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이랑 놀자 132] 그림놀이


  아이들하고 즐겁게 놀면서 생각합니다. 공을 갖고 놀면 ‘공놀이’요, 물에서 놀면 ‘물놀이’이며, 흙을 만지며 놀면 ‘흙놀이’입니다. 마당에서 ‘마당놀이’를 하고, 손에 책을 쥐면서 ‘책놀이’를 합니다. 놀이는 새롭게 뻗어 ‘글놀이’하고 ‘그림놀이’로 이어집니다. 어른들은 ‘사진놀이’도 하는데, 아이들도 손가락으로 얼마든지 ‘사진놀이’를 누립니다. 노는 아이들은 노래하고 춤춥니다. 노는 아이들은 꿈꾸면서 삶을 사랑스레 속삭입니다. 그러고 보면 아이들이 늘 놀면서 주고받는 말은 참으로 오래된 낱말이라, ‘노래하다·춤추다·꿈꾸다·놀이하다’는 어엿하게 한국말사전에 한 낱말로 실립니다. ‘글쓰기’라는 낱말은 열 몇 해 앞서 한국말사전에 비로소 실렸는데 ‘그림그리기’나 ‘사진찍기’는 아직 한 낱말로 한국말사전에 실리지 못합니다. 더 헤아리면 ‘말하다’처럼 ‘글쓰다·그림그리다·사진찍다’ 같은 낱말을 한 낱말로 삼도록 이끄는 한국말사전은 없습니다. 아직 이렇게 쓸 만한 때가 아니라는 뜻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책읽기’는 사람들이 무척 널리 쓰는 낱말이지만 한국말사전에 좀처럼 안 실립니다. 이리하여 나는 아이들하고 ‘말놀이’를 하면서 생각합니다. 아이들은 한국말사전에 실린 낱말이건 아니건 아랑곳하지 않고 즐겁게 읊습니다. 우리가 쓸 말은 ‘사전에 실린 낱말’이 아니라 ‘생각을 담는 낱말’인 만큼, 하루를 기쁘게 누리도록 ‘삶놀이’를 즐기면서 요모조모 재미나고 곱게 말넋을 북돋우자고 생각합니다. 4348.6.11.나무.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2260) -의 : 생존의 방식


누가 가르쳐 준 것도 아닐 텐데 녀석들은 본능적으로 생존의 방식을 안다

《주원섭-오늘도 숲에 있습니다》(자연과생태,2015) 22쪽


 생존의 방식을 안다

→ 생존 방식을 안다

→ 사는 길을 안다

→ 살아남는 길을 안다

→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를 안다

 …



  이 보기글에서는 ‘-의’만 덜어도 됩니다. “생존 방식”으로 적으면 될 뿐입니다. ‘-의’를 붙여야 할 까닭이 없습니다. 비슷한 얼거리로 “생활 방식”이나 “독서 방식”이나 “요리 방식”처럼 쓰면 됩니다. 한자말을 쓰든 한국말을 쓰든, 사이에 ‘-의’를 넣지 않습니다. “생존 본능”이나 “생존 문제”처럼 쓰면 됩니다. 어느 자리에서도 ‘-의’는 끼어들지 않습니다. 4348.6.10.물.ㅅㄴㄹ



* 보기글 새로 쓰기

누가 가르쳐 주지도 않을 텐데 녀석들은 처음부터 어떻게 사는가를 안다


“가르쳐 준 것도 아닐 텐데”는 “가르쳐 주지도 않을 텐데”로 손질하고, ‘본능적(本能的)으로’는 ‘본능에 따라’나 ‘몸으로’나 ‘처음부터’로 손질하며, ‘생존(生存)’은 ‘살기’나 ‘살아남기’로 손질합니다. ‘방식(方式)’은 그대로 두어도 되고, ‘길’로 손보아도 됩니다.


