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빛씨를 심다 (2024.3.28.)

― 부천 〈빛나는 친구들〉



  레오 리오니 님이 남긴 그림책 가운데 《프레드릭》은 일찌감치 《잠잠이》란 이름으로 나왔고, 《매튜의 꿈》은 예전에 《그리미의 꿈》이란 이름으로 나왔습니다. ‘프레드릭’이나 ‘매튜’라는 이름을 살려도 안 나쁘되, ‘잠잠이’하고 ‘그리미(그림이)’처럼 새로 빚은 이름은 놀라우면서 아름답게 사랑입니다.


  가만히 잠기듯 빛으로 나아가는 길이 ‘잠’입니다. 온하루를 새롭게 일구려는 꿈이니 ‘그림’입니다. 우리가 어른으로서 어린이 곁에 서는 상냥한 숨빛이라면, 바로 ‘잠’하고 ‘그림’ 두 가지를 어질게 들려줄 노릇이라고 봅니다.


  부천 〈대성서적〉에 한참 책을 누렸습니다. 〈빛나는 친구들〉로 걸어갈까 하다가, 부천버스 8을 타려고 기다립니다. 꽤 오래 기다립니다. 안 기다리고 걸었으면 진작에 〈빛나는 친구들〉에 닿았겠거니 싶습니다. 그러나 늘 걸어다니는 삶인 터라, 이따금 일부러 버스를 타면서 다르게 마을을 바라보곤 해요.


  걷는 자리에서 보는 마을하고, 버스나 자가용을 타면서 보는 마을은 아주 다릅니다. 걷는 자리에서 보는 사람과 나무와 풀꽃이랑, 버스나 자가용을 타다가 휙 지나치는 사람과 나무와 풀꽃은 그지없이 다릅니다.


  철을 밝히는 ‘비’를 느끼고 알자면 걸어야 합니다. 아침저녁으로 갈마드는 ‘빛’을 느껴서 알려면 걸어야 합니다. ‘나’를 알고 ‘너’를 보려는 마음이라면 걸을 일입니다.


  천천히 해가 기웁니다. 해가 모두 넘어간 저녁에 마을책집에서 이야기꽃을 밝힙니다. 두런두런 이야기가 흐르다가 떡볶이도 사이에 놓습니다. 올해에 태어난 《우리말꽃》이란 책을 쓰담쓰담하다가, 말글지기라는 길을 걸은 서른 해를 돌아봅니다. 어느새 서른 해를 걸었더군요. 1994년에 틀림없이 “내가 앞으로 어느 길을 걷든, 서른 해쯤은 걸어야 빛을 볼 테지. 그런데 서른 해를 걸었어도 빛을 못 본다면, 그때에는 다시 서른 해를 걷자.” 하고 혼자 고요히 생각했어요.


  시골에서는 개구리가 깨어나서 노래하고, 봄맞이새도 찾아와서 함게 노래잔치인 밤입니다. 큰고장에서는 개구리도 봄맞이새도 풀벌레도 만나기 어렵습니다. 그래도 우리 보금자리에서 울리는 밤노래가 부천 기스락까지 퍼지리라 여기면서 길손집에 깃듭니다. 짐을 풀고서 씻고 눕습니다. 초 한 자루를 켭니다.


  촛불을 켜놓고 가만히 바라보노라면, 촛불에 사람이 나타나기도 하고, 여러 말소리가 들려요. 마음을 다스리는 짬을 내면, 언제나 스스로 피어납니다. 빛을 보는 마을길입니다. 빛을 그리는 살림길입니다. 빛씨를 심는 하루길입니다.


ㅅㄴㄹ


《출판햇, 1인 명랑 출판기》(공은혜, 마음모자, 2023.11.27.)

《엄마한테 가고 싶은 날》(박희정, 2022.10.20.첫/2023.6.1.2벌)

《출판문화 696》(편집부, 대한출판문화협회, 2024.1.8.)

