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마실


아침에서 낮으로 (2021.10.16.)

― 제주 〈금요일의 아침 조금, 한뼘책방〉



  비가 오는 밤입니다. 새벽에도 가랑비가 마당을 가볍게 적십니다. 등짐을 비가리개로 싸고서 자전거를 탑니다. 우리 집 푸른씨는 “아버지 잘 다녀오셔요.” 하고 배웅합니다. 저는 “우리 푸른씨는 집에서 즐겁게 노셔요.” 하고 얘기합니다.


  빗길은 오르막이 가볍고 내리막이 빠릅니다. 다만 빗물이 끝없이 튀기에 빨리 달리지는 않습니다. 시골마을 새벽녘에는 오가는 부릉이(자동차)가 드뭅니다. 호젓이 비내음을 맡고 숲빛을 머금으며 바다노래를 맞이합니다. 어느 분은 “이런 날씨에 무슨 자전거를?” 하고 묻지만 “이런 날씨에는 이런 날씨를 누려요. 돌개바람이 칠 적에는 돌개바람이란 이렇구나 하고 누리려고 탑니다.” 하고 얘기합니다.


  녹동나루에서 제주나루로 네 시간 즈음 뱃길을 가르는 사이에 노래꽃을 씁니다. 때로는 손님칸에 드러누워 눈을 감습니다. 제주에 닿습니다. 빗줄기는 굵습니다. 빗방울을 동무삼아 천천히 오르막을 타고서 〈금요일의 아침 조금, 한뼘책방〉에 이릅니다. 골목에 깃든 포근한 샘터 같습니다. 〈한뼘책방〉이, 또는 〈금요일의 아침 조금〉이 깃든 마을에서 살아가는 분은 이 마을에 책집 하나가 싹트면서 얼마나 싱그러운가를 천천히 느끼면서 맞이할 테지요.


  등짐을 내려놓고 생강내음이 감도는 잎물을 한 모금 마십니다. 꽃종이로 고이 싼 책을 하나 고르고, 〈금요일 한뼘〉에서 크게 짖으며 놀래킨 개를 마주보다가 개를 그린 노래책을 더 고릅니다. 어른 몸집만 한 개는 놀고 싶어서 짖는구나 싶습니다. 저를 놀래킬 적에는 ‘개를 그린 노래책’을 집을 때였는데, 큰개는 “얌마, 내(개) 책이잖아. 네가 왜 만져?” 하는 눈치예요. “응, 네 책 맞아. 그런데 이 책을 이곳 지기님이 새로 들여놓을 수 있단다. 난 이곳에서 네 눈빛을 보고서 이 노래책을 장만해서 읽을 생각이란다.” 하고 마음으로 속삭입니다.


  빗줄기는 그대로 굵습니다. 이런갑다 생각하지만 저만 비를 긋고 자전거는 시월비를 고스란히 맞습니다. 하루 내내 비를 쫄딱 맞는 자전거를 이따가 길손집에서 말끔히 닦아야겠다고 생각합니다.


  어느새 낮이 깊고, 구름이 새하얗게 덮은 하늘은 바람이 가볍게 춤춥니다. 둘레에서는 날이 매우 춥다고들 하지만, 시월이란 워낙 이런 철인걸요. 낮볕은 아직 후끈하고 밤이슬은 서늘하되, 빗물결로 “이제 곧 겨울이란다. 너희는 겨울맞이를 어떻게 하니?” 하고 묻는 시월입니다. 저녁에 설문대어린이책숲에서 만날 이웃님을 그리면서 다시 등짐을 멥니다. 온몸을 뜨끈하게 어루만졌으니 새길을 나설 때입니다. 아침에서 낮으로 한 뼘 움직입니다. 이 낮은 곧 별밤으로 걸어가겠지요.


ㅅㄴㄹ


《개를 위한 노래》(메리 올리버/민승남 옮김, 미디어창비, 2021.3.15.)

《쇼리》(옥타비아 버틀러/박설영 옮김, 프시케의숲, 2020.7.15.)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사전 짓는 서재도서관)”을 꾸린다. 1992년부터 이 길을 걸었고, 쓴 책으로 《곁책》, 《쉬운 말이 평화》,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읽는 우리말 사전 1·2·3》, 《우리말 동시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들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마실


푸른물결 들꽃물결 (2021.8.20.)

