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2238) -의 : 나비의 하는 짓


바둑이는 나비의 하는 짓을 보고 속으로 ‘간사스럽다’고 중얼거렸지만

《이원수-도깨비와 권총왕》(웅진주니어,1999) 48쪽


 나비의 하는 짓을 보고

→ 나비가 하는 짓을 보고



  이원수 님은 〈고향의 봄〉이라는 동요를 쓰면서 “나의 살던 고향은”처럼 글을 썼습니다. 이런 말버릇 탓에 “나비의 하는 짓” 같은 말투도 문득 튀어나옵니다. “내가 살던 고향은”으로 바로잡아야 올바르듯이 “나비가 하는 짓”으로 바로잡아야 올바릅니다.


  가만히 헤아려 보면, “고향의 봄”이라는 이름도 알맞지 않습니다. “고향 봄”이나 “봄 고향”처럼 말해야지요. “고향의 하늘”이 아닌 “고향 하늘”이라 해야 알맞습니다. “고향의 마을”이 아닌 “고향 마을”이라 해야 알맞아요. “고향 노래”이고 “고향 동무”이고, “고향 이야기”입니다. 4348.4.22.물.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바둑이는 나비가 하는 짓을 보고 속으로 ‘꾀바르다’고 중얼거렸지만


‘간사스럽다’는 ‘奸邪’일는지 ‘奸詐’일는지 알기 어렵습니다. 다만, 어느 한자로 썼든 ‘꾀바르다’나 ‘약빠르다’나 ‘괘씸하다’로 손보면 됩니다.


..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2241) -의 : 벼의 쓰러짐


벼의 쓰러짐은 무엇보다도 우선 당혹감을 몰고 왔다

《한승오-삼킨 꿈》(강,2012) 154쪽


 벼의 쓰러짐은

→ 벼가 쓰러져서

→ 벼가 쓰러지니

→ 벼가 쓰러지면서

→ 벼가 쓰러진 뒤

 …



  벼가 쓰러지면 “벼가 쓰러졌다”고 말합니다. 사람이 쓰러지면 “사람이 쓰러졌다”고 말해요. 기둥이나 나무가 쓰러지면 “기둥이 쓰러졌다”나 “나무가 쓰러졌다”고 말하지요. 한국말로는 “벼의 쓰러짐”처럼 말하지 않습니다.


  이 보기글을 보면 ‘당혹감을 몰고 왔다’ 같은 대목도 나옵니다. 한자말 ‘당혹감’은 “무슨 일을 당하여 어찌할 바를 모르는 감정”을 뜻합니다. 그러니까 “어찌할 바 모르는 마음을 몰고 왔다”는 셈인데, 한국말로는 이렇게 쓰지 않습니다. “어찌할 바를 몰랐다”라고 말할 뿐, 이러한 마음을 ‘몰고 온다’고 하지 않아요. 4348.4.22.물.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벼가 쓰러지니 무엇보다도 먼저 어찌할 바 몰랐다


‘우선(于先)’은 ‘먼저’로 다듬고, “당혹감(當惑感)을 몰고 왔다”는 “어찌할 바 몰랐다”나 “어찌할 줄 몰랐다”로 다듬습니다.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넋·삶 52 동그라미와 ‘있음·없음’



  한국에서는 ‘있다’고 할 적에 ‘동그라미(○)’를 그리고, ‘없다’고 할 적에는 ‘점(·)’을 찍어요. ‘있음’은 ‘가득’을 가리키니 동그라미로 나타내며, 없음은 하나도 안 보이는 모습을 가리키니 씨앗처럼 생긴 점 하나를 톡 찍습니다. 어떻게 보면, ‘없음’은 “텅 빔”으로 여길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한국말에서는 ‘없음’을 “텅 빔”으로는 여기지 않습니다. 한국말에서는 ‘죽음’을 “없어짐”이나 “사라짐”으로 여기지 않습니다. ‘삶’도 늘 새걸음으로 나아간다고 여기는 한국말이고, ‘죽음’도 언제나 새로운 곳으로 간다고 여기는 한국말입니다.


  이리하여, ‘없음’은 ‘밤·어둠’과 이어지기도 하는데, 한국말에서 밤과 어둠은 ‘새롭게 피어날 씨앗이 있음’이기도 합니다. 한자말로는 ‘가능성’이라고도 할 만합니다. “할 수 있음”과 “될 수 있음”이 ‘없음’이라고 할 만합니다. 이리하여, ‘없음’을 나타내려 할 적에 점(·)을 찍어요. 없음은 씨앗이고, 씨앗은 “새로 피어날 수 있음”입니다.