..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2262) 앞의 2


앞의 사례 연구에서 보았듯이, 봉기가 일어나는 동안 스스로 통치하는 보통 사람들의 능력은 계속해서 지성적이고 합리적인 결정을 내리며 민주적 형태의 협의를 생산했다

《조지 카치아피카스/원영수 옮김-아시아의 민중봉기》(오월의봄,2015) 542쪽


 앞의 사례 연구

→ 앞에서 사례 연구에서

→ 앞에서 다룬 사례 연구에서

→ 앞에 나온 사례 연구에서

→ 앞에서 다룬 연구에서

→ 앞에서 다룬 사례에서

→ 앞에서

 …



  앞에서 말하고, 뒤에서 말합니다. 앞에서 다룬 이야기를 이 자리에서 다시 다루며, 이 자리에서 다시 다룬 이야기를 뒤에 가서 또 다룹니다. 그러니까, 어떤 이야기를 다루든, 우리는 앞‘에서’ 다루거나 뒤‘에서’ 다룹니다. 4348.6.10.물.ㅅㄴㄹ



* 보기글 새로 쓰기

앞에서 보았듯이, 봉기가 일어나는 동안 스스로 다스리는 여느 사람들이 보여주는 힘은 슬기롭고 올바른 결정을 꾸준하게 내리며, 서로 헤아리면서 이야기를 나누었다


‘사례(事例)’는 ‘보기’로 손볼 만한데, “사례 연구(硏究)에서”는 이 글월에서 덜어내도 되고, “연구에서”만 적어도 됩니다. ‘통치(統治)하는’은 ‘다스리는’으로 손질하고, “보통(普通) 사람들의 능력(能力)은”은 “여느 사람들이 보여주는 힘은”으로 손질하며, ‘계속(繼續)해서’는 ‘꾸준하게’로 손질합니다. “지성적(知性的)이고 합리적(合理的)인 결정(決定)을 내리며”는 “슬기롭고 올바른 결정을 내리며”나 “슬기롭고 올바른 길로 가며”나 “슬기롭고 올바른 뜻을 모으며”로 다듬고, “민주적(民主的) 형태(形態)의 협의(協議)를 생산(生産)했다”는 “민주 형태로 모임을 이루었다”나 “민주주의다운 모임을 이루었다”나 “민주 형태로 이야기를 나누었다”나 “서로 헤아리면서 이야기를 나누었다”로 다듬어 줍니다.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화(化)' 씻어내며 우리 말 살리기

 (196) -화化 196 : 악마화


이후의 피비린내 나는 내전 동안 미국은 장제스와 국민당을 원조했고 서구 언론은 마오쩌둥과 공산당을 악마화했다

《조지 카치아피카스/원영수 옮김-아시아의 민중봉기》(오월의봄,2015) 213쪽


악마화 : x

악마(惡魔)

1. [불교] 사람의 마음을 홀려 제정신을 차리지 못하게 하고 불도 수행을 방해하여 악한 길로 유혹하는 나쁜 귀신

2. [기독교] = 사탄

3. 불의나 암흑, 또는 사람을 악으로 유혹하고 멸망하게 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탄(Satan) : [기독교] 적대자라는 뜻으로, 하나님과 대립하여 존재하는 악(惡)을 인격화하여 이르는 말


 악마화했다

→ 악마로 그렸다

→ 악마로 다루었다

→ 나쁘다고 비아냥거렸다

→ 나쁘다고 헐뜯었다

 …



  종교에서 쓰는 ‘악마’는 한자말이고, ‘사탄’은 서양말입니다. 둘 모두 외국말입니다. 그러면 한국말은 무엇일까요? 딱히 한국말로는 없다고 할 수 있는데, ‘나쁜 것’이나 ‘나쁜 놈’이나 ‘나쁜 도깨비’쯤으로 말할 만합니다. 아니면 ‘나쁜이’나 ‘못된이’ 같은 낱말을 새로 지어서 쓸 수 있어요.


  이 글월에서는 ‘악마’라는 한자말을 그대로 두어도 되고, ‘나쁘다’나 ‘못되다’ 같은 한국말로 손질해도 됩니다. 그리고, 언론은 신문과 방송을 가리키니, 신문과 방송에서 악마로 ‘다루’거나 나쁜 모습으로 ‘그렸다’고 풀어서 적으면 됩니다. 4348.6.8.달.ㅅㄴㄹ



* 보기글 새로 쓰기

그 뒤 피비린내 나는 내전 동안 미국은 장제스와 국민당을 도왔고, 서구 언론은 마오쩌둥과 공산당을 악마로 그렸다

그 뒤 피비린내 나게 싸우는 동안 미국은 장제스와 국민당을 도왔고, 서구 언론은 마오쩌둥과 공산당을 나쁘게 그렸다


‘이후(以後)의’는 ‘그 뒤’나 ‘그 뒤로’로 손봅니다. “내전(內戰) 동안”은 그대로 둘 수 있으나, “싸우는 동안”으로 손질할 수 있습니다. ‘원조(援助)했고’는 ‘도왔고’나 ‘도와줬고’로 다듬습니다.