― 전주 〈책방 놀지〉



  새터로 옮겨서 연 〈잘 익은 언어들〉에 들렀습니다. 책집이 어떤 곳인가 하는 이야기를 어린이한테 들려주려고 쓴 꽃글(동화) 가운데 첫 꼭지를 글종이(원고지)에 옮겨적어 건네었습니다. 큰책집이 아닌 작은책집이라는 마음을 두고두고 이으면서 책마다 서린 푸른빛을 나누면 즐거우리라 생각해요.


  기차나루로 가는 버스를 타려고 걷다가 이팝나무 바람그늘 곁에 있는 〈책방 놀지〉를 만납니다. 아까는 건너쪽 거님길을 걸었는데 못 알아봤습니다. 설마 나뭇잎에 가려서 못 본 셈일까요.


  느긋이 걷고, 느릿느릿 눈길을 옮기면 책집도 들꽃도 구름도 볼 만합니다. 바쁘거나 서두르는 눈에는 책집도 들꽃도 구름도 안 보입니다. 전주도 꽤 커다란 고장이기에 거님길에서 한눈을 팔다가 사람한테 치이거나 빵빵 소리에 귀가 먹습니다. 서울뿐 아니라 모든 고장이 몸집을 더 키우려 하고, 잿빛집에 부릉이를 늘리려 합니다. 몸집을 줄이고, 벼슬자리(공무원)를 줄이며, 숲을 늘려 새랑 벌나비랑 풀꽃나비를 품으려는 고장은 아직 이 나라에 없습니다.


  더 생각하면, 나라지기만 숲을 멀리하거나 싫어하지 않아요. 우리 스스로 숲을 멀리하거나 싫어하지 싶습니다. 책이나 영화로는 숲을 마주하지만, 보금자리를 나무로 둘러싸거나 풀꽃이 흐드러지면서 풀벌레가 춤추고 노래하는 터전으로 보듬지 않거든요. 남이 아닌 우리가 푸르게 꿈꾸지 않으면 나라 앞길은 매캐합니다.


  마을 곳곳에 나무가 자라서 우거지고, 이 나무 곁에 쉼터나 집이 있으면 몸마음이 환하게 깨어난다고 느낍니다. 나무가 밀리거나 꺾이고, 나무 없는 곳에 ‘나무를 다룬 책이나 영화’만 있다면 겉치레하고 눈가림이 피어난다고 느껴요.


  멀리 있는 나무한테 찾아가도 나쁘지 않습니다만, 누구나 ‘우리 집 나무’부터 누릴 노릇입니다. 우리 집부터 나무밭이 되고, 우리 마을부터 나무숲이 되며, 우리 고을·고장부터 나무누리가 될 적에, 비로소 나라지기가 얼을 차리겠지요.


  태어난 곳에서 씨앗을 받습니다. 자라난 곳에서 씨앗을 그립니다. 살림하는 곳에서 씨앗을 심습니다. 사랑하는 곳에서 씨앗을 돌봅니다. 살아가는 곳에서 씨앗을 거둡니다. 꿈꾸는 곳에서 씨앗을 나눕니다. 큰책집도 있는 전주입니다만, 마을 곳곳에 알뜰살뜰 피어나는 작은책집은 큰책이 아닌 작은책으로 이야기를 펴면서 나무 한 그루하고 풀 한 포기하고 꽃 한 송이를 한 사람으로서 마주하는 자리예요.


  부릉물결이 아닌 푸른물결을 느끼면서 잎물 한 모금을 누려요. 몸이 천천히 깨어납니다. 잿빛물결이 아닌 들꽃물결을 누리면서 책을 펴요. 마음이 문득 눈뜹니다.


















《내 고향 서울엔》(황진태, 돌베개, 2020.4.20.)

《토요일 한국학교》(강남옥, 모악, 2017.12.11.)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사전 짓는 서재도서관)”을 꾸린다. 1992년부터 이 길을 걸었고, 쓴 책으로 《곁책》, 《쉬운 말이 평화》,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읽는 우리말 사전 1·2·3》, 《우리말 동시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들이 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종이달 2021-10-15 08: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맙습니다
 

숲노래 책숲마실


낮을 먹는 낯 (2021.10.1.)

― 여수 〈낯 가리는 책방〉



  고흥하고 여수 사이에 다리를 놓았다지만, 부릉이가 있는 사람이 다니기에 좋을 뿐입니다. 두 고장 사이를 잇는 다리에는 시외버스나 시골버스가 안 다닙니다. 시외버스로 한참 돌아 두 시간 만에 여수에 닿고, 시내버스로 갈아타고 골목을 걷습니다. 가을볕이 후끈합니다. 곳곳에 우람하게 자란 나무가 있어 나뭇잎을 살랑이는 바람이 햇살을 튕기면서 눈부시고 시원합니다.


