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2269) -의 : 눈의 미


그는 일본미의 핵심이 눈眼의 미, 즉 아름다움의 발견에 있다고 말했다

《최범-그때 그 책을 읽었더라면》(안그라픽스,2015) 223쪽


 눈眼의 미, 즉 아름다움의 발견

→ 눈, 곧 아름다움을 보는 눈

→ 보는 눈, 곧 아름다움을 보는 눈

→ 아름다운 눈, 곧 아름다움을 보는 눈

 …



  이 보기글에서는 ‘미’를 말하고는 곧장 ‘아름다움’을 말합니다. 두 낱말은 다른 뜻일까요? 두 낱말은 다른 모습을 가리킬까요? ‘눈’이라고 하는 한국말에 ‘眼’이라는 한자를 덧달기도 하는데, 눈은 그저 눈입니다. ‘눈’으로만 적을 적에 헷갈리겠다 싶으면 “보는 눈”이라고 하면 됩니다. 4348.6.25.나무.ㅅㄴㄹ



* 보기글 새로 쓰기

그는 일본에서 아름다움이란 눈, 곧 아름다움을 보는 눈에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일본미에서 핵심이 ‘보는 눈’, 곧 아름다움 찾기에 있다고 말했다


“일본미(-美)의 핵심(核心)이”는 

‘즉(卽)’은 ‘곧’이나 ‘그러니까’로 손질하며, “아름다움의 발견(發見)”은 “아름다움 찾기”나 “아름다움을 보는 눈”이나 “아름다움을 찾는 눈”으로 손질합니다.


..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2268) -의 : 다가의 지도 아래


다가의 지도 아래 훈련을 받았던 덜신은 자연에서 살아남기 위해 배웠던 방법들을 기억해 내서

《C.W.니콜/서혜숙 옮김-벌거숭이 왕자 덜신》(논장,2006) 233쪽


 다가의 지도 아래 훈련을 받았던

→ 다가가 지도하여 훈련을 받았던

→ 다가가 이끌어서 훈련을 받았던

→ 다가한테서 훈련을 받았던

 …



  이 보기글에 나오는 “지도 아래”는 일본 말투 “지도 下”에서 ‘下’만 ‘아래’로 옮겼습니다. 한자말 ‘지도’를 그대로 두려 하면 “지도하여”로 손보고, ‘지도’를 한국말로 풀어내려고 하면 “이끌어서”로 손봅니다. 이렇게 “지도 아래”를 손질해 놓으면, ‘다가 + 의’ 꼴로 나오는 대목은 ‘다가 + 가’로 가다듬을 수 있습니다. 4348.6.25.나무.ㅅㄴㄹ



* 보기글 새로 쓰기

다가한테서 훈련을 받았던 덜신은 자연에서 살아남으려고 배웠던 여러 가지를 떠올려서


“지도(指導) 아래”는 “이끌어서”로 손보고, “살아남기 위(爲)해”는 “살아남으려고”로 손봅니다. “방법(方法)들을 기억(記憶)해 내서”는 “여러 가지를 떠올려서”나 “여러 가지를 되새겨서”로 손질합니다.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리 말도 익혀야지

 (1082) 악명 높은 (악명 높다)


이론적인 문제에 대한 나의 악명 높은 게으름으로 인해 나 자신의 내면의 불평을 함구시키고 그 문제의 근원으로 접근하지 못했다네

《체 게바라-공부하는 혁명가》(오월의봄,2013) 42쪽


 나의 악명 높은 게으름으로 인해

→ 내 끔찍한 게으름 때문에

→ 내가 끔찍하게 게으른 탓에

→ 내가 너무 게을렀기에

 …



  영어 ‘notorious’는 “악명 높은”으로 풀이한다고 합니다. 영어에서는 “악명 높은”으로도 쓰지만 “널리 알려진”으로도 쓴다고 합니다. 아마 영어나 서양말에서는 관용구처럼 이 말마디를 쓰는구나 싶습니다. 그러나, 한국말에서는 “악명 높은”하고 “널리 알려진”을 아울러서 쓰지 않습니다. 한국말에서 “악명 높은”은 “나쁘게 알려진”이나 “무섭다는 느낌으로 알려진”을 가리킵니다.