《신경쇠약 직전의 여자》(이계은, 빨간소금, 2024.3.13.)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철마다 새롭게 (2023.4.15.)

― 부산 〈비온후〉



  여름은 맨발로 흙을 디디며 일하거나 놀기에 즐겁습니다. 가을은 가랑잎이 감겨드는 흙을 부드러이 어루만지면서 하늘빛을 머금기에 기쁩니다. 겨울은 시든 풀줄기가 싯누런 빛으로 사그락사그락 부서지는 소리를 들으면서 고즈넉합니다. 봄은 맨손으로 흙을 만지면서 햇볕을 쬐고 바람을 마시기에 반갑습니다.


  온나라에 마을나무랑 골목나무가 옅푸른 잎빛으로 맑게 번지는 철에 부산으로 마실합니다. 어제에 이어 오늘도 이야기꽃을 펼 텐데, 먼저 마을을 휙 돌아봅니다. 이미 한 바퀴 돌아본 마을이어도 다시 돌아봅니다. 예전은 예전이고, 어제는 어제입니다. 오늘은 오늘이요, 모레는 모레예요.


  우리 집 마당에서 날마다 보는 나무도 아침저녁으로 다릅니다. 나날이 다르고, 다달이 다르며, 철철이 다를 뿐 아니라 해마다 달라요. 으레 거니는 길이어도 모든 날마다 새롭게 보는 바람과 해와 소리와 숨결이 있습니다.


  같은 책을 되읽는 뜻하고, 같은 길을 다시 걷는 마음은 같아요. 쳇바퀴로 여기면 늘 똑같아 보여서 지겹거나 싫을 테지만, 언제나 새롭게 피어나는 삶인 줄 알아차린다면 “겉모습이 얼핏 비슷해 보여도 늘 다른” 결을 맞아들일 만합니다. 같은 책을 천천히 되읽을 적에도, 늘 새삼스레 깨달으면서 눈뜨는 밑동이 있어요.


  저는 아이를 낳아 돌보는 길이 ‘힘들다’고 느낀 적이 여태 없습니다. 이때에는 이렇구나 하고 느끼고, 저때에는 저렇네 하고 느낍니다. 이 일은 이렇게 하는구나 하고 배우고, 저 일은 저렇게 여미는구나 하고 고개숙입니다. 어설프거나 엉성한 매무새는 “아하, 이렇게 하니까 어설펐네” 하고 뉘우칩니다. “저런, 난 여태 이 살림길을 마음에 안 담았구나. 참 바보스러웠네” 하고 되새깁니다. 모든 하루는 즐겁게 배우는 꽃날입니다. 배우니 꽃날이요, 안 배우니 끄트머리인 벼랑입니다.


  새벽에 문득 떠올라 몇 가지 노래를 씁니다. 하나는 〈비온후〉라는 책집이름을 붙인 노래요, 둘은 “내가 안 쓰는 말”이라는 글머리로 잇는 노래예요. 이제까지 쓴 노래는 “내가 쓰는 말”을 글감으로 삼았는데, “나는 안 쓰되, 둘레에서 흔히 쓰는 말”을 놓고서 어떻게 달래어 풀어낼까 하는 마음을 담아 봅니다.


  수런수런 말이 오갑니다. 사근사근 이야기가 흐릅니다. 사람과 삶과 사랑이 맞물리는 실타래를 살짝 풀고서 길손집으로 돌아가는 밤에 생각합니다. 낱말책을 쓰고 책을 읽는 사람이기에, 길손집 책자리가 대수롭습니다. 책을 펴고서 읽을 뿐 아니라, 붓을 쥐어 글을 쓸 만한 자리가 느긋한 곳에서 하루를 묵으면 아늑해요. 한 손에는 호미를 쥐어 흙을 만지고, 다른 손에는 붓을 쥐어 꿈을 토닥입니다.


ㅅㄴㄹ


《헌책방에서 보낸 1년》(최종규, 그물코, 2006)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반가워요 (2020.12.16.)