  아침 11시에 여는 〈낯 가리는 책방〉인데 30분쯤 일찍 닿습니다. 책집 옆에는 새뜸나름터(신문사지국)가 있고, 바깥마루(평상)가 있어요. 이곳에 등짐을 내리고 앉아 해바라기를 하면서 노래꽃(동시)을 씁니다. 맞은켠 가게 앞에도 바깥마루가 있습니다. 가만 보면 골목을 이룬 마을 한켠에는 바깥마루가 곳곳에 있어요. 가게지기나 손님이 쉬며 수다를 나누면서 나그네도 쉬는 자리입니다.


  햇볕도 햇빛도 듬뿍 들어오는 〈낯 가리는 책방〉입니다. 한여름에는 제법 더울는지 모르나 바람이 훅 끼치면서 싱그러이 감쌀 만하지 싶어요. 겨울에는 여닫이만 닫아 놓아도 포근한 기운이 두루 퍼질 테고요.


  해는 마을을 고루 비춥니다. 바람은 마을을 두루 어루만집니다. 해는 골목을 따사로이 보듬습니다. 바람은 골목에서 돋는 들풀을 빙긋빙긋 쓰다듬습니다. 책집 걸상에 앉아 햇살을 누려도 좋을 테고, 이웃가게 바깥마루에 슬쩍 앉아 햇살을 누려도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마을이란 모름지기 어울림이니까요.


  햇볕을 듬뿍 머금는 풀꽃나무는 튼튼하고 푸릅니다. 햇볕을 못 머금는 풀꽃나무는 시들시들합니다. 사람도 매한가지라고 느껴요. 온몸으로 봄여름가을겨울을 누리면서 온마음으로 네철을 고루 헤아릴 적에 온빛으로 가득한 숨결로 살아갈 테지요.


  오늘은 진주에서 하루를 묵고 이튿날 대구로 건너갈 생각입니다. 순천서 진주로 가는 버스를 타려면 〈낯 가리는 책방〉에 오래 머물 수 없습니다. 이다음에는 느긋이 머물기로 하고 기차나루로 걸어갑니다. 박람회를 열었던 집이 커다랗습니다. 이런 커다란 집으로 구경손(관광객)을 모으겠다며 여러 고장이 큰돈을 들이는데, 앞으로는 큰돈·큰집이 아닌 살림돈·마을살림을 바라보는 길을 살피기를 바라요.


  골목이 골목스럽게 해를 나누고, 마을이 마을답게 풀꽃나무를 품을 적에, 어느 골목하고 마을이든 사람들 스스로 조곤조곤 살림을 가꾸리라 생각합니다. 몇몇 주머니로 들어가는 큰돈이 아닌, 누구나 누리는 살림돈일 적에 삶터가 눈부십니다. 밑살림돈(기본소득)이란 어깨동무를 하는 길이에요. 고르게 마을삶빛을 일군다면 검은돈도 뒷돈도 사라지면서 다같이 환한 낯빛으로 노래하리라 봅니다.


《신령님이 보고 계셔》(홍칼리, 위즈덤하우스, 2001.8.28.)

《파도수집노트》(이우일, 비채, 2021.9.17.)

《급식드라이빙》(조교, 인디펍, 2021.8.20.)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사전 짓는 서재도서관)”을 꾸린다. 1992년부터 이 길을 걸었고, 쓴 책으로 《곁책》, 《쉬운 말이 평화》,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읽는 우리말 사전 1·2·3》, 《우리말 동시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들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

서울 은평에 깃든 〈한평책빵〉에서 일하는 분한테 띄우는 글을 적어 보았습니다. 마을책집이라는 살림빛이 무엇일까 하고 생각하면서 썼어요.

.

.

숲노래 책숲마실 2021.10.14.

〈한평책빵〉하고 마을책집



  저는 낱말책(사전)을 짓는 길을 갑니다. 낱말책을 짓자면 모든 낱말을 처음부터 새로 살펴야 하고, 찬찬히 짚은 낱말도 늘 다시 들추면서 헤아려야 합니다. 말이 태어난 길을 살피고, 말을 지은 살림을 들여다보아야 하지요. 이때에는 손수 살림을 지을 적에 가장 빠르게 알아차리거나 익힐 만하고, 이다음으로는 나라 곳곳을 다니면서 다 다른 살림새를 눈여겨보는 길이 있으며, 나라 곳곳 마을책집에서 그 고장에서 일군 책을 찾아서 읽는 길이 있습니다.