..



 '-화(化)' 씻어내며 우리 말 살리기

 (195) -화化 195 : 프랑스화


프랑스화된 한국사람으로서 나의 시선은 서울 방배동 주변에 모여 사는 프랑스사람들과도 다르다

《정수복-도시를 걷는 사회학자》(문학동네,2015) 27쪽


프랑스화 : x


 프랑스화된 한국사람으로서

→ 프랑스에 물든 한국사람으로서

→ 프랑스에 젖어든 한국사람으로서

→ 프랑스사람이 다 된 한국사람으로서

→ 프랑스사람처럼 바뀐 한국사람으로서

 …



  ‘프랑스화’라고 한다면, 프랑스사람처럼 되었다는 뜻입니다. ‘한국화’라고 한다면, 한국사람처럼 되었다는 뜻입니다. ‘-化’는 ‘되다’를 뜻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이러한 뜻대로 수수하고 쉽게 쓰면 됩니다.


  이 보기글에서는 프랑스 문화나 사회에 ‘물들다’나 ‘젖어들다’나 ‘길들다’나 ‘익숙하다’처럼 쓸 수 있습니다. 그리고, “프랑스사람처럼 살다”나 “프랑스처럼 지내다”로 손질해도 잘 어울립니다. 4348.6.8.달.ㅅㄴㄹ



* 보기글 새로 쓰기

프랑스에 물든 한국사람으로서 내 눈길은 서울 방배동 둘레에 모여 사는 프랑스사람들과도 다르다


“나의 시선(視線)”은 “내 눈길”로 손질하고, ‘주변(周邊)’은 ‘둘레’나 ‘언저리’로 손질합니다.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이랑 놀자 131] 한집살이



  한집에서 산다면 ‘한집살이’입니다. 마음이 맞는 두 사람이 한집살이를 하고, 마음이 안 맞아도 살림을 함께 꾸리려고 ‘한집살림’인 한집살이를 합니다. 보금자리와 일터가 멀리 떨어졌다면, ‘두집살이’를 하기도 합니다. 한쪽은 보금자리요, 다른 한쪽은 일터와 가까운 데에 마련한 쉼터입니다. 살림을 이모저모 나눈다면 ‘세집살이’나 ‘네집살이’를 할 수 있습니다. 뜻이 맞는 가게나 회사가 모여서 한집살이를 할 수 있고, 오래도록 한집살림을 꾸리다가도 어느새 ‘딴집살이’로 갈라설 수 있습니다. 시골집에서는 ‘시골집살이’를 하고, 골목집에서는 ‘골목집살이’를 합니다. 숲집을 가꾼다면 ‘숲집살이’를 하며, 섬집을 누린다면 ‘섬집살이’를 합니다. 어느 곳에서 어떤 집을 짓든 사랑을 꽃피우려는 마음이 되면 ‘사랑집살이’가 됩니다. 언제나 꿈을 길어올리는 숨결이 되면 ‘꿈집살이’가 됩니다. 누군가는 노래집살이를 하고, 누군가는 이야기집살이를 합니다. 책집살이를 즐길 수 있고, 꽃집살이라든지 웃음집살이를 할 수 있어요. 즐거운 삶길을 스스로 찾아서 씩씩하게 한 걸음씩 내딛습니다. 4348.6.6.흙.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알량한 말 바로잡기

 (1689) 언동


무의식중에 남의 시선을 끌기 위한 치장과 언동을 선보이기도 한다

《타이라 아이린/김남미 옮김-들어 봐요 호오포노포노》(판미동,2015) 99쪽


언동(言動) : 말하고 행동함. 또는 말과 행동


 치장과 언동을

→ 치레와 말과 몸짓을

→ 눈속임과 말과 움직임을

 …



  한자말 ‘언동’은 “말과 행동”을 뜻한다고 합니다. 한자말 ‘행동(行動)’은 “움직임”을 뜻합니다. 그러니, 한자말로는 ‘언동’이고, 한국말로는 “말과 움직임”이나 “말과 몸짓”인 셈입니다.