  ‘있음’인 동그라미(○)는 ‘가득’이면서 ‘온’입니다. 오롯한 모습이요 옹근 삶입니다. 동그라미는 “모두 있는” 숨결이면서, 이러한 덩어리는 ‘또 다른 씨앗’입니다. 점(·)과 대면 커다란 씨앗이라고 할는지 모르나, 동그라미(○)도 고스란히 씨앗입니다. 그래서, ‘있음’인 ‘동그라미’는 ‘가시내(어머니)’를 나타내기도 하고, ‘없음’인 ‘점’은 ‘사내(아버지)’를 나타내기도 합니다.


  이 자리에서는 밤(어머니)과 낮(아버지)이 바뀐 모습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밤은 어머니요, 낮은 아버지인데, ‘없음’인 ‘씨앗’은 ‘어둠’으로 흐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더 생각할 수 있다면 새로운 한 가지를 알아챌 수 있습니다. 밤은 어머니요, 낮은 아버지이지만, 사람한테는 두 가지 기운이 함께 있습니다. 밤이 더 두드러지는 어머니이지만, 어머니한테도 낮은 늘 함께 있고, 낮이 더 두드러지는 아버지이지만, 아버지한테도 밤은 늘 함께 있습니다. 두 가지 다른 씨앗(○와 ·)은 따로 있으면 아무것도 못 낳는 씨앗일 뿐이지만, 두 가지 다른 씨앗이 서로 만나서 한몸과 한마음이 되면, 새로운 몸과 마음이 태어납니다. 새로운 몸과 마음이 태어나도록 하려면, 두 가지 다른 씨앗은 서로서로 받아들여야 합니다. 밤은 낮을 받아들여야 하고, 낮은 밤을 받아들여야 합니다. 이러한 실마리가 ‘있음·없음’에서 드러납니다.


  한국말에서는 ‘있기’에 더 좋거나 낫다고 여기지 않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한국말에서는 ‘없기’에 더 나쁘거나 덜떨어진다고 보지 않습니다. 한국말에서는 ‘있음 = 없음’으로 여기고, ‘없음 = 있음’으로 여깁니다. 있기에 없고, 없기에 있다고 봅니다. 있다고 여기는 때에 곧바로 없어지고, 없다고 여기는 때에 곧바로 있습니다. 이를 중국에서는 ‘새옹지마’라는 한자말을 빌어서 나타내기도 합니다. 한국말에서는 ‘동그라미’로 이를 나타내고, ‘있고 없음’이라는 말로도 나타냅니다.


  동그라미는 ‘있음’이면서 ‘없음’이기도 합니다. 왜냐하면, 동그라미는 ‘온 것(모든 것)’이면서 씨앗이기 때문입니다. 씨앗인 점은 ‘없음’이면서 ‘있음’이기도 합니다. 왜냐하면, 씨앗은 ‘아무것도 아닌 것’이면서 ‘모든 것을 낳는 첫머리(실마리)’이기 때문입니다.


  있는 줄 알았는데 없고, 없는 줄 알았는데 있습니다. 이리하여 흐릅니다. 물결은 위아래로 움직입니다. 물결은 앞으로 가는 줄 알았지만 앞으로 안 가고, 뒤로 가는 줄 알았으나 뒤로 안 갑니다. 늘 그 자리(제자리)에 있습니다. ‘늘 그 자리(제자리)에서 움직이면서 있고 없는’ 모습이 바로 물결이요, 이러한 물결처럼 하늘에서 흐르는 바람결이요, 하늘에서 흐르는 바람결을 숨으로 들이켜서 우리 몸에 담으면 숨결입니다. 삶이 흐를 수 있는 까닭은 ‘있고 없음’이 언제까지나 이어지기 때문입니다. 있지도 않고 없지도 않기에 고이 흐르면서 ‘사랑’으로 깨어납니다. 4348.3.8.해.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람타 공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이랑 놀자 124] 찬바람이



