보기 아주 어렵다.


  꼭 ‘어른들 모임’ 자리뿐 아니다. 어디에서고 아이들을 찬찬히 생각하지 않는구나 싶다. 밥집에서는 ‘어린이 밥상’을 따로 마련하지 않는다면, 찻집에서는 ‘어린이 마실거리’를 따로 마련하지 않는다. 술집이 줄줄이 늘어선 길거리를 생각해 보자. 술집은 어른들만 들어가는 자리라 하는데, 어른들 들어가서 노닥거릴 술집은 그토록 많으면서, 막상 아이들이 들어가서 쉬거나 놀거나 얘기할 ‘쉼터’는 찾아볼 수 없다.


  옷집을 생각해 보라. 어린이 옷을 파는 가게가 따로 있다. 그러나, 옷집을 빼고는 다른 어느 곳도 아이들 삶을 살피지 않는다. 어린이걸상 두는 가게는 얼마나 될까. 아이들은 누구나 으레 뛰고 달리며 소리를 지르고 싶어하는데, 이런 아이들 놀잇짓을 흐뭇하게 바라볼 만한 어른은 얼마나 될까.


  아이들은 온통 갇힌다. 갓난쟁이 적부터 시설(보육원, 어린이집, 유치원)에 갇히다가 학교(초·중·고)에 갇힌다. 학교에 갇히면서 학원에 함께 갇히고, 대학교바라기만 하도록 내몰린다. 대학교에 겨우 들어가면, 이제는 회사원 되라는 닦달을 받는다.


  아이들은 언제 놀아야 할까. 알쏭달쏭하다. 아이들은 아이들일 적에 놀 수 없도록 갇힌 끝에, 대학생이 되고부터 술집에 드나들고 술이랑 담배에 절어 지내는 길밖에는 아무런 놀이가 없는가. 어른들은 술과 담배 빼고는 할 줄 아는 놀이가 없어, 아이들한테 재미난 놀이를 못 물려주는가. 입을 맞추고 살을 섞는 몸짓 하나 빼고는 아이들한테 물려줄 놀이가 없는가.


  어른들이 모이는 자리는 되도록 안 가려 한다. 아이들도 고단하고 나도 옆지기도 고단하다. 아이들이 마음껏 뛰놀지 못하도록 다스리거나 꾸짖어야 하는 어른들 모임자리는 어떤 뜻이나 보람이 있을는지 잘 모르겠다. 나는 늘 ‘아이들 핑계’를 댄다. 우리 식구는 아버지나 어머니만 따로 움직이는 일이 드물고, 으레 아이들과 함께 온식구 함께 움직이는데, 아이들이 뛰놀 만하지 못한 데라면 갈 생각이 없다.


  집이 가장 좋다. 나는 언제나 아이들 입맛에 맞추어 밥을 짓고, 아이들은 이 집에서 마음껏 뛰고 놀고 소리를 지를 수 있다. 우리 집 둘레로도 아이들이 마음껏 지낼 만한 데가 차츰 넓어질 수 있기를 빈다. 4346.8.3.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아빠 육아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버지 그림놀이] 자전거 아이 (2013.7.27.)

 


  종이를 조그맣게 자른다. 작은아이가 ‘동그라미’를 아직 못 그리는구나 싶어, 동그라미 놀이를 하다가 ‘동’이라는 글씨도 하나 적어 본다. 음, 동그라미로구나. 동그라미를 빛깔 입혀 한참 그리다가 자전거가 떠오른다. 아이들과 늘 타고 움직이니까. 자전거에 앞서 아이를 먼저 그렸으면 자전거 타는 아이 그림이 되었을 테지만, 자전거를 먼저 그렸으니 어떻게 할까 하다가, 그래, ‘자전거 아이’를 안장에 세운다. 바람을 가르며 자전거를 훨훨 날듯 달리는 아이가 된다. 꽃밭을 날아가고 바닷물을 가로지르며 하늘과 숲을 넘나드는 ‘자전거 아이’. 이 그림은 우리 집 부엌 벽에 붙인다. ㅎㄲㅅㄱ

 

(최종규 . 2013)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hnine 2013-08-01 11:24   좋아요 0 | URL
산들보라의 그림은 아주 역동적인데요!

