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마실


가을길 (2021.11.2.)

― 수원 〈마그앤그래〉



  우리나라는 ‘들숲바다·풀꽃나무·해바람비’를 몹시 싫어하는 듯합니다. 다들 일본스런 한자말 ‘자연·생태·환경’만 쓰거든요. 그래서 ‘들숲바다·풀꽃나무·해바람비’처럼 새말을 지었습니다. 외마디 ‘숲’을 쓰기도 하지만, ‘숲’이란 말을 못 알아듣는 이웃이 무척 많아 ‘들숲바다’처럼 셋을 하나로 아우르고, 숲을 이루는 ‘풀꽃나무’ 셋을 묶으며, 숲이 태어나는 바탕인 ‘해바람비’ 셋을 여밉니다. 다른 일본 한자말로 ‘삼위일체’라고 할 만한 얼개입니다.


  숲을 싫어하는 이 나라는 들숲을 밀어붙여 잿더미(아파트 단지)를 때려짓습니다. 그런데 사람은 잿더미에서는 숨막혀 죽으니, 시늉으로라도 꽃뜰을 곳곳에 꾸밉니다. 갓 올려세운 잿더미는 그야말로 죽음냄새가 짙으나, 열 해가 흐르고 스무 해가 지나면 어느새 나무가 우거지고 온풀(잡초)이 돋습니다. 어떤 잿더미라 하더라도 스무 해가 지나면 사람내음이 감돌아요. 바로 ‘온풀’이 톡톡히 제몫을 하거든요.


  수원 〈마그앤그래〉로 찾아가는 길은 여럿입니다. 부릉이(자가용)를 모는 분이 있을 테고, 시내버스나 택시를 타는 분이 있을 테며, 저처럼 걷는 이가 있겠지요. 큰길 아닌 샛길을 골라서 〈마그앤그래〉로 찾아가면 가을빛이 눈부십니다. 부러 사그락사그락 가랑잎을 천천히 밟으면서 잎내음을 누릴 수 있어요.


  잿더미(아파트 단지) 한복판에 깃든 마을책집은 이슬방울(보물)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이슬방울이 품은 책을 살피는 길이란 새삼스러이 ‘이슬찾기(보물찾기)’입니다. ‘돈찾기’가 아닌 ‘이슬찾기’입니다.


  우리 집 아이들이 무럭무럭 자라 푸른씨(청소년)라 하더라도 그림책이며 어린이책을 신나게 읽습니다. ‘어른만 읽는 인문책’은 글결부터 딱딱하고, 줄거리를 너무 어렵게 비틀거든요. 우리는 아직 시골에서 스스로 살림을 지으면서 살림빛을 어질게 품은 살림책(인문책)을 제대로 쓰는 어른이 거의 없다시피 합니다. ‘길든 말씨’가 아닌 ‘새로짓는 말길’을 터야 비로소 살림글이요 살림책이거든요.


  햇살이 눈부시게 스미는 마을책집은 환합니다. 모든 책은 종이로 묶고, 모든 종이는 숲에서 아름드리로 자란 나무한테서 왔고, 모든 나무는 해바람비를 머금습니다. 책은 해를 마주하며 읽어야 맛깔스럽습니다. 책은 풀밭에 앉거나 서거나 누워 읽어야 즐겁습니다. 책은 비오는 날 읽으며 촉촉히 스밉니다. 책은 별빛에 기대어 읽기에 반짝반짝 감겨듭니다. 숲에서는 풀꽃나무라는 숨결이 책이고, 잿더미에서는 ‘숲한테서 받은 종이’로 여민 꾸러미에 살림살이 이야기를 사뿐히 얹은 마음빛이 책입니다. 모든 책은 숲이고, 모든 책은 살림이고, 모든 책은 나·너입니다.


ㅅㄴㄹ


《길》(주나이다 그림, 비룡소, 2021.9.30.)

《왜 좋은 걸까?》(기쿠치 치키 글·그림/김보나 옮김, 천개의바람, 2021.7.30.)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마실


북적북적 (2021.12.24.)

― 순천 〈책방 심다〉



  잘 읽어야 할 책일 수 있고, 잘 써야 할 글일 수 있습니다. 잘 지내야 할 삶일 수 있고, 잘 보여야 할 얼굴일 수 있습니다. 우리말 ‘잘’은 ‘100,000,000(억)’이란 셈을 가리킵니다. 엄청 많다고 할 만한 결인데, ‘잘’ 해내거나 이루면 훌륭하다고 여길 만합니다. 우리나라는 “못 하는 일을 잘 하도록(단점 교정)” 이끄는 길로 왔다가 “잘 하는 일을 더 잘 하도록(장점 강화)”으로 옮아가는 듯합니다. 이 두 길은 나쁘지 않되 썩 즐겁거나 아름답지는 않아요.