― 전주 〈한가서림〉



  우리 곁에 흐르는 철은 늘 새롭게 몸마음을 어루만지는 바람결이자 볕살입니다. 한겨울에 전주마실을 하면서 〈한가서림〉에 깃듭니다. 책집 바깥담에 ‘전주미래유산 34’라고 판이 붙었어요. 이런 판을 붙여 주니 반가우면서도, “판은 안 붙여도 되니, 전주시장과 전주시 사람들이 꾸준히 책마실을 다니기”를 바랍니다. 책집지기는 이름값을 바라지 않아요. 가까우면 틈틈이 마실하는 이웃을 바라고, 멀리 살면 모처럼 얼굴을 마주하면서 이야기를 하기를 바랍니다.


  요 몇 해 사이에 일본한자말 ‘환대’가 지나치게 퍼졌습니다. 우리말은 ‘반갑다·반기다’인데 다들 잊은 듯싶더군요. ‘반갑다’에서 ‘반’은 ‘반반하다·밝다·밤·받다·받아들이다·받치다·바탕·바다·바람’하고 말밑이 나란하지요. 낱말 하나를 놓고서 마음을 밝히는 길을 눈여겨보면 서로 반짝일 수 있습니다.


  이웃 어린이를 만나서 문득 “넌 ‘환대’가 무슨 뜻인지 아니?” 하고 물어보면, 거의 다 모릅니다. 이 일본말을 좋아하는 어른이 너무 많은 듯싶은데, 그만큼 어린이 곁에 없다는 셈일 테지요.


  말은 늘 마음에서 나오고, 말이 새롭게 마음을 가꿉니다. 어떤 하루와 삶과 일을 맞이할 적에라도, 스스로 채찍을 휘두르는 말을 엮어서 떠올리거나 쓰다 보면, 스스로 갉아먹으면서 미워하는 길로 나아갑니다. 말은 “고르고 골라”서 해야 할 노릇입니다. ‘말’을 ‘말’이라고 쓰는 길부터, ‘마음’을 ‘마음’이라고 바라보는 걸음부터, 좋음도 나쁨도 싫음도 미움도 아닌, 스스로 풀어내어 녹이는 눈을 뜨려고 한다면, 누구나 오늘부터 거듭납니다. 말을 고르고, 가리고, 가누고, 가늠하고, 가꾸고, 가다듬고, 가붓이 사랑하는 사람은 마음꽃을 사르르 피웁니다.


  들에 들풀 한 포기가 자라고, 마음에 마음꽃이 한 송이 자랍니다. 낱말 하나를 어루만지면서, 알찬 낱말책을 늘 곁에 두는 이웃님이라면, 말빛으로 노래하는 하루를 즐기면서 더없이 아름답겠지요.


  풀을 푸르게 반기면서 풋풋합니다. 풀빛을 담은 책과 글을 가까이하면서 푸근합니다. 푸른노래로 말결을 가다듬는 사이에 푸짐하게 살림을 일구는 실마리를 찾아요. 풀고 품고 풋풋하니, 품앗이라는 길을 새삼스레 알아차립니다.


  모든 책은 삶을 다루고, 모든 삶은 살림을 지피는 씨앗입니다. 모든 말은 마음을 담고, 모든 마음은 생각을 심는 밭입니다. 밤새 이슬이 맺은 풀잎을 훑으면서 눈을 밝게 뜹니다. 바람을 마시고 바다를 안으면서 발바닥에도 손바닥에도 파란하늘이 스며듭니다.


ㅅㄴㄹ


《야나기 무네요시》(국립현대미술관, 2013.5.25.)

《할머니 제삿날》(이춘희 글·김흥모 그림, 비룡소, 2011.1.21.)

《우리들의 흥겨운 밴드》(베라 B.윌리엄스/최순희 옮김, 느림보, 2005.6.27.)

