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0.7.15.


《야만바의 비단》

 마쓰타니 미요코 글·세가와 야스오 그림/고향옥 옮김, 비룡소, 2007.8.10.



올해 들어 비가 시원하게 좍좍 꽂는다. 시원하게 꽂는 비는 하늘을 시원하게 씻고, 바람을 시원하게 어루만진다. 이 시원스러운 비가 그치면 빗물에 농약·방역이 씻겼다며 다시 뿌리려고들 하는데, 농약·방역을 하면 할수록 비는 새삼스레 좍좍 꽂지 싶다. 사람들더러 언제쯤 그 농약·방역을 그치겠느냐고 묻는 비구름이랄까. 《야만바의 비단》을 오래도록 곁에 두었다. 착한 마음결로 살아가는 사람이 치르거나 맞아들이면서 펴는 길이 어떠한가를 따사롭게 보여준다. 써도 써도 자꾸자꾸 돋아나는 누에천을 보여주는데, 풀이란 늘 이와 같지. 풀잎을 훑고 또 훑어도 풀은 새로 자라서 우리한테 밥이 되어 준다. 다만 뿌리까지 캐내면 더는 돋아나지 못한다. 삶터를 알맞게 다스리면서 가꾸는 눈빛이 된다면 누구나 넉넉히 모든 것을 누릴 만하다. 우리 집에서 건사한 매실단물을 두 이웃집하고 나눈다. 한 집에 드린 매실단물은 염소젖 치즈로 돌아오고, 다른 집에 드린 매실단물은 파랑딸기로 돌아온다. 그저 우리가 건사한 살림을 건네주었을 뿐인데, 뜻밖에 새로운 살림이 우리한테 온다. 사랑은 길어올릴수록 새롭게 솟는다. 샘물은 흐르는 결을 바라보며 누리면 누구나 언제까지나 누린다. 그치지 않는 사랑 같은 한결같은 샘물이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0.7.6.


《출근길에 썼습니다》

 돌고래 글, 버찌책방, 2020.5.5.



‘출근(出勤)’이라는 한자말을 언제부터 쓰는가 돌아보면, 아마 일제강점기 아닐까. 그때 앞서까지 이런 말을 쓸 ‘일’이 없었으리라. 모두 집에서 일하고, 마을에서 일했으니까. ‘출근·출석·등교’나 ‘퇴근·하교’는 서양살림에 맞춰 나라를 통째로 바꾸려 하던 일본사람이 지은, 또는 널리 쓴 한자말이겠지. 사람들은 이런 말을 그냥 쓴다. 나도 2003년까지는 이런 말을 그냥 썼다. 2003년 8월 뒤로는 이 말을 쓸 일이 없기도 하지만, 어린이 눈높이를 헤아려 몽땅 손질하자고 여겼다. 이를테면 ‘일하러 가’고 ‘일을 마친’다. 단출히 쓰고플 적에는 ‘가다·오다’면 된다. 《출근길에 썼습니다》라면 “일하러 가며 씁니다”일 테지. “아침길에 씁니다”이든지. 집을 떠나 일터로 가는 길은 ‘다른 내’가 되어 ‘다른 사람’을 마주한다. 집에서 함께 사는 사랑님하고 떨어져 ‘사랑님이 아닌 남(이웃·동무·그냥 남)’하고 마주하면서 온힘을 쓴다. 쪽틈을 내어 쪽글을 쓴다. 스스로 차분하면서 참한 눈빛을 고이 이으려는 마음이 되니 짤막짤막 하루를 남긴다. 누가 시켜서 하는 글쓰기가 아니기에 더더욱 즐거운 글길이다. 눈치를 볼 일이 아닌, 오롯이 마음을 들여다보면서 글을 쓰니, 아침저녁으로 남기는 이야기는 이슬이 된다. ㅅㄴㄹ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0.7.14.


《아기와 나 1》

 라가와 마리모 글·그림/편집2부 단행본팀 옮김, 대원씨아이, 2002.3.15.