  외국말을 한국말로 옮길 적에는 한국말이 어떤 맛인가를 잘 살펴야 합니다. “악명 높은 게으름”이 아니라 “자네가 알다시피 내가 몹시 게을러서”처럼 풀어서 옮겨야 하고, 단출하게 “내가 너무 게을렀기에”처럼 적을 만합니다. 4348.6.23.불.ㅅㄴㄹ



* 보기글 새로 쓰기

이론을 따질 적에 내가 너무 게을렀기에 내 마음속에서 못마땅하게 터지는 말을 억누르고 밑바탕으로 가까이 다가서기 못했다네


“이론적(理論的)인 문제(問題)에 대(對)한”은 “이론을 따지는 일에서”나 “이론을 따질 적에”로 손보고, ‘나의’는 ‘내’나 ‘내가’로 손보며, “게으름으로 인(因)해”는 “게으름 때문에”나 “게으름 탓에”나 “게을렀기에”로 손봅니다. “나 자신(自身)의 내면(內面)의 불평(不平)을 함구(緘口)시키고”는 “내 마음에서 못마땅한 모습을 감추고”나 “내 마음에서 터지는 못마땅한 말을 싸매고”나 “내 마음속에서 못마땅하게 터지는 말을 억누르고”로 손질하고, “그 문제의 근원(根源)으로 접근(接近)하지”는 “그 문제를 밑바탕으로 다가서지”나 “밑바탕으로 가까이 다가서지”로 손질합니다.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알량한 말 바로잡기

 (1697) 부침


비록 라살레의 결점들로 인해 그 관계는 부침을 거듭했지만, 그들의 우정은 라살레의 갑작스러운 죽음 전까지 유지되었다

《체 게바라-공부하는 혁명가》(오월의봄,2013) 53쪽


부침(浮沈)

1. 물 위에 떠올랐다 물속에 잠겼다 함

2. 세력 따위가 성하고 쇠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편지가 받아 볼 사람에게 이르지 못하고 도중에서 없어짐


 그 관계는 부침을 거듭했지만

→ 그 만남은 거듭 오르내렸지만

→ 그 사이는 거듭 오르락내리락했지만

→ 둘 사이는 거듭 기우뚱했지만

→ 둘은 거듭 다투곤 했지만

→ 둘은 거듭 티격태격했지만

 …



  떠오르거나 잠기는 모습을 가리켜 한자말로 ‘부침’이라고 한다는데, 한국말로는 ‘오르내리다’와 ‘오르락내리락(오르락내리락하다)’이 있습니다. 두 사람 사이를 놓고 오르내리거나 오르락내리락한다고 할 적에는 ‘기우뚱하’거나 ‘다투’는 일이 있다는 뜻입니다. ‘티격태격’이나 ‘툭탁거리다’ 같은 낱말로 둘 사이를 나타내어도 잘 어울립니다. ‘잘되다가 안되다가’나 ‘멀어지다가 가까워지다가’처럼 나타내어도 됩니다. 4348.6.23.불.ㅅㄴㄹ



* 보기글 새로 쓰기

비록 라살레가 잘못하기도 해서 둘은 거듭 다투곤 했지만, 라살레가 갑작스레 죽기 앞서까지 서로 도탑게 지냈다


“라살레의 결점(缺點)들로 인(因)해”는 “라살레가 잘못하기도 해서”로 손보고, “그 관계(關係)”는 “둘 사이”나 “그 만남”으로 손봅니다. ‘우정(友情)’은 그대로 쓸 수 있으나 “그들의 우정은 … 유지(維持)되었다”는 “그들은 … 도탑게 지냈다”나 “서로 도탑게 지냈다”로 손질하면 한결 낫습니다. “라살레의 갑작스러운 죽음 전(前)까지”는 “라살레가 갑작스레 죽기 앞서까지”로 다듬습니다.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겹말 손질 359 : 가는 도중


가는 도중에 길가에 있는 늪지대에서 처절하게 울부짖는 소리가 들렸다

《리 호이나키/김병순 옮김-산티아고, 거룩한 바보들의 길》(달팽이,2010) 360쪽


도중(途中)

1. 길을 가는 중간

2. 일이 계속되고 있는 과정이나 일의 중간


 가는 도중에

→ 가다가

→ 가는 길에

→ 길을 가다가

→ 길을 가는데

 …



  ‘도중’이라는 한자말은 “길을 가는 중간”을 뜻합니다. “가는 도중에”나 “길을 가는 도중에”처럼 적으면 겹말입니다. 그런데, 한국말사전을 보면 “학교를 가는 도중에”나 “시청으로 가는 도중에” 같은 보기글이 나옵니다.