숲노래 2013-08-01 17:51   좋아요 0 | URL
죽죽 긋는 금들이 아주 힘찹니다~

appletreeje 2013-08-01 19:48   좋아요 0 | URL
언제나 그림이 그려지는 과정,을 만나는 일이 참 즐겁습니다.
그림에 덧 붙여지는 모양과 색깔들을 따라가다 어느덧 완성된, 그림을 보면
"와~!" 감탄이 절로 나오네요~~^^

숲노래 2013-08-01 23:06   좋아요 0 | URL
언제 한 번 집에서 즐겁게 그림놀이 해 보셔요~~~
 

아홉 차례

 


  날이 더울 적에 아이를 아홉 차례 씻긴 적 있다고 장모님이 말씀한 적 있다. 그래, 더운 날에는 이렇게 씻길 수 있구나. 참말 더운 날이라면 아홉 차례가 대수로울까. 열 차례 스무 차례도 씻겨야 할 수 있겠지. 손과 낯을 자주 씻기고 옷도 자주 갈아입히면서. 4346.7.31.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아빠 육아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시골살이 일기 19] 마음을 살찌우는 길
― 어떻게 살아가고 싶은가

 


  도시에서 살거나 시골에서 살거나 마음 깊이 ‘어떻게 살아가고 싶은가’를 생각해야지 싶어요. ‘어떻게 살아가고 싶은가’를 생각하지 못한다면 어디에 있든 마음을 즐겁게 못 다스리리라 느껴요.


  아이들이 자라 푸름이가 될 때에, 이 아이들은 ‘어느 대학교에 갈는지’ 때문에 골머리를 앓아서는 안 된다고 느껴요. 아이들은 ‘어느 대학교에 갈는지’가 아니라 아이들 스스로 ‘어떻게 살아가고 싶은가’를 생각해야 한다고 느껴요. 맨 먼저 ‘어떻게 살아가고 싶은가’를 깨달아야, ‘무엇을 할까’를 찾을 수 있고, ‘무엇을 할까’를 찾으면 ‘어디에서 어떤 길을 걸어가면 될까’를 알아낼 수 있어요.


  살아가고 싶은 모습을 제대로 짚지 못한 채 대학교에 간다면, 이 아이들은 대학교에서 술·담배·짝짓기 세 가지에만 휘둘려요. 전국 곳곳에 있는 대학교마다 술집 잔뜩 있고 옷집 길게 있으며 찻집 지나치게 많은 까닭을 생각해요. 왜 대학교 앞에는 여관방이 이리도 많을까요. 삶을 밝히지 않은 채 아이들이 입시공부에 파묻히기 때문에 꿈이나 사랑을 살피지 못해요. 먹고 마시고 노는 흐름에 사로잡히지요.


  가만히 보면 어른들이 만든 사회는 어른 스스로한테부터 재미없어요. 어른 스스로 톱니바퀴 되어 쳇바퀴를 도는 수렁에 사로잡혀요. 삶이 아닌 수렁이 되고, 사랑이 아닌 돈벌기에서 끝나요.


  꼭 시골로 가야 ‘어떻게 살아가고 싶은가’를 생각한다고는 느끼지 않아요. 어느 자리에 어떻게 있든 삶을 생각하고 사랑을 헤아릴 수 있기를 빌어요. 나는 오늘도 가장 맑은 빛 한 줄기 누리고 싶다고 생각하며 하루를 엽니다. 마을빨래터에서 놀고, 뒷산 골짜기에서 놀자고 생각합니다. 맑게 흐르는 물줄기 바라보며 내 마음이 맑게 흐르기를 바랍니다. 푸르게 부는 바람을 느끼며 내 몸이 푸르게 피어나기를 꿈꿉니다. 4346.7.31.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3)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appletreeje 2013-07-31 09: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유...물이 참 좋군요...^^
아침부터 햇빛 쨍쨍나는 날씨에 오늘도 무덥겠구나 생각하다
골짝물 시원한 물 사진 보며, 청량하고 좋은 하루 시작합니다.
오늘도 참으로 고맙습니다~