《소년소녀 세계문학 르네상스 50 메리 포핀스》(이상우 글·정선지 그림, 대우출판사, 1991.10.10.)

《꽃의 도시 2》(타카하시 콘도/최윤희 옮김, 서울문화사, 2009.2.25.)

《D.D 보이 1》(김미림, 파랑새, 1994.4.27.)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작은걸음 (2023.6.16.)

― 인천 〈아벨서점〉



  ‘도서관’은 일본말입니다. 우리 삶터에 흐르는 말은 모름지기 모두 우리 살림살이를 그리는 낱말이었고, 중국을 섬기던 조선이었어도 사람들 말살림은 수수하게 시골말이었으나, 일본이 총칼을 앞세워서 이 땅을 한참 집어삼킨 뒤부터는 온통 일본말이 잡아먹었습니다.


  일본이 물러간 지 여든 해 가까워도 일본말·일본말씨·일본 한자말을 못 걷어내었다면, “안 걷어냈다”고 해야 맞지 싶습니다. 조선 오백 해에는 중국말·중국말씨·중국 한자말이 글힘(언어권력)이었다면, 총칼수렁부터 오늘에 이르도록 일본말이 글힘인 셈입니다.


  일본말 ‘도서관’을 바꿀 뿐 아니라, 이름 그대로 온누리가 푸르기를 바라는 뜻으로 ‘책숲’이라는 낱말을 지어 보았습니다. 책으로 숲을 이루고, 숲을 책에 담아서, 마음과 말에 푸른말이 너울거리기를 바라요. 책을 빌려서 읽는 곳도 책숲이고, 책을 사고파는 집인 책집도 책숲입니다. 우리 살림집도 책숲입니다. 어느 곳이나 숲입니다. 살림집은 보금자리이니 보금숲이면서 보금책숲입니다. 마을책집은 마을책터이면서 책마을숲입니다.


  우리는 책집마실을 하는 길에 책집에 있는 모든 책을 사들이지 않습니다. 이 책을 기웃하고 저 책을 들추다가 한둘이나 서넛이나 여럿을 품습니다. 한꾸러미를 장만하더라도 책시렁은 그리 비지 않습니다. 사들이는 책보다 ‘서서읽기’로 누리는 책이 훨씬 많다고 할 책집마실입니다. 서서읽기를 즐기다가 ‘두고읽기’로 이으려는 책을 골라서 장만합니다.


  인천 배다리 〈아벨서점〉에 깃들었다면, ‘아벨책숲’을 한껏 누리는 작은걸음으로 차근차근 책빛을 누리다가 이야기를 품는다는 뜻입니다. 돌고도는 책이 우리 집에 머물면서 우리 마음을 북돋우기를 바라는 길입니다.


  책집은 “책으로 거듭난 숲”을 온몸으로 맞이하고 온마음으로 헤아리는 자리입니다. “삶에서 책이 모두”인 하루가 아닌, “삶에 책을 곁에 놓는” 하루를 펴는 마당입니다. 책집이나 책숲은 ‘문화공간’도 ‘복합문화공간’도 아닙니다. 책으로 일구는 집이요, 책으로 가꾸는 숲입니다.


  책이란, 고요를 깨고서 새롭게 아늑할 자리를 짓는 작은걸음입니다. 책집이란, 숨길을 트고서 문득 일어설 자리를 여는 작은씨앗입니다. 책숲이란, 생각을 담아서 신나게 뛰놀 들판으로 나아가는 작은몸짓입니다. 마음을 채우고, 꿈을 챙기면서, 이야기를 차곡차곡 건사하는, 착한 넋으로 책을 손에 쥡니다.


ㅅㄴㄹ


《중국의 ‘자유’ 전통》(윌리엄 시어도어 드 배리/표정훈 옮김, 이산, 1998.4.24.첫/2004.7.16.2벌)

《淸貧의 思想》(나카노 고지/서석연 옮김, 자유문화사, 1993.5.15.)

《풍미風味》(김구용, 솔, 2001.5.30.)

