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왜 읽어야 할까

 


  둘째 아이는 일찍 일어난다. 매우 일찍 일어난다. 첫째 아이를 어떻게 돌보며 살았는가 더듬으면, 첫째 아이는 둘째보다 한 시간 반 즈음 더 일찍 일어났다. 첫째 아이와 살던 곳은 인천 골목집이었고, 이때에는 내가 새벽에 일어나 셈틀을 켜고 글을 쓸라치면 셈틀 불빛이 방 한쪽을 비추어 아이가 일찍 깰밖에 없었으리라 느낀다. 둘째를 낳고 살아가는 시골집은 자그맣지만 칸이 알맞게 나뉘었기에, 옆방에서 셈틀을 켜면 불빛이 조금만 샌다.


  그러나 아이들이란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법이라 하지 않는가. 게다가, 일찍 일어나는 둘째는 아주 고맙게 새벽 여섯 시 반이든 아침 일곱 시나 일곱 시 반이든 똥을 한 차례 푸지게 눈다. 이러고 나서 두 시간쯤 뒤 거듭 똥을 푸지게 눈다. 아이 둘과 살아가며 다섯 해째 아침마다 아이들 똥치우기를 하고 똥빨래를 하면서 보낸다. 내 손은 똥을 치우고 빨래하는 손이요, 이 똥내 나는 손으로 글을 쓴다.


  어제 홀로 순천 헌책방으로 책마실을 다녀왔다. 두 아이를 데리고 가려 했으나 옆지기가 둘 다 놓고 가라 했다. 첫째 아이라도 데려가 책방 아이하고 놀게 해도 좋으리라 생각했지만, 두 아이를 떼어놓지 말자는 말에 고개를 끄덕인다. 그래도 첫째 아이를 데려가고 싶었으나, 아침부터 밥을 안 먹고 개구지게 놀며 낮밥조차 제대로 안 먹으려 해서, 집에서 밥을 먹으라 하고 혼자 나왔다. 이리하여 나는 고흥버스역부터 시외버스를 거쳐 책방에 닿고, 다시 시외버스를 거쳐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아주 느긋하게 책을 읽는다. 버스역에 서서 기다리는 동안 책 한 권을 읽고, 시외버스로 나가는 길에 책 한 권을 읽으며, 다시 시외버스를 타고 돌아오는 길에 책 한 권을 읽는다. 헌책방에서는 책을 백 권 이백 권 삼백 권 …… 남짓 살피다가는 예순 권 즈음 장만했다.


  아이 둘을 떼어놓고 혼자 나들이를 한 적이 언제였는지 떠오르지 않는다. 아이들과 다니면 아이들 바라보고 챙기느라 다른 일은 하나도 할 수 없다. 아이들과 버스를 타고 돌아다닐 때에 책을 손에 쥘 수 없다. 아이 오줌기저귀를 갈고 똥바지를 빨며 책을 손에 쥘 수 없다. 아이들 밥을 차리고 설거지를 하며 책을 손에 쥘 수 없다. 내 손에 빗자루를 들 때에 책을 나란히 들 수 없다. 이불을 털고 말리면서 책을 손에 쥐지 못한다. 아이들 물끄러미 바라보다가 사진 몇 장 겨우 찍지만, 책을 펼치지 못한다.


  문득 생각한다. 내가 그림책 읽기를 좋아하지 않았다면, 아이들과 살아가며 책을 한 권이나마 기쁘게 펼칠 수 있었을까. 첫째 아이를 불러, 또는 둘째 아이를 무릎에 앉혀, 그림책을 펼친다. 아이들한테 그림책을 읽혀 준다고 말하지만, 막상 내가 읽고 싶으니까 그림책을 장만해서 아이들한테 읽힌다. 첫째 아이는 스스로 그림책 하나 골라서 읽기도 한다. 나는 나대로 내가 좋아하는 그림책을 찬찬히 넘기며 즐긴다.