  낱말책을 짓는 길을 가며 나라 곳곳 책집을 늘 꾸준히 돌아다닙니다. 마지막으로 접는 책집을 만나고, 새롭게 태어나는 책집을 마주합니다. 서울 한켠에 〈한평책빵〉이 태어날 즈음 이야기를 들었고, 언제쯤 찾아가 볼 만할까 어림하면서 이태쯤 보냈습니다. 이러다가 서울 강서 쪽으로 다녀올 일이 있어, 〈호수책장〉을 거쳐 〈한평책빵〉을 처음으로 찾아갔습니다. 2021년 5월 12일이로군요. 이름과 누리글집 이야기로만 만나던 책집을 몸으로 마주하면서 책을 살피고 장만할 적에는 사뭇 다릅니다.


  책을 더 많이 갖춘 곳을 굳이 찾아가지는 않습니다. 오직 그 책집답게 스스로 눈빛을 밝혀서 갖추는 책이 있는 곳으로 찾아갑니다. 책을 더 많이 갖추는 곳은 어느 고장을 가나 갖춤새가 엇비슷합니다. 이와 달리 책집지기 나름대로 눈빛을 밝히는 곳은 100자락이나 200자락 책만 갖춘다고 하더라도 오직 그곳에서 새롭게 만날 만한 책이 있기 마련입니다.


  책집을 드나드는 손님은 여러 모습입니다. 첫째로는 책집을 둘러싼 마을에서 살며 가볍게 자주 드나들어요. 둘째로는 책집이 있는 마을에 바깥일이 있어서 찾아왔다가 들러요. 셋째로는 그 책집을 바라보고서 일부러 찾아가서 책집하고 마을을 두루 누리려 합니다.


  책집지기라면 이처럼 다른 손님을 다르게 맞아들인다고 할 만합니다. 자주 찾거나 늘 찾는 손님하고 나누는 책이 있고, 문득 책집바라기가 되어 발걸음을 하는 손님한테 보여주는 책이 있습니다. 더 뛰어나거나 훌륭한 책을 나누거나 보여주지는 않습니다. 마을책집으로서 마을에서 스스로 가꾸거나 짓거나 노래하려고 고른 책에 어떤 숨결하고 이야기를 담았나 하고 들려줍니다.


  책집마실을 하는 손님은 ‘다른 책’만 장만하지 않습니다. 예전에 장만한 책이어도 ‘이야기를 새롭게 느끼거나 보았으면, 예전에 장만한 책을 새롭게 장만하’지요. 겉보기로는 똑같다 하지만, 속내로는 다른 두 책입니다. 우리는 책을 ‘종이에 찍힌 글씨’로만 읽지 않아요. ‘종이에 찍힌 글씨에 서린 숨결과 이야기’를 만나려고 책을 쥡니다.


  누리책(전자책)이 나오고 널리 읽힌다 하더라도, 애써 종이책을 찾아서 돈을 치르는 사람은 ‘숨결과 이야기’를 누리려고 하는 마음입니다. 마을책집은 마을에서 마을살림이라는 길이 ‘숨결과 이야기’라는 대목을 눈여겨보는 쉼터이자 샘터이며 이음터이자 이야기터라고 봅니다. 그냥 놓기만 해도 날개돋히듯 팔리는 책이 있을 테지만, 구태여 이런 잘팔리는 책보다는 ‘숨결과 이야기를 품은 책’을 한결 마음을 들여서 알리고 건네면서 팔려고 하는 마을책집입니다.


  마을책집이 걸어왔고 걸어가며 걸어갈 길을 헤아리는 분이라면, 누리책집에서도 이따금 책을 사되, 즐거이 사뿐사뿐 마을길을 거닐면서 마을책집을 드나들리라 봅니다. 마을책집하고 누리책집은 싸울 사이가 아닙니다. 서로 몫이 다릅니다. 큰책집하고 누리책집이 어떻게 나아가든, 마을책집은 마을이라는 길과 숲을 읽고서 천천히 씨앗을 심으면 넉넉합니다.


  숲은 하루아침에 태어나지 않습니다. 누리책집이나 큰책집은 하루아침에 큰돈을 들여서 번쩍거리는 ‘큰숲터(대형 생태공원)’을 올려세울는지 모르나, 마을책집은 사람을 마음에 사랑과 꿈이라는 씨앗을 심어서 차근차근 짙푸르면서 고루 노래하는 마을숲을 돌보는 징검다리입니다. 나무를 하루아침에 우람하게 키울 까닭이 없습니다. 우람하게 자란 나무를 큰돈 들여 사들여서 척 박아 놓아야 멋스러울까요? 마을을 아우르는 오래나무는 삼백 해 오백 해 즈믄 해라는 나날을 천천히 가지를 뻗고 잎을 내면서 푸르게 우거지기 마련입니다. 갓 태어나는 마을책집도 오래오래 이은 마을책집도 똑같이 ‘마을나무’입니다. 아이더러 빨리 어른이 되라고 닦달할 까닭이 없듯, 마을책집은 늘 나무숨빛으로 느긋이 터를 잡으면 즐거우리라 생각합니다. 고맙습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마실


마을마실 (2021.3.2.)