  한자말 ‘언동’으로 적으면 두 글자이고, 한국말 ‘말과 몸짓’으로 적으면 네 글자입니다. 글잣수로만 본다면 한자말을 쓸 때가 낫다고 여길 사람이 있을 텐데, 말뜻을 제대로 실어서 쉽게 드러내는 말을 써야 말다운 말이 되리라 느낍니다. 우리가 말을 하거나 글을 쓰는 까닭은 ‘글잣수를 줄여야 하기’ 때문이 아니라, 생각과 마음을 찬찬히 제대로 드러내고 싶기 때문입니다. 4348.6.5.쇠.ㅅㄴㄹ



* 보기글 새로 쓰기

저도 모르는 사이에 남들 눈길을 끌려고 꾸미거나 말하거나 움직이기도 한다

얼결에 남들 눈길을 끌려고 치레와 말과 몸짓을 선보이기도 한다


‘무의식중(無意識中)에’는 ‘얼결에’나 ‘얼떨결에’나 ‘저도 모르는 사이에’로 손보고, “남의 시선(視線)”은 “남들 눈길”로 손보며, “끌기 위(爲)한”은 “끌려는”이나 “끌려고 하는”으로 손봅니다. ‘치장(治粧)과’는 ‘치레와’나 ‘꾸미거나’로 손질합니다.


..



 알량한 말 바로잡기

 (1690) 횡행


안타깝게도 아주 일부 작품을 제외하고는 예술은 아직 예술을 흉내내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그 피상적인 미의 세계는 금세 바닥을 드러내고, 비슷하게 흉내내고 다시 찍어내는 행위가 횡행한다

《마루야마 겐지/이영희 옮김-그렇지 않다면 석양이 이토록 아름다울 리 없다》(바다출판사,2015) 102쪽


횡행(橫行)

1. 모로 감

2. 아무 거리낌 없이 제멋대로 행동함


 흉내내고 다시 찍어내는 행위가 횡행한다

→ 흉내내고 다시 찍어내는 짓이 판친다

→ 흉내내고 다시 찍어내는 짓이 넘친다

→ 흉내내고 다시 찍어내기 일쑤이다

→ 흉내내고 다시 찍어내기 마련이다

 …



  한자말 ‘횡행’을 넣어 “행위가 횡행한다”처럼 쓸 적에는 어떤 뜻이 될는지 궁금합니다. 제멋대로 행동한다고 하는 ‘횡행’이라는데, “행위가 횡행한다”고 한다면 “어떤 행동이 제멋대로 행동한다”는 꼴이 되고 맙니다.


  굳이 ‘횡행’이라는 한자말을 빌어서 쓰지 말고, ‘판치다’나 ‘넘치다’를 넣으면 됩니다. 글흐름에 따라서 ‘벌어지다’나 ‘일어나다’나 ‘불거지다’를 넣을 수 있습니다. 이 보기글에서는 “-기 일쑤이다”나 “-기 마련이다”나 “-곤 한다”처럼 말끝을 살짝살짝 다르게 적어 보아도 잘 어울립니다. 4348.6.5.쇠.ㅅㄴㄹ



* 보기글 새로 쓰기

안타깝게도 아주 몇몇 작품을 빼고는 예술은 아직 예술을 흉내내는 자리에 그친다. 그 겉훑기 같은 아름다움은 곧 바닥을 드러내고, 비슷하게 흉내내고 다시 찍어내는 직이 판친다


‘일부(一部)’는 ‘몇몇’으로 손질하고, ‘제외(除外)하고는’은 ‘빼고는’으로 손질하며, “흉내내는 수준(水準)”은 “흉내내는 자리”나 “흉내내는 데”로 손질합니다. “그치고 있다”는 “그친다”로 손보고, “피상적(皮相的)인 미(美)의 세계(世界)는”은 “겉훑기 같은 아름다움”이나 “껍데기 같은 아름다움”으로 손보며, ‘금세(今時)’는 ‘곧’이나 ‘이내’로 손봅니다. ‘행위(行爲)’는 ‘짓’으로 다듬습니다.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