  그림책을 덮고 아이가 눈 오줌을 치운다. 빨래를 걷고 갠다. 노래를 부르고 아이들이랑 살을 부비며 논다. 사람들은 책을 왜 읽어야 할까 생각한다. 사람들은 책을 읽어서 무엇이 어떻게 좋아질까 헤아려 본다. 사람들은 책을 보배로 여기는가, 재산으로 삼는가, 자랑거리로 드러내는가, 좋은 벗으로 사귀는가, 반가운 스승으로 모시는가, 재미난 이야기로 느끼는가, 한 번 읽고 덮으면 끝이라 생각하는가.


  책을 책답게 사랑할 수 있으면, 이웃을 이웃답게 사랑할 수 있겠지. 그런데, 사람들이 먹는 쌀은 누가 지었을까. ‘대통령이나 국회의원 뽑을 때에 누구한테 표를 준 흙일꾼’이 지은 쌀을 ‘어떤 성향과 생각과 마음으로 살아가는 사람’이 사다가 먹는가. 능금 한 알을 사다 먹는 사람 가운데 이 대목을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까. 숲길을 거닐며 나무 한 그루 누가 심었는지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까. 마른오징어를 뜯어먹으며, 이 오징어를 손질한 사람 정치빛을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까. 버스를 타고 택시를 타며 전철을 타면서, 이 탈거리를 모는 일꾼은 왼쪽인가 오른쪽인가 하고 따지는 사람이 있을까. 아기한테 젖을 물리는 어머니는 이 아이가 앞으로 왼쪽이 될는지 오른쪽이 될는지 생각하지 않는다. 어머니젖을 먹고 자란 아이가 어른이 되어 정치를 하건 문학을 하건 스스로 가야 할 길을 즐겁게 걸어갈 뿐이다. 책은 무엇이고, 책에 담는 생각은 무엇이며, 책으로 빚는 글이란 무엇인가. 사람들은 책을 왜 읽어야 하고, 책을 읽는 사람은 무엇을 얻으면서 삶을 누리는가.


  두 아이가 서로 얼크러지며 논다. 한놈이 이리 달리면 한놈이 이리 좇는다. 한놈이 이리 뒹굴면 한놈이 이리 뒹군다. 한놈이 흙을 파헤치며 까르르 웃으면 한놈 또한 흙을 파헤치며 깍깍 웃는다. 가장 좋은 책은 내 곁에 있다. 가장 사랑스러운 책은 내 가슴에 품으면서 산다. (4345.6.13.물.ㅎㄲㅅㄱ)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pourquoi28 2012-06-13 20:00   좋아요 0 | URL
어릴 때
책 읽어주는 사람 없이 자랐지요
어른이 되어서
내 아이한테 책 읽어주는 엄마가 되었지요
지금은 학교에서 故事媽媽 되어
남의 아이들에게 ppt로 책 읽어주고 있어요
그건, 제가 그림책을 좋아하니까 즐겁게 보여주죠^^

숲노래 2012-06-13 20:07   좋아요 0 | URL
종이로 된 책을 읽어 주는 사람은 없었을는지 모르나,
삶으로 사랑을 들려준 분들은 많았으리라 믿어요.
이 힘이 있기에 오늘처럼 살아갈 수 있겠지요..
 


 시외버스

 


  이리저리 흔들리던 시외버스인데, 갑자기 흔들림이 줄어든다. 순천에서 고흥으로 들어가는 저녁 일곱 시 반 시외버스에는 모두 다섯 사람이 탔는데, 저녁 여덟 시 즈음 되어도 아직 훤한 햇살이 버스 창가로 스며드는 이즈음, 시외버스 모는 일꾼이 등불을 켠다. 시외버스 안이 더 환하게 밝아진다. 아, 시외버스 일꾼인 아저씨는 당신 아들(또는 막내동생)과 같은 아저씨인 내가 시외버스 창가에 앉아 저녁빛에 기대어 책을 읽고 글을 쓰는 모습을 뒷거울로 보고는 내 눈이 다칠까 근심하셨는가 보다(나는 마흔에 가까운 아저씨이고, 시외버스 일꾼은 예순에 가까운 아저씨이다). 고마운 손길, 고마운 마음, 고마운 생각이 천천히 감돈다. 나는 그만 볼펜을 내려놓고 책은 무릎에 올려놓은 채 머리를 걸상에 폭 기댄다. 살작 눈을 감고 쉬기로 한다. 그러나 이윽고 눈을 뜨고 다시 책을 읽는다. 조용히 알맞게 달리는 시외버스 밝은 불빛에 기대어 시집 한 권을 즐겁게 읽는다. (4345.6.12.불.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제비 바라보기 1