《베이컨 隨筆集》(베이컨/최혁순 옮김, 집문당, 1977.4.20.)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좋은사람 (2023.6.16.)

― 인천 〈나비날다〉



  ‘좋은책’을 읽기에 ‘좋은사람’이 되지 않습니다다. ‘좋은마음’이란 따로 없습니다. ‘좋은길’조차 없습니다. ‘좋음·나쁨’은 ‘옳음·그름’으로 가르는 굴레이자, 싸움(전쟁)을 벌이는 불씨일 뿐입니다.


  ‘아름책’을 읽을 마음을 품지 않고서 자꾸 ‘좋은책’을 읽거나 알리려(추천) 한다면, 그만 끝없이 싸움을 걸면서 ‘니 쪽 내 쪽’으로 갈라치기를 하는 불구덩이에 잠겨듭니다. 아름다움에는 좋음도 나쁨도 없어요. 사랑에는 옳음도 그름도 없어요. 아름다움과 사랑은 ‘니 쪽 내 쪽’을 안 가릅니다. 언제나 어깨동무로 포근히 다독이면서 돌아보는 숨결이기에 아름다움이요 사랑이고, 아름책이자 사랑책입니다. 아름책이나 사랑책은 ‘베스트셀러’도 ‘스테디셀러’도 ‘고전’도 ‘추천도서’도 아닙니다. 아름답기에 아름책이고, 사랑이기에 사랑책입니다.


  지난날에는 힘·돈·이름을 거머쥔 무리가 이녁 담벼락을 높이는 글이며 책을 쏟아냈다면, 오늘날에는 새롭게  힘·돈·이름을 바라는 마음으로 글이며 책을 내놓는 분이 퍽 많습니다. 그런데  힘·돈·이름은 아름빛도 사랑씨앗도 아닙니다. 아름답거나 사랑스러울 적에는 죽음도 미움도 없어요. 이와 달리 안 아름답거나 안 사랑스러울 적에는 죽음하고 미움이 넘실거립니다.


  하루를 마무리하기 앞서 〈나비날다〉에 짐을 내려놓고서 숨을 돌립니다. 오늘 장만한 책이 큰더미이지만, 한 자락 더 살펴서 얹을 생각입니다. 두리번두리번하면서 여러 책을 들여다봅니다. 죽음이 아닌 살림을 이야기로 다루는 책이 무엇인지 헤아립니다. 미움이 아닌 사랑을 펴려는 책은 어디 있으려나 어림합니다.


  목소리는 목소리일 뿐, 말이나 이야기는 아닙니다. 목소리를 냈기에 “말을 한다”거나 “마음을 밝힌다”거나 “이야기를 한다”고 여기지 않아요. 그렇지만 어쩐지 목소리만 드높은 책이 꽤 많고, 마음을 나누면서 이야기꽃으로 가려는 생각을 씨앗으로 심으려는 책이 드뭅니다.


  타카하시 신 님이 여민 《좋은 사람》이라는 그림꽃이 있습니다. “좋은 사람”이란 무엇이고, “좋은 일”이란 무엇인지 수수께끼를 풀고픈 젊은이가 시골에서 서울(도쿄)로 가서 갖은 고비를 부딪히면서도 늘 웃는 마음을 다루는 줄거리입니다. 이이는 끝내 “좋은 길”을 못 찾았고, 시골로 돌아갑니다. 이이는 무엇을 찾았을까요? 스스로 마음으로 지피는 ‘사랑’이 있는 줄 알면 넉넉한 줄 깨달아요.


  좋은나라여야 하지 않아요. 좋아야 하지 않고, 좋아할 까닭이 없습니다. 책도 글도 매한가지입니다. 가르지 말아요. 좋아하니 스스로 좁히면서 마음이 졸아듭니다.


ㅅㄴㄹ


《바다를 주다》(우에마 요코/이정민 옮김, 리드비, 2022.12.26.)

#上間陽子 #海をあげる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