  즐거운 길은 ‘잘 하는 길’이 아닌, 그저 ‘즐거운 길’입니다. 남이 따지거나 살피기에 ‘잘’로 가르고, 스스로 나를 바라보기에 ‘즐거움’으로 느껴요. 남이 봐줄 적에는 ‘예쁘다·귀엽다’이고, 스스로 나를 가꾸니 ‘아름다움’입니다.


  우리는 남을 못 바꿀 뿐 아니라, 남을 바꾸려 할 까닭이 없습니다. 저는 늘 아름책을 말합니다. 아름다우니 ‘아름책’이라 할 뿐, 아름책은 ‘추천도서’가 아닙니다. 스스로 느끼고 찾고 배우고 거듭나도록 곁에 두면 아름책입니다.


  흔히 “저쪽(상대)이 안 고쳐진다”고 합니다만, “나는 나를 고칠 수 있을 뿐, 남을 고칠 수 없다”고 해야 알맞지 싶어요. “나 아닌 남을 바꾸거나 고치려 한들, 서로 힘들 뿐이라, 스스로 아름답게 가꾸어 나가면, 우리가 스스로 빛나는 모습을 지켜보는 저쪽(상대)은 저절로 스스로 바꾸거나 고치게 마련”이라고 느껴요. 우리 스스로 “내가 나를 아름답게 바꾸거나 고치는 모습을 보여주지 않는다”면, 저쪽(상대)은 “이봐, 너부터 스스로 아름답게 나아가지 않는데, 왜 자꾸 나한테 토를 달아?” 하고 따지겠지요. 스스로 즐거우면 스스로 홀가분합니다.


  한 해가 저무는 길에 순천에 나왔고, 〈책방 심다〉를 들러 고흥으로 돌아가려고 합니다. 전라남도 작은고장 순천은 여러 큰고장 사이를 잇는 길목입니다. 길목은 스치기 쉬운 자리일 수 있고, 문득 깃들어 바람빛을 머금는 터전이 됩니다. 책 한 자락은 스쳐 지나가기 쉬울 수 있고, 얼핏 집어 펼치면서 새바람을 느끼는 길동무가 됩니다.


  책숲(도서관)이며 책집이 북적북적 서로 이야기꽃을 피우는 자리로 나아가면 즐겁습니다. 입을 꾹 닫고서 조용해야 하다면 책읽기가 지겹습니다. 아름답구나 싶은 대목을 읽었기에 벌떡 일어나 큰소리로 읊으면 즐거워요.


  그림책도 글책도 마음을 담아 소리내어 읽을 적에 훨씬 즐겁습니다. 겉눈으로만 훑으면 갇혀요. 속눈으로 헤아리면서 온몸으로 춤추듯 노랫가락으로 얹어 입으로 터뜨리는 이야기 한 줄 두 줄은 새록새록 반짝이면서 씨앗 한 톨이 됩니다.


ㅅㄴㄹ


《일상의 씨앗들》(강나무, 크레아티스트매니지먼트, 2020.12.13.)

《오늘도 사람책을 읽는다》(나옥현, 심다, 2021.11.11.)

《나와 승자 1화 두려움》(whitegrub(김아영), 행복한 재수가 있는, 2018.12.7.첫/2021.8.18.3벌)

《책방 사장과 함께하는 얼렁뚱땅 우쿨렐레》(바다, 심다, 2021.11.11.)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마실


웅진 아동 문고 (2022.5.10.)

― 서울 〈숨어있는 책〉



  모든 발걸음은 오늘을 새롭게 이루어 주는 살림길이지 싶어요. 하나하나 겪으면서 스스로 새록새록 느끼고 보고 배우고, 다음 걸음을 바꾸어 내니까요. 모든 말글은 하루를 새롭게 밝히는 마음길이지 싶어요. 한 마디 한 줄을 혀에 얹거나 눈으로 담으면서 문득문득 알아차리고 헤아리고 꿈을 그리거든요.