  찬바람을 일으키는 기계를 ‘선풍기(扇風機)’라고 합니다. 더운바람을 일으키는 기계를 ‘온풍기(溫風器)’라고 해요. 우리 집 큰아이가 ‘온풍기’를 보더니 “저것 선풍기야?” 하고 묻기에 “응? 아니야. 선풍기 아니야.” 하고 말하니, “그러면 뭐야?” 하고 묻고, “더운바람이 나오는 아이야.” 하고 말해 줍니다. “그러더니 ‘더운바람이’겠네?” 하고 말합니다. 아이와 이야기를 나누면서 곰곰이 생각합니다. 선풍기란 ‘찬바람이’입니다. 온풍기란 ‘더운바람이’입니다. 그렇지요. 찬바람이 나오고 더운바람이 나오니까, 이러한 모습대로 이름을 붙이면 돼요. 아이들도 알고 어른들도 모두 아는 가장 쉽고 예쁜 말을 쓰면 됩니다. 4348.4.20.달.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알량한 말 바로잡기

 (1676) 시작 75


그렇게 43일간의 기도를 이어가던 어느 날 몸이 아프기 시작했다 … 다음날 아침, 나는 샤워와 빨래, 식사를 마친 뒤 걷기 시작했다. 수없이 반복해 온 질문이 내 안에서 다시 시작되었다

《신지아-나는 자유로운 영혼이다》(샨티,2014) 32, 221쪽


 몸이 아프기 시작했다

→ 몸이 아파 왔다

→ 몸이 아팠다

→ 몸이 차츰 아팠다

 걷기 시작했다

→ 걷기로 했다

→ 걸었다

→ 천천히 걸었다

 질문이 다시 시작되었다

→ 궁금함이 다시 나왔다

→ 궁금함이 다시 터져나왔다

→ 생각이 다시 샘솟았다

 …



  아프지 않던 몸이 아플 적에는 “몸이 아프다”고 말합니다. 이때에는 “몸이 아파 온다”처럼 적을 수도 있습니다. 꾸밈말을 넣어서 “몸이 차츰 아프다”라든지 “어쩐지 몸이 아프다”라 할 수 있고, “몸이 조금씩 아프다”라든지 “몸이 슬슬 아프다”라 할 수 있습니다.


  어떤 일을 할 적에는 이 일을 ‘한다’고 말하면 됩니다. ‘시작’이라는 한자말은 군더더기입니다. 궁금한 말이나 질문이 다시 나온다고 할 적에도 ‘시작’은 군더더기입니다. ‘다시’라는 말마디를 적은 만큼, “다시 나온다”나 “다시 터져나온다”처럼 적으면 돼요. 4348.4.20.달.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그렇게 마흔사흘에 걸친 기도를 이어거단 어느 날 몸이 아팠다 … 다음날 아침, 나는 씻고 빨래하고 밥을 먹은 뒤 걸었다. 수없이 되물었던 말이 내 안에서 다시 나왔다


“43일간(四十三日間)의 기도”는 “마흔사흘에 걸친 기도”나 “마흔사흘 동안 기도”로 손보고, “샤워(shower)와 빨래, 식사(食事)를 마친 뒤”는 “씻고 빨래하고 밥을 먹은 뒤”로 손봅니다. “반복(反復)해 온 질문(質問)이”는 “되풀이해서 물은 말이”나 “되물은 말이”로 손질합니다.


..



 알량한 말 바로잡기

 (1678) 시작 76


차례에 적힌 대로 이야기를 시작하자. 개똥벌레가 첫째지? 개똥벌레가 뽐내며 나서자 하얀이 눈이 반짝 빛나기 시작했어

《김향이-나는 책이야》(푸른숲,2001) 37쪽


 이야기를 시작하자

→ 이야기를 하자

→ 이야기를 꺼내자

→ 이야기를 들려주자

 눈이 빛나기 시작했어

→ 눈이 빛났어

→ 눈이 천천히 빛났어

 …



  이야기를 하거나 말을 할 때에는 언제나 그냥 ‘합니’다. 이야기를 하면서 굳이 ‘시작’하지 않아요. 책을 읽든 노래를 부르든 그냥 책을 읽고 노래를 부릅니다. “책을 읽기 ‘시작’”하지 않고, “노래를 부르기 ‘시작’”하지 않습니다.


  눈이 빛난다고 할 적에도, “눈이 빛났어”처럼 적으면 됩니다. 또는 “눈이 천천히 빛났어”나 “눈이 차츰 빛났어”처럼 적습니다. “눈이 가만히 빛났어”나 “눈이 살며시 빛났어”처럼 적어도 잘 어울립니다. 4348.4.20.달.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여기에 적힌 대로 이야기를 하자. 개똥벌레가 첫째지? 개똥벌레가 뽐내며 나서자 하얀이 눈이 반짝 빛났어


‘차례(次例)’는 한국말로 ‘벼리’로 손질할 수 있으나, 그대로 두어도 됩니다. 이 대목에서는 ‘여기’로 손질해도 잘 어울립니다.