숲노래 2013-07-31 13:09   좋아요 0 | URL
이 여름에
즐겁게 물놀이 마실도 다녀 보셔요.
참 시원하더라구요~
 

두렵지 않은 마음

 


  아버지로서 아이들 도맡아서 돌볼 적에 두렵다고 느낀 적은 아직 없어요. 왜냐하면, 사랑스러운 아이들과 함께 지내는 데에 무엇이 두려울까 싶어요. 내가 어른으로서 이런저런 바깥일, 그러니까 사회 활동을 못할까 두려울까요? 그러나, 나는 이런 느낌 받은 적 없어요. 강의나 강연을 가더라도 늘 먼저 말해요. “저는 늘 아이 돌보기를 도맡아 하기에, 강의를 하러 갈 적에도 아이를 데려가요.” 하고. 다시 말하자면, 어린 아이들 데리고 갈 수 없는 강의 자리는 아예 가지 않아요. 이러다 보면, 강의 자리는 아주 뜸하고, 돈을 벌 자리도 되게 많이 줄지요.


  그렇지만 내 삶에서는 ‘강의’보다 ‘아이’가 먼저예요. 강의 한 번 할 적에 100만 원을 준다 하더라도 아이를 데리고 갈 수 없는 자리라면, 나로서도 들려줄 만한 이야기가 없는 자리가 되리라 느껴요.


  아이 둘을 도맡아 돌보니까, 자전거를 타더라도 두 아이를 자전거수레에 함께 태워야 해요. 큰아이가 다섯 살이던 해에는 둘 모두 수레에 태웠고, 큰아이가 여섯 살 된 뒤부터는 큰아이는 따로 샛자전거를 붙여서 샛자전거에 태워요. 이러거나 저러거나, 나는 자전거를 탈 때면, 자그마치 40킬로그램 가까운 수레와 샛자전거를 붙이고는, 40킬로그램쯤 되는 두 아이를 태우고 다니지요. 그래도 나는 이 아이들 데리고 자전거를 몰면서 두렵다고 느낀 적 없어요. 오르막에서는 되게 무겁네 하고 느끼면서도, 그만큼 더 힘을 내야지 하고 생각해요. 두려움이 아닌 즐거움이라고 할까요, 새로움이라고 할까요.


  적잖은 아버지들은 아이 하나나 둘을 도맡아 하루를 보내야 할 적에 몹시 두렵다고 말해요. 스물네 시간 아이와 함께 지내야 하니, 스물네 시간 이녁 마음대로 못 쓰거든요. 그런데, 참 마땅한 노릇이에요. 아버지이고 어머니이고 떠나, 어버이라면, 아이하고 스물네 시간 함께 보내야 맞아요. 어느 어버이가 아이하고 스물네 시간 안 보내면서 살아가겠어요.


  아버지들이 스스로 어떻게 태어나 오늘까지 살아갈 수 있는가 생각할 수 있기를 빌어요. 아버지들이 아름다운 삶과 사랑스러운 꿈을 마음에 담고 즐겁게 하루하루 누리는 길을 걸어가기를 빌어요.
  아이들은 말예요, 하루 스물네 시간 아니라, 하루 마흔여덟 시간도 참말 개구지게 놀아요. 노니까 아이들이에요. 그냥 아이들과 놀면 되어요. 아버지들, 이 나라 모든 예쁜 아버지들, 아이들과 활짝 웃으면서 놀아요. 빙긋빙긋, 싱긋싱긋, 곱게 웃으면서 놀아요. 참말 재미있답니다. 두려움 아닌 기쁨만 있어요. 4346.7.30.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아빠 육아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