올해에는 쉬지 않고 내리는 비가 잦지만 하루를 넘기지는 않는다. 무척 고맙다. 비가 쉬는 틈에 빨래를 해서 마당에 널고 읍내로 마실을 한다. 가랑비가 내린다. 슈룹을 그냥 챙긴다. 이 슈룹을 안 쓸 생각이지만 굳이 챙기고서 시골버스에 타는데, ‘뭐여, 안 쓸 생각이면서 번거롭게 왜 들고 다녀?’ 하는 마음속 말이 흐른다. 그래, 아이랑 저자마실을 나왔다면 챙겨도 되지만, 혼자 나오는 길인데 왜 번거롭게 챙겼을까. 《아기와 나》 첫걸음을 다시 읽는다. 푸름이한테 이 만화책 이야기를 들려주고 싶다. 우리말로 나오기로도 한참 되었고, 일본에서 나오기로는 더더욱 오래된 만화이지만, 여러모로 엿볼 대목이 많다. 삶이란 무엇이니? 사랑이란 무엇이니? 동생이나 언니란 누구이니? 어머니 아버지는 어떤 사람이니? 오늘 네가 바라는 길은 무엇이니? 마음으로 반가운 동무는 어디에서 무엇을 하니? 네 동무는 왜 너를 좋아하고, 너는 네 동무를 왜 좋아하니? 이런 여러 가지 수수께끼를 스스로 풀도록 따스하게 이끄는 만화책이 《아기와 나》라고 본다. 올해 마지막 매실잼을 어제 졸이려다가 빈병이 모자랐다. 읍내에서 빈병을 잔뜩 산다. 마감꾸러미를 아직 출판사에 못 넘겼지만, 매실잼도 때맞추어야 두고두고 밥살림이 될 테니 …….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0.7.13.


《미오, 나의 미오》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글·일론 비클란트 그림/김서정 옮김, 우리교육, 2002.7.10.



이레째 마감을 못한다. 마감이 되려는가 싶으면 이 대목을 더 추슬러야겠고, 어느덧 마감을 해야겠네 싶으면 저 대목을 더 손봐야겠더라. 속으로 으끙으끙 소리가 나면서 뒷골이 살짝 당긴다. 이럴 때면 새삼스레 물을 벌컥 마시고 풀밭을 맨발로 디디고 나무 곁에 서다가 하늘을 본다. 나무는 언제나 속삭인다. “모든 일은 네 꿈대로 나아가. 그러니 그 꿈을 고요히 생각하고 곱게 그려.” 마감을 지키려고 꾸리는 글뭉치가 아니다. 이야기를 지피려고 꾸리는 글뭉치이다. 때맞춰 내려는 책이 아니다. 이웃님하고 한결 즐거이 새길을 같이 닦아 보자는 마음을 나누려고 하는 책이다. 밥을 짓고 빨래를 한다. 등허리를 쉬려고 누우며 《미오, 나의 미오》를 편다. 읽은 지 열 몇 해가 되는 책인데, 다시 읽고 보니 옮김말이 아주 엉성하다. 애벌옮김도 아니고 뭘까. 펴낸곳에서는 글손질조차 안 하나. 어린이한테 이런 말씨인 책을 읽혀도 되나? 줄거리나 이야기는 훌륭한데 옮김말이 이렇게 엉망이라면, 어린이는 어떤 마음밥이나 글밥을 누릴까? 전문 번역가나 작가란 이름으로 일하는 사람일수록 더더욱 날마다 말을 새롭게 배우고 갈고닦아야지 싶다. 익숙한 말버릇에 갇힌다면 생각부터 틀에 박히고 만다. 아름말을 익히고 아름글을 여미어야지.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0.7.12.


《수학에 빠진 아이》

 미겔 탕코 글·그림/김세실 옮김, 나는별, 2020.1.7.



헌 자전거 앞바퀴를 떼었다. 얼추 스무 해쯤 타는 내 자전거 앞바퀴하고 바꾸었다. 한동안 둘이 안 맞더니 이제 슬슬 맞아 준다. 오래도록 다리가 되어 주는 자전거는 포옥 한숨을 쉬더니 “너 있잖아, 곧 살림을 펴면 새 바퀴를 달아 줘? 알겠니?” 하고 속삭인다. 내가 타는 자전거는 큰아이한테 먼저 물려주고, 큰아이가 키가 껑충 자라면 탈 자전거를 따로 장만해서 미리 내가 타면서 길을 들여 놓아야 할 텐데, 아직 새 자전거를 장만하지는 못한다. 그러나 작은아이는 샛자전거를 탈 만하기에 셋 아닌 둘이서만 자전거마실을 한다. 해가 쨍쨍하건 비가 오건 아랑곳않는다. 큰아이하고 여태 비자전거 눈자전거 바람자전거 해자전거를 실컷 누렸으니, 비를 머금는 자전거를 작은아이랑 함께 누린다. 집으로 돌아오니 큰아이는 낮잠. 작은아이랑 같이 밥을 한다. 이러고서 씻고 쉰다. 《수학에 빠진 아이》를 읽는다. 줄거리도 이야기도 좋은데, “자전거에 빠진 아이”나 “놀이에 빠진 아이”나 “이야기에 빠진 아이”나 “걸음에 빠진 아이”나 “숲에 빠진 아이” 같은 이야기를 꾸러미로 엮으면 재미있겠네 싶다. 아이한테 스스로 마음에 드는 길을 얼마든지 갈 만하다는 노래를 들려준다면 오늘 이 하루란 언제나 빛나는 웃음꽃이 되리라.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