..



 알량한 말 바로잡기

 (1679) 시작 77


1961년에 베틀린 장벽을 쌓기 시작했을 때, 내가 가서 찍었던 사진의 후속편이었다

《레몽 드파르동/정진국 옮김-방랑》(포토넷,2015) 171쪽


 장벽을 쌓기 시작했을 때

→ 담벼락을 쌓을 때

→ 담을 처음 쌓을 때

→ 담을 쌓으려 할 때

 …



  어떤 일을 처음 할 적에는 ‘처음’이라는 낱말을 넣습니다. 담벼락을 처음 쌓고, 사진도 처음 찍습니다. 때로는 ‘처음’이라는 낱말조차 없이 “담벼락을 쌓을 때”와 같이 쓰면 돼요. 4348.4.20.달.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1961년에 베를린 담벼락을 쌓을 때, 내가 가서 찍었던 사진 뒷이야기이다


‘장벽(障壁)’은 ‘담벼락’이나 ‘가림담’이나 ‘담’으로 손질하고, “사진의 후속편(後續編)이다”는 “사진 뒷이야기이다”나 “사진 뒤에 이어 찍은 이야기이다”로 손질합니다.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알량한 말 바로잡기

 (1675) 덕분


크릭터는 잘 먹은 덕분에, 키도 더욱 길어지고 힘도 더욱 세졌어

《토미 웅거러/장미란 옮김-크릭터》(시공주니어,1996) 11쪽


 잘 먹은 덕분에

→ 잘 먹었기 때문에

→ 잘 먹어서

→ 잘 먹었기에

 …



  한자말 ‘덕분(德分)’은 “베풀어 준 은혜나 도움”을 뜻한다고 합니다. ‘은혜(恩惠)’는 “고맙게 베풀어 주는 신세나 혜택”을 뜻한다고 합니다. ‘신세(身世)’는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받거나 폐를 끼치는 일”을 뜻하고, ‘혜택(惠澤)’은 “은혜와 덕택을 아울러 이르는 말”을 뜻한다고 합니다. ‘폐(弊)’는 “남에게 끼치는 신세나 괴로움”을 뜻하고, ‘덕택(德澤)’은 “= 덕분”이라고 해요.


  그러니까, ‘덕분’이라는 한자말은 여러 한자말을 돌고 돌아서 다시 ‘덕분’으로 갑니다. ‘덕분 = 덕분’으로 풀이하는 오늘날 한국말사전인 셈입니다.


  그래도 이모저모 따지고 보니, ‘덕분·은혜·신세·혜택·폐·덕택’ 같은 한자말은 ‘도움’이나 ‘고마움’을 가리키는 자리에서 쓰는 줄 알아챌 수 있습니다. 누군가 나한테 고마움을 베푸는 일을 가리키는 한자말이고, 내가 누구를 돕는 모습을 나타내는 한자말입니다.


 선생님 덕분에

→ 선생님 때문에

→ 선생님이 도우셔서

→ 선생님이 계셔서

 덕분에 좋은 구경 했습니다

→ 고맙게 좋은 구경 했습니다

→ 도움 받아 좋은 구경 했습니다


  선생님이 ‘도우셔서’ 어떤 일을 잘 할 수 있습니다. 선생님이 ‘힘이 되어’ 주었으니 어떤 일을 잘 합니다. 선생님이 ‘계시기’만 해도 크게 힘이 됩니다. 누군가 우리를 이끌어서 좋은 구경을 합니다. 도움을 받아서 좋은 구경을 하고, 고맙게 좋은 구경을 해요.


 두 형님 덕분입니다

→ 모두 형님 때문입니다

→ 모두 형님 힘입니다

→ 모두 형님이 도와서입니다

 그동안 걱정해 준 덕분에

→ 그동안 걱정해 주셔서

→ 그동안 걱정해 주셨기에

→ 그동안 걱정해 주셨기 때문에


  한자말 ‘덕분’을 줄여서 ‘덕(德)’으로 쓰기도 하는데, 이때에도 차근차근 한국말로 손질해 주면 됩니다. 말흐름에 녹이면 돼요. 말결을 알맞게 살피면 됩니다. 4348.4.18.흙.ㅎㄲㅅㄱ



덕분(德分) : 베풀어 준 은혜나 도움

   - 선생님 덕분에 대학 생활을 무사히 마칠 수 있었습니다 /

     덕분에 좋은 구경 했습니다 / 제가 잘된 것은 모두 형님 덕분입니다 /

     그동안 걱정해 준 덕분에 잘 지냈습니다


..