 


  빨래를 널다가 제비집을 바라본다. 어미 제비가 날아들어 새끼 제비한테 먹이를 주는구나 싶어 고개를 들어 올려다보는데, 어, 이번에는 먹이를 주지 않는다. 꽁지를 뒤로 하며 둥지 밖으로 궁디를 내민 새끼 제비 똥구멍을 부리로 콕콕 찍더니 똥을 잡아당겨 뽑는다. 고양이나 개는 어린 고양이나 어린 개 똥구멍을 핥으며 똥을 누도록 돕는데, 어미 새는 새끼 새가 똥을 잘 눌 수 있도록 잡아당겨 주기도 하는구나. 아직 날갯짓을 못 하고, 조그마한 둥지에 여럿이 옹크려 지내기만 하니까, 아기들 똥누기를 이처럼 거들어야 하는구나. 곰곰이 생각하면, 사람도 어버이가 아기들 똥오줌 누기를 옆에서 거들고, 하나하나 치운다. 아기가 스스로 서며 똥오줌을 가리기 앞서 어버이가 아기들 똥오줌을 신나게 치운다. 똥오줌 잘 누라고 배를 쓰다듬기도 한다. (4345.6.8.쇠.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돈나물꽃 먹기

 


  아이들 외할아버지가 잔뜩 뜯어다 주신 돈나물은 노란 꽃송이가 함초롬히 달렸다. 이렇게 꽃송이 달린 녀석을 먹어도 좋을까 하고 살짝 생각하다가는, 올봄에 자운영꽃을 자운영잎과 함께 맛나게 먹던 일을 떠올린다. 광대나물도 광대나물잎이나 광대나물줄기만 먹지 않고 광대나물꽃까지 나란히 먹었다. 그러니까, 돈나물잎 또한 돈나물꽃이랑 함께 먹으면 될 테지.


  여러 푸성귀를 잘게 썬다. 넓은 통에 담아 버무린다. 작은 접시에 담는다. 아이도 먹고 어른도 먹는다. 풀을 먹고 꽃을 먹는다. 풀을 먹는 내 몸은 풀빛이 되고, 꽃을 먹는 내 마음은 꽃노래가 된다. (4345.6.7.나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포스코 전기세 (고흥 화력발전소를 반대하며)

 


  포스코 회사가 꾸리는 광양제철소와 포항제철소에서 쓰는 전기 가운데 70%를 스스로 만들지만, 나머지 30% 전기세로 낸다고 합니다. 포스코에서 바깥으로 널리 밝히지 않으니 알 길이 없다고 하지만, 지난 2011년에 포스코가 전기세로 쓴 돈은 2700억 원이라느니 5200억 원이라느니 하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한국전력에서 포스코한테 ‘원가’로 전기를 대 주었기에 퍽 값싸게(?) 전기를 썼고, 제대로 전기세를 셈했으면 6000억 원은 내야 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곧 전기세가 다시 오른다 해서 포스코는 330억 원인지 수백 억 원인지를 전기세로 더 낸다고 합니다.


  나는 옆지기랑 두 아이하고 네 식구 살림을 꾸리기는 하는데, 한 달 전기값으로 1만 원을 넘긴 적이 없습니다. 나 혼자 살던 때에는 전기값을 두 달이나 석 달에 한 번씩 내곤 했습니다. 나 혼자 살던 때에는 ‘고지서를 낼 만큼 전기를 쓰지 않’아서 두 달이나 석 달에 한 번 고지서가 나왔어요.