― 서울 〈메종인디아 트래블앤북스〉



  누가 시키는 대로 한다면, 아무리 착하구나 싶더라도 판박이입니다. 우러나와서 할 적에는 매우 조그맣더라도 눈부시고 새롭습니다. 아이들은 처음에 심부름을 합니다. 어른이 시키기에 하는 심부름인데, 심부름을 맡기는 어른은 아이들이 스스로 소꿉을 찾아내어 살림으로 나아가도록 살살 마음을 이끌 줄 알아야지 싶어요.


  심부름만 하는 아이는 철바보가 되기 좋아요. 심부름이 아닌 일을 찾는 아이는 철빛이 영글어요. ‘일’이란 ‘일다·일어서다·일어나다’를 품는 낱말입니다. 누가 시킬 적에는 심부름일 뿐, 일이 아닙니다. 스스로 물결이나 너울처럼 일으키면서 하기에 일이라고 해요. 스스로 즐겁게 노래하면서 펴기에 비로소 일입니다.


  한자말 ‘직업’은 우리말 ‘일’하고는 썩 안 어울려요. ‘직업’이란 ‘돈벌이·밥벌이’인걸요. 돈이나 밥을 벌되 스스로 즐겁게 눈망울을 반짝이고 노래하면서 할 적이 아니라면 일이라 하지 않아요, 곰곰이 보면 오늘날 이 나라 터전·배움터는 아이들한테 ‘직업교육·직업훈련’을 시킵니다. “밥벌이·돈벌이로 나아가도록 시킴질”이에요. 아이들이 스스로 즐겁게 웃고 노래하고 이야기하는 길에 너울너울 일어날 일거리를 스스로 사랑하는 길을 보여주거나 들려주지 않습니다.


  마을책집 〈메종인디아〉에 깃들어 한낮을 가만히 보냅니다. 마을에 있기에 마을책집이고, 마을사람이 가벼이 들르기에 마을찻집입니다. 마을이 나아갈 길을 책을 곁에 두면서 새삼스레 들려주기에 마을책터이고, 이웃마을이 궁금해서 찾아오는 나그네를 포근히 안으면서 이야기꽃을 피우기에 마을샘터입니다.


  예부터 말하는 ‘마실’이란 ‘마을’을 가리킵니다. “마실을 간다”는 “마을을 간다”입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마을이 아닌, 이웃이 살아가는 마을로 가기에 마실을 가요. 우리가 짓는 마을에서 누리는 살림을 이웃하고 나누려고 마실을 가고, 이웃이 지은 살림을 우리도 둘러보면서 맞아들이려고 마실을 갑니다.


  한자말 ‘여행’이나 영어 ‘투어·트래블’도 이 말이 태어난 곳에서 주고받던 살림이 흐르리라 생각해요. 우리말 ‘마실’에는 우리가 손수 가꾸고 돌보면서 넉넉히 펴던 숨결이 흐릅니다. 우리 마을에서 이웃을 바라보며 마실을 가는 길을 그려 볼까요? 이웃이 우리 마을을 마주하며 마실을 올 나날을 그려 보겠어요?


  바람이 골골샅샅 흐르듯, 사람이 고루고루 흐릅니다. 바람이고 물이고 사람이고 고이면 썩습니다. 바람은 이 숲에서 저 숲으로 흐르고, 물은 하늘에서 바다를 지나고 들을 거치고 숲을 가르지르며 흘러요. 사람은 어느 곳에서 보금자리를 틀고서 바람처럼 물처럼 별처럼 흐르는 숨빛으로 오늘을 짓는 넋일까요?


《Do!》(Gita Wolf·Rameshe Hengadi·Shantaram Dhadpe, tarabooks, 2019.)

《an Indian beach》(Joelle Jolivet, tarabooks, 2017.)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사전 짓는 서재도서관)”을 꾸린다. 1992년부터 이 길을 걸었고, 쓴 책으로 《곁책》, 《쉬운 말이 평화》,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읽는 우리말 사전 1·2·3》, 《우리말 동시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들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