  뜻이 있는 곳에는 언제나 반갑게 찾아드는 살림(세간)이 있구나 싶습니다. 뜻을 미처 세우지 못 했다면 이제부터 차곡차곡 가다듬으면서 느긋이 나아갈 노릇이라고 여겨요. 아이들은 소꿉을 놀면서 천천히 받아들입니다. 어른이라면 곁에서 심부름을 하거나 거들면서 어깨너머로 가만히 맞아들여요.


  서두르지 않으면 누구나 볼 수 있습니다. 서두르면 누구라도 못 봅니다. 느긋하지 않으면 언제나 못 보지만, 느긋하면 언제라도 낱낱이 봅니다. 시골에서 살아가며 책집마실을 자주 다니지는 못 하나, 틈틈이 찾아가서 한가득 장만해 놓은 책을 봄바람 머금듯 한갓지게 폅니다.


  서울 〈숨어있는 책〉에 ‘웅진 아동 문고’가 꾸러미로 들어왔습니다. 온짝은 아니고, 그동안 읽고 건사한 책도 있으나, 꾸러미를 고스란히 장만합니다. 웅진출판사는 이 ‘어린이 작은책’을 오래 선보이지는 않았지만, 여러모로 뜻깊어요. 주머니가 가벼워도 장만할 수 있도록 헤아린 꾸러미요, 어린이 손아귀에 쏙 들어와 가볍게 들고다닐 만하기도 합니다.


  요즈음 적잖은 펴냄터는 어린이책마저 ‘겉갈이(러커버)’를 해댈 뿐, 막상 가볍고 값싼 판으로 널리 읽을 판을 선보이지 않습니다. 펴냄터마다 ‘가볍고 값싸게 내면 오히려 안 산다’고 말하지만, ‘후줄근한 작은책’이 아닌 ‘정갈하며 알차면서 고운 작은책’을 내려고 마음쓴 일은 없다고 느껴요. 이웃나라 일본에서 내놓는 작은책은 글씨가 작아도 읽기에 좋고 매우 가볍고 값싸지만, 짜임새가 단단하고 곱게 여밉니다.


  흔히 ‘사람들이 책을 안 읽는다’ 하고 말하는 듯싶습니다만, ‘사람들이 책을 즐겨읽도록 온갖 책을 알차게 내’야지요. 자꾸 ‘작은책은 안 사더라’ 하고 말하는 듯싶은데, ‘사람들이 건사해서 물려주고프도록 엮음새를 바꾸고 가꿔’야지요.


  토를 달거나 핑계를 대기는 쉬워요. 타박하는 말을 고개숙여 듣기는 어려울는지 모릅니다. 그러나 책마을을 살찌우려면 고인물로는 안 됩니다. 잘난책(베스트셀러)으로도 안 됩니다. 큰 펴냄터로도 안 됩니다. 더 작고 더 낮고 더 깊이 스며들면서, 오히려 서울을 벗어나 시골이며 들숲바다를 품는 길로 나아가야 거듭납니다.


ㅅㄴㄹ


《아기붕어와 해나라》(이원수, 웅진출판주식회사, 1985.3.31.)

《광부 아저씨와 꽃게》(한국글쓰기교육연구회 엮음, 웅진출판주식회사, 1985.3.31.)

《애국자 다바코》(송재찬, 웅진출판주식회사, 1985.9.15.)

《은하수에 가지 않은 까치》(박홍근, 웅진출판주식회사, 1985.5.15.)

《담쟁이가 뻗어 나가는 쪽》(손춘익, 웅진출판주식회사, 1985.3.31.)

《불조심 할아버지》(신송민, 웅진출판주식회사, 1985.7.30.)

《봉황리 아이들》(윤기현, 웅진출판주식회사, 1985.3.31.)

《인디언 이야기》(김정환 옮김, 웅진출판주식회사, 1985.3.31.)

《점복이 도련님》(정휘창, 웅진출판주식회사, 1985.7.30.)

《꽃으로 성을 쌓은 나라》(김병규, 웅진출판주식회사, 1985.9.15.)

《까치고동 목걸이》(손동인, 웅진출판주식회사, 1985.4.30.)

《열 두 대문》(윤석중, 웅진출판주식회사, 1985.3.31.)

《큰 바위와 산새》(배익천, 웅진출판주식회사, 1985.5.15.)

《아기도깨비 루루의 모험》(이현주, 웅진출판주식회사, 1985.5.15.)

《태백산 품 속에서》(김녹촌, 웅진출판주식회사, 1985.5.15.)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마실


글 + 그림 (2022.5.16.)