 학교를 가는 도중에 → 학교를 가는 길에 / 학교를 가다가

 시청으로 가는 도중에 → 시청으로 가는 길에 / 시청으로 가다가


  그런데 ‘도중’이라는 한자말은 으레 “가는 도중에” 꼴로 쓸 수밖에 없습니다. “학교를 도중에”나 “시청으로 도중에”처럼 쓰지 못해요. 이 한자말을 쓰자면 언제나 겹말 꼴이 되도록 해야 합니다.


  곰곰이 생각할 노릇입니다. ‘도중’이라는 낱말을 꼭 쓰고 싶다면 겹말 꼴이 되더라도 쓸 노릇이기는 한데, 꼭 이 한자말을 써야 하는가를 돌아보아야지 싶습니다. “가는 길에”나 “가다가” 꼴로만 쓰면 넉넉한 노릇이 아닌가 싶습니다. 4348.6.22.달.ㅅㄴㄹ



* 보기글 새로 쓰기

가다가 길가에 있는 늪에서 애처롭게 울부짖는 소리가 들렸다


‘늪지대(-地帶)’는 ‘늪’이나 ‘늪 둘레’로 손질하고, ‘처절(悽絶)하게’는 ‘애처롭게’나 ‘끔찍하게’로 손질합니다.


..


겹말 손질 360 : 삼세번


교정과 교열을 보는 일도 그렇다. 기본으로 삼세번을 보고도 만족스럽지 못하면 네 번, 다섯 번도 봐야 한다

《김정선-동사의 맛》(유유,2015) 46쪽


삼세번(三-番) : 더도 덜도 없이 꼭 세 번

삼세판(三-) : 더도 덜도 없이 꼭 세 판


삼세번을 보고도

→ 세 번을 보고도

→ 세 번이나 보고도

→ 세 번씩 보고도

→ 세 번씩이나 보고도

 …



  한겨레는 셋이라는 숫자를 몹시 크게 여깁니다. 아주 뜻깊은 숫자요, 매우 사랑하는 숫자입니다. 이러다 보니, ‘삼세번’이나 ‘삼세판’처럼 ‘三’이라는 한자하고 ‘세(셋)’라는 한국말을 나란히 적는 겹말을 널리 쓰지 싶습니다.


  ‘삼세번·삼세판’은 틀림없이 겹말입니다. 그러나 이 말마디를 겹말로 여겨서 손질하거나 걸러내려고 하는 사람은 드뭅니다. 겹말인 줄 알면서 일부러 겹말로 쓴다고까지 할 만한 말마디입니다.


  힘주어 말하려고 한다면 “꼭 세 번”이라 할 수 있습니다. “세 번씩”이나 “세 번이나”이나 “세 번만”처럼 쓸 수 있습니다. 한겨레는 어떤 뜻을 힘주어서 밝히려고 할 적에 토씨를 다르게 붙이거나 꾸밈말을 앞에 붙입니다.


 우리 삼세번으로 끝내자 → 우리 꼭 세 번으로 끝내자

 삼세번에 득한다는 옛말 → 꼭 세 번에 얻는다는 옛말

 가위바위보 삼세판으로 → 가위바위보 세 판으로


 ‘삼세번’은 한자가 이 나라에 들어온 뒤에 비로소 생긴 말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말투는 한자가 여느 사람들 삶터까지 두루 퍼진 뒤에야 쓰였습니다. 한겨레가 ‘셋’을 크게 여기거나 몹시 사랑했으면 ‘셋’이라는 낱말을 썼지, 이를 굳이 다른 말로 나타낼 일은 없습니다. 한자를 쓰던 양반이라면 1500년대나 1800년대에 이런 말투를 썼을는지 모르지만, 시골에서 흙을 만지던 수많은 여느 사람이라면 1800년대뿐 아니라 1900년대 첫무렵에도 이런 말투를 쓸 일이 없었다고 느낍니다.