  시골에서 살아가는 우리 네 식구 전기값은 참 적습니다. 우리 이웃집 또한 전기를 참 적게 씁니다. 시골에서 살아가는 사람들 가운데 전기를 펑펑 쓸 사람은 없다 해도 틀리지 않습니다. 그런데, 전기가 모자라다며 아우성을 칠 때에, ‘도시에 발전소를 새로 지어야겠다’고 말하는 일이란 없어요. 언제나 바람 맑고 햇볕 좋고 물 시원한 시골에 발전소를 짓겠다 합니다. 시골에 발전소를 짓고는 우람한 송전탑을 길디길게 도시까지 잇겠다고 해요. 발전소와 송전탑이 시골마을을 어떻게 어지럽히고 얼마나 더럽히는가를 헤아리는 이가 드물어요.


  전기를 많이 써서 전기가 모자란 데는 도시인데, 왜 시골에 발전소를 지으려 할까요. 시골이 땅값이 싸고 발전소 반대할 사람 숫자가 적어서? 시골 어르신들은 땅 팔아 아이들한테 물려줄 생각을 하니까, 시골에 땅 사들여 발전소 짓기 좋아서?


  전기가 모자라다면 온 나라에 구석구석 있는 고속도로나 고속철도 지붕을 햇볕전지판으로 대고는 전기를 얻어도 될 텐데, 막상 이런 생각을 하는 사람이 없습니다. 도시에서는 찻길 지붕을 햇볕전지판으로 마련하면 도시에서 쓸 전기를 꽤 넉넉히 얻을 뿐 아니라, 도시 건물을 덥히거나 식힐 기운을 얻을 수 있겠지만, 정작 이렇게 생각을 하며 시설을 마련하는 일은 찾아볼 수 없습니다. 오직 지하자원만 쓰려 해요. 오직 시골에 발전소를 지어 시골을 망가뜨리려 해요. 사람들은 도시에서 살아가며 바보가 돼요. 사람들은 도시에서 일을 하며 사랑을 스스로 버려요. (4345.6.4.달.ㅎㄲㅅㄱ)

 


(이음글 1) http://blog.aladin.co.kr/hbooks/5658063
(이음글 2) http://blog.aladin.co.kr/hbooks/5382731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카스피 2012-06-05 02:05   좋아요 0 | URL
국내 전기료가 싸니 전기값 귀한줄을 모르고 펑펑 쓰는것이 사실인것 같습니다.어디에 쓰인 말처럼 전기는 국산이지만 그 원재료는 수입산이니 아껴야 되는데 사람들이 그 사실을 자꾸 까먹는것 같습니다.

숲노래 2012-06-05 07:28   좋아요 0 | URL
전기를 만들며 자연과 시골을 온통 망가뜨릴 뿐 아니라, 도시에서는 도시 터전을 마구 허무는 모습을 본다면, '값이 싸다'고 할 수 없어요.

어쩌면, '체감 온도'로는 싸다고 여기기에, 지구별을 마구 망가뜨리는 전기일 수 있겠지요

책읽는나무 2012-06-05 07:32   좋아요 0 | URL
참 안타까운 일이네요.
안그래도 시골엔 항상 사람보다도 그러한 것들로 넘쳐나는 것같습니다.
무언가를 짓게 해준다면 보상을 해주겠다라고 하지만..ㅠ
전기를 아껴써야겠다는 생각을 또 해보네요.
전 한 달 전기세를 3만원을 넘기지말자라고 생활하고 있는데,님은 만 원을 넘기지 않으신다니...ㅡ.ㅡ;;
갑자기 진주님의 전기세에 관한 페이퍼가 생각나네요.
나부터 전기를 좀 더아껴야 할 듯.^^

숲노래 2012-06-05 07:58   좋아요 0 | URL
전기를 아끼는 일은 그리 대수롭지 않아요.
집에서 어떤 물건을 어떻게 건사하느냐를 살펴볼 수 있으면 돼요.

전기 아끼는 일에 앞서,
'전자파 문제'를 잘 헤아려 보셔요.

전자파가 사람한테 매우 나쁘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