― 광주 〈ㅊ의 자리〉



  푸른배움터를 마칠 무렵까지 ‘우리말처럼 보이는 적잖은 말’은 우리말이 아니고 일본말인 줄 몰랐습니다. 둘레 어른들은 이 대목을 안 가르쳤고, 흘려넘겼고, 배움수렁(입시지옥)에 어린이·푸름이를 몰아넣기만 했습니다. 열아홉 살에 서울을 비로소 만나고 여러 또래나 윗내기를 만나면서 ‘우리나라에서 서울 아닌 데에서 사는 사람은 다 바보일 수 있겠다’고 느꼈습니다. 모두 서울로 쏠리기도 했지만, 서울내기처럼 숱한 책을 마음껏 읽을 터전은 다른 고장에 없더군요.


  큰고장을 아주 떠나 시골에서 살아가며 돌아보노라면, ‘서울에서는 종이꾸러미로 배우는 길이 가장 넓을’ 수는 있어도 ‘종이가 온 숲을 배우는 길은 가장 막히고 좁’다고 느껴요.


  총칼로 우리나라로 쳐들어와서 짓밟고 괴롭힌 일본을 나무라거나 미워하는 분은 많되, 일본사람이 지어서 이 나라에 심은 일본 한자말이나 일본말씨를 하나하나 털어내는 분은 없습니다. ‘적지도 않고 없’습니다. 다들 그냥 씁니다. ‘사회·문화·정치·학교’ 같은 한자말도 일본사람이 머리를 굴려 엮은 한자말입니다. ‘도서관·서점·출판사’ 같은 한자말조차 일본사람이 퍼뜨린 한자말입니다.


  총칼굴레(일제강점기)에서 홀로서기(독립운동)를 꿈꾼 분들은 일본말 아닌 우리말을 되찾으려 했고, 몰래 한글을 살리면서 지켰고, 우리 삶과 넋과 생각을 담을 우리말을 새로 지으려 했습니다.


  그냥그냥 ‘만화책’이란 일본스런 한자말을 써도 안 나쁘지만, 굳이 ‘글 + 그림’이라는 얼개를 꽃처럼 피우는 결을 헤아리면서 ‘그림꽃책’처럼 새말을 엮어 봅니다. 그림책하고 그림꽃책(만화)은 닮되 달라요. 그림꽃(만화)을 안 읽는 사람은 그림꽃이 얼마나 아름답고 사랑스러운가를 모를 뿐 아니라, 알 마음조차 없지 싶습니다만, 아름다운 그림꽃을 알아보고 손에 쥐기를 바라는 새 이름입니다.


  광주에서 〈일신서점〉하고 〈광일서점〉을 들르고서 〈ㅊ의 자리〉로 찾아옵니다. 책집이면 그냥 가면 되리라 여겼는데, 미리 여쭈어야 한다더군요. 일본 한자말로 ‘예약제’라고 합니다. 다음에는 미리 여쭙기로 하고서 조용히 둘러봅니다.


  가을은 모두 살찌우는 볕이고, 봄은 모두 깨우는 빛입니다. 겨울은 모두 꿈꾸는 밭이고, 여름은 모두 노래하는 별입니다. 철마다 다른 결을 헤아립니다. ‘이름없는(무명)’ 사람은 없듯, ‘들꽃같은’ 사람이나 ‘들풀같은’ 사람이 있고, ‘바다같’거나 ‘하늘같’거나 ‘숲같은’ 사람이 있습니다. ㅊ이라는 닿소리를 혀에 얹으며 ‘철’을 생각합니다. 철마나 찬찬히 착하게 초롱초롱 읽습니다.


ㅅㄴㄹ


《죽고 싶지만 살고 싶어서》(장화와 열 사람, 글항아리, 2021.9.3.)

《숨을 참는 아이》(뱅상 자뷔스 글·이폴리트 그림/김현아 옮김, 한울림스페셜, 2022.3.21.)

《아무튼, 순정만화》(이마루, 코난북스, 2020.2.1.)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마실


말씨앗 (2022.7.26.)

― 인천 〈아벨서점〉



  모든 말은 삶에서 태어나요. 모든 삶은 살림살이(자급자족)에서 태어나고요. 모든 살람은 숲(자연)에서 태어나는데, 모든 숲은 작은씨앗 한 톨에서 태어납니다. 모든 작은씨앗은 사랑으로 태어납니다. 모든 사랑은 꿈으로 태어납니다. 모든 꿈은 마음에서 태어나고, 모든 마음은 생각으로 태어납니다. 모든 생각은 우리 스스로 ‘참다운 나’라는 별빛을 품는 넋에서 태어나는데, 모든 넋은 다 다른 나이면서 너예요. 모든 다 다른 나하고 너는 새롭게 삶을 지으려고 터뜨리는 첫말로 태어납니다.