  아무튼, 이 말마디를 그대로 쓰려 한다면 그대로 쓰되, ‘세 번’을 힘주어 나타내는 말마디를 골고루 헤아릴 수 있기를 빕니다. 4348.6.22.달.ㅅㄴㄹ



* 보기글 새로 쓰기

교정과 교열을 보는 일도 그렇다. 적어도 세 번씩 보고도 마음에 차지 못하면 네 번, 다섯 번도 봐야 한다


‘기본(基本)으로’는 ‘적어도’로 손질하고, ‘만족(滿足)스럽지’는 ‘마음에 차지’로 손질합니다.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1208) 지금의 4


지금의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지금과 같은 수입이 필요할 거고

《후쿠오카 켄세이/김경인 옮김-즐거운 불편》(달팽이,2004) 155쪽


 지금의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 이렇게 살아가려면

→ 이와 같이 살림을 꾸리려면

→ 이만큼 살아가려면

→ 이만 한 살림을 지키려면

→ 이러한 살림살이를 이으려면

 …



  이 보기글에서는 “지금 같은 생활”로 적을 수 있습니다. 이 말마디는 “지금 같은 살림”을 가리키고, 다시 “이만 한 살림”을 나타냅니다. 토씨 ‘-의’를 잘못 붙인 대목만 고쳐쓸 수 있고, 글월을 여러모로 가다듬을 수 있습니다. 4341.1.16.물/4343.7.23.쇠/4348.6.21.해.ㅅㄴㄹ



* 보기글 새로 쓰기

이렇게 살아가려면, 적어도 이만큼 벌이가 있어야 하고


‘생활(生活)’은 ‘살림’이나 ‘살림살이’로 손질하고, “유지(維持)하기 위(爲)해서는”은 “지키자면”이나 “잇자면”으로 손질하며, ‘수입(收入)’은 ‘벌이’로 손질합니다. “필요(必要)할 거고”는 “있어야 하고”로 손봅니다.


..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1681) 지금의 5


지금의 한국은 어떨지 모르겠다. 당시 그 전교 회장 언니는 선거 때 약속했던 ‘매일 점심시간에 음악 들려주기’를 이루지 못했다

《이하영-열다섯 살 하영이의 스웨덴 학교 이야기》(양철북,2008) 220쪽


 지금의 한국은

→ 이제 한국은

→ 요즈음 한국은

→ 요사이 한국은

 …



  이 보기글에서는 ‘-의’만 덜어도 됩니다. “지금 한국은”처럼 적어도 돼요. 마음을 더 기울이면 “이제 한국은”이나 “요즈음 한국은”처럼 적을 수 있습니다. ‘요즈음’을 줄여 ‘요즘’으로 적어도 되고, ‘요사이’나 ‘요새’로 적어도 되며, ‘오늘날’로 적어도 됩니다. 4342.2.16.달/4348.6.21.해.ㅅㄴㄹ



* 보기글 새로 쓰기

이제 한국은 어떨지 모르겠다. 그무렵 그 전교 회장 언니는 선거 때 다짐했던 ‘점심시간마다 노래 들려주기’를 이루지 못했다


‘당시(當時)’는 ‘그때’나 ‘그무렵’으로 다듬고, ‘매일(每日)’은 ‘날마다’나 ‘언제나’로 다듬습니다. ‘약속(約束)했던’은 그대로 두어도 되지만, ‘다짐했던’이나 ‘외쳤던’으로 손볼 수 있습니다. ‘음악(音樂)’은 ‘노래’로 손질해 줍니다.


..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2265) 지금의 6


왜냐하면 지금의 당신이 되고자 기나긴 여정을 거쳐 이 지구로 왔기 때문이다

《람타/유리타 옮김-람타 화이트북》(아이커넥,2011) 157쪽


 지금의 당신이 되고자

→ 오늘 같은 그대가 되고자

→ 이곳에서 그대가 되고자

→ 오늘 이곳에서 그대가 되고자

→ 바로 이곳에서 그대가 되고자

→ 이제껏 그대가 되고자

 …



  바로 이곳에 있는 그대입니다. 바로 오늘 이곳에 있는 그대입니다. 오늘 이곳에 있기까지 기나긴 길을 걸었습니다. 이제껏 기나긴 길을 걸었습니다. 그동안 기나긴 길을 걸었기에 오늘 같은 그대가 됩니다. 이제까지 기나긴 길을 걸어와서 바로 오늘 모습인 그대가 됩니다.


  “오늘 같은” 모습은 “오늘 보는” 모습입니다. “오늘 이곳에 있는” 모습이면서, “바로 이곳에 있는” 모습이에요. 어떤 모습이나 느낌을 나타내고자 하는가를 찬찬히 헤아려서 알맞게 적을 수 있으면 됩니다. 4348.6.21.해.ㅅㄴㄹ



* 보기글 새로 쓰기

왜냐하면 오늘 같은 그대가 되고자 기나긴 길을 거쳐 이 지구로 왔기 때문이다


‘당신(當身)’은 ‘그대’로 손보고, ‘여정(旅程)’은 ‘길’로 손봅니다.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