 알량한 말 바로잡기

 (1671) 사모


실버 부인이 바로 호피 씨가 남몰래 사랑하는 사람이었다. 호피 씨는 벌써 수년 전부터 그저 베란다에서 내려다보기만 하면서 실버 부인을 사모하고 있었다

《로알드 알/지혜연 옮김-아북거 아북거》(시공주니어,1997) 14쪽


 실버 부인을 사모하고 있었다

→ 실버 씨를 사랑했다

→ 실버 씨를 사랑해 왔다

→ 실버 씨를 사랑하며 지냈다

 …



  한자말 ‘사모(思慕)’는 “1. 애틋하게 생각하고 그리워함 2. 우러러 받들고 마음속 깊이 따름”을 뜻한다고 해요. 이 보기글을 보면, 앞쪽에서는 “사랑하는 사람”이라 말하고, 뒤쪽에서는 “사모하고 있었다”라 말합니다. 한 사람을 바라보는 마음은 앞과 뒤가 똑같으니, 앞뒷말은 똑같은 뜻으로 쓴 셈입니다.


 사모의 정 → 그리운 마음 / 그리워하는 마음

 사모하는 사람 → 사랑하는 사람 / 그리운 사람

 사모하고 존경하는 정 → 깊이 따르며 섬기는 마음

 부처님을 사모하는 마음 → 부처님을 헤아리며 섬기는 마음


  ‘그리움’과 ‘사랑’은 다릅니다. 두 낱말은 다른 자리에 다르게 써야 합니다. 다만, 이 보기글에서는 어느 한 사람이 다른 한 사람을 ‘좋아하’고, ‘그리워’ 하며, ‘사랑한다’고 말하려 합니다. 그러니, 이런저런 낱말을 여러모로 섞어서 쓸 만할 수 있습니다. 이를테면, 이 자리에서는 “실버 씨를 마음 깊이 생각해 왔다”라든지 “실버 씨를 애틋하게 그리워 했다”처럼 손질할 만합니다. 앞말과 뒷말 모두 ‘사랑’이라 적든지, 뒤쪽은 ‘깊이 생각하다’나 ‘그리워하다’로 적든지 해야 알맞습니다.


 그에 대한 사모의 마음이 간절하다

→ 그를 그리는 마음이 애틋하다

→ 그를 애타게 그리워한다


  ‘사모’라는 한자말을 쓰고 싶다면 써야 할 테지만, 이런 한자말은 어린이한테 너무 어렵습니다. 더군다나, 한국말로 ‘그리다’가 있고 ‘애틋하다’나 ‘애타다’나 ‘애끓다’나 ‘애끊다’가 있어요. 이 나라 어린이는 한국말을 알뜰살뜰 배워서 때와 곳에 알맞게 슬기롭게 쓸 수 있기를 빕니다. 4348.4.18.흙.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실버 씨가 바로 호피 씨가 남몰래 사랑하는 사람이었다. 호피 씨는 벌써 여러 해 앞서부터 그저 툇마루에서 내려다보기만 하면서 실버 씨를 사랑해 왔다


“실버 부인”이라는 말은 알맞지 않습니다. ‘부인(夫人)’이나 ‘부인(婦人)’ 모두 혼인한 여자를 가리킵니다. ‘핫어미’를 가리키는 한자말입니다. 그러니, 이렇게 쓰는 말은 틀리지요. 이 글월에 나오는 두 사람은 혼인을 안 한 사람이거든요. 남자를 ‘호피 씨’로 적듯이 여자도 ‘실버 씨’로 적어야 합니다. 아니면, ‘호피 아저씨’나 ‘실버 아주머니’로 적어 줍니다. “수년(數年) 전(前)부터”는 “여러 해 앞서부터”로 손질하고, ‘베란다(veranda)’는 ‘툇마루’나 ‘쪽마루’로 손질합니다.



사모(思慕)

1. 애틋하게 생각하고 그리워함

   - 사모의 정 / 그에 대한 사모의 마음이 간절하다 / 사모하는 사람

2. 우러러 받들고 마음속 깊이 따름

   - 학문적으로 사모하고 존경하는 정이 깊었다 / 부처님을 사모하는 마음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