  ‘숲’에 있으면, 숲이 살림터이자 배움터이면서 사랑터로 나아갈 만합니다. 《아나스타시아》(블라지미르 메그레 글/한병석 옮김) 열 자락을 천천히 읽어 되읽어 본다면 누구나 스스로 알아차리실 만하지요. 숲에서 살림을 가꾼다면 숲빛을 읽으면서 스스로 푸르면 즐거워요. 서울(도시)에서 살림을 일군다면 숲빛을 노래하는 책을 곁에 두면서 하늘빛을 늘 새록새록 가슴으로 안으면 파란노을로 밝고요.


  인천 배다리에 깃들면서 〈아벨서점〉에 들릅니다. 오늘은 책을 조금만 돌아보자고 생각하지만, 하나를 쥐면 둘이 보이고, 셋이 뜨이며 넷을 품습니다. “그래, 시골집에서 두고두고 읽을 책이라고 여기자.” 하고 생각합니다.


  바깥(사회)에서 보는 대로라면 아이들은 20살부터 ‘밖(사회)’으로 나아가야겠지만, 보금자리에서 사랑을 짓는 눈길로 바라본다면, 아이들은 “늘 보금자리라는 아늑한 터전(사회)”에 즐겁게 있어요. 굳이 “돈을 벌거나 부딪혀야 하는 어른나라(기성세대 중심 질서)”로 나아가야 하지 않아요. 어른나라에서 말하는 ‘청소년 복지나 정책’은 모두 책상물림 벼슬꾼(공무원)이 돈 쓰는 틀(예산 소모)에서 맴도는데, 제도권학교를 다녀야만 이 부스러기 울타리를 받더군요.


  모든 어린이하고 푸름이는 스스로 천천히 슬기로이 풀어나갑니다. 스스로 천천히 삶·살림을 풀어나가며 어른으로 자라기에 스스로 천천히 말꽃을 터뜨려요. 삶·살림을 둘러싼 말을 스스로 짓습니다.


  배움터를 오래 다닐수록 말짓기를 못 하더군요. 배움터를 안 다니고서 삶이며 살림을 손수 짓는 사람은 말짓기를 스스로 하고요. 배움터를 오래 다니기에 ‘글쓰기 아닌 글꾸미기’를 한다면, 배움터를 기웃거리지 않기에 ‘글쓰기·삶쓰기·살림쓰기’를 ‘사랑쓰기’로 잇는 실마리를 스스로 알아차립니다.


  앞으로도 이 나라 아이들이 배움터를 오래 다녀야 한다면, 우리 말글은 비틀거리거나 무너질 만합니다. 이제는 삶·살림을 사랑이란 숲빛으로 마주할 때입니다.


ㅅㄴㄹ


《북한여성》(이태영, 실천문학사, 1988.3.30.)

《숨쉬는 책, 대표작가 대표작품》(이청준 외, 오상, 1982.9.20.첫/1987.5.2.2벌)

《밤마다 꾸는 신기한 꿈, 꼬마 탕이 배워 나가는 재미있는 한자 이야기》(리자 브레스네르 글·프레데릭 망소 그림/윤정임 옮김, 디자인하우스, 2000.6.25.)

《바람의 사상, 시인 고은의 일기 1973∼1977》(고은, 한길사, 2012.12.10.첫/2017.12.20.4벌)

《남자현》(강윤정, 지식산업사, 2018.12.21.)

《ABE 16 안네》(에른스트 쉬나벨/신동춘 옮김, 학원출판공사, 1984.8.31.)

《거대한 그물》(니콜라이 베르자예프/이경식 옮김, 종로서적, 1981.8.30.)

《靑春을 불사르고》(김일엽, 중앙출판공사, 1994.3.5.개정 초판)

《이 아이들을 어찌할 것인가》(이오덕, 청년사, 1977.5.10.첫/1986.5.30.11벌)

《現代女性敎養講座 5 知性의 薔徵》(배영원 엮음, 계몽사, 1963.8.15.)

《쌩 떽쥐뻬리 選集 4 城砦 下》(쌩 떽쥐뻬리/염기용 옮김, 범우사, 1975.11.25.)

《敎育과 文化的 植民主義》(마틴 카노이/김쾌상 옮김, 한길사, 1980.11.29.)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