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말빛

곁말 49 나



  저(나)는 겨울 첫머리인 12월 7일에 태어납니다. 어릴 적에 달종이를 보면 이날 ‘大雪’처럼 한자로만 적혔어요. “어머니 내가 태어난 날에 적힌 이 글씨가 뭐예요?” 하고 여쭈면 “‘대설’이란 한자야. ‘큰눈’이란 뜻이고, 눈이 많이 온다는 날이야.” 하고 들려주었습니다. 그무렵 ‘대설 = 대설사’로 여기며 말장난을 하는 또래가 있어요. 한자로만 보면 ‘대설사 = 큰물똥’이니, 어른들은 왜 철눈(절기)을 저런 이름으로 붙였나 싶어 툴툴거렸어요. 누가 12월 7일이 무슨 철눈이냐고 물으면 으레 ‘큰눈’이라고만 말했습니다. 12월 22일에 있는 다른 철눈은 ‘깊밤’이라 했어요. 또래가 짓궂게 치는 말장난에 안 휘둘리고 싶기도 했고, 한자를 모르는 또래도 쉽게 그날을 알기를 바랐어요. 겨울에 태어나 자랐기에 얼핏 차갑다 싶은 겨울이 마냥 춥지만 않은 줄 알았어요. 추위(겨울)가 있기에 봄이 있거든요. 모두 얼어붙고 하얗게 덮으며 새해 새꿈을 그리기에 새날(설날)을 맞이해요. 배움터는 봄부터 다시 열지만, 삶은 겨울 한복판부터 열어요. 무럭무럭 자라 어른이 되어 아이를 맞이한 뒤엔 아이들을 토닥이고 별노래를 지어서 들려주었습니다. 겨우내 포근히 자고 봄내 실컷 뛰놀자는 자장노래를 부르며 밤새 하루를 그려요.


나 : 바로 여기에서 이 몸을 움직이고 이 마음을 다스리는 사람이 나. 저기에서 저 몸을 움직이고 저 마음을 다스리는 사람은 너. ‘나’를 바탕으로 ‘나(나다)’고 ‘나오(나오다)’고 ‘낳(낳다)’고 ‘내(내다)’고 ‘내놓(내놓다)’고 ‘나아가(나아가다)’고 ‘난’(날다)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말빛 2022.4.25.

곁말 48 작은숲이



  저는 ‘작은아이’로 태어났고 내내 ‘작은아이’란 이름을 들었습니다. 마흔 살이 넘어도 ‘작은아이’란 이름이니, 여든 살이나 이백 살이 넘어도 똑같이 ‘작은아이’일 테지요. ‘작다’란 이름은 때때로 놀림말로 바뀝니다. 놀림말을 듣고서 골을 내면 “거 봐. 넌 몸뿐 아니라 마음도 작으니까 골을 내지!” 해요. 놀리려는 사람은 제가 무엇을 해도 늘 놀리더군요. 스무 살을 넘어 만난 어느 동무는 ‘작은이’란 이름을 자랑처럼 씁니다. 동무는 ‘시민·서민·소시민·민중·백성’ 같은 뜻으로 ‘작은이’를 쓰더군요. 깜짝 놀랐어요. “아, 이름은 같아도 마음에 따라 다르구나!” 하고 비로소 느끼고는 ‘작은아이’로 태어난 뜻이 있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가만히 보면, 숲에서 숲빛을 밝히며 숲아이를 보살피거나 아끼는 숨결은 하나같이 ‘작’아요. 이른바 한자말 ‘요정·정령’으로 가리키는 빛님은 자그맣습니다. 숲을 사랑으로 돌볼 줄 아는 작은 님이라면 ‘작은숲님’일 테지요. 숲에 사는 작은님이란 뜻으로 ‘숲작은님’이라 할 만하고요. 제가 스스로 님이란 이름을 붙이기에는 멋쩍으니, 저로서는 ‘작은숲이’로 살림을 하고 싶습니다. ‘숲작은이’란 마음이요 몸짓으로 하루를 그리려 해요. 자그맣고 푸르게 꿈을 키웁니다.


작은숲이 (작다 + 숲 + 이) : 숲에서 살아가며 숲을 아끼거나 돌보거나 살피는 자그마한 숨결. 모든 숨결이 태어나거나 비롯하는 숲이라는 터전에서 지내면서, 이 숲을 푸르게 아끼거나 돌보거나 살피면서 맑고 밝게 삶을 짓고 가꾸는 숨결. (= 숲작은이. ← 요정, 정령)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말빛 2022.4.23.

곁말 47 나우누리



  이제 사라진 누리그물 가운데 ‘나우누리’가 있습니다. ‘천리안’은 한자말로 지은 이름이고, ‘하이텔’은 영어로 지은 이름이라면, ‘나우누리’는 우리말로 지은 이름입니다. 세 군데 누리그물은 스스로 지은 이름대로 나아갔어요. 한자말 이름인 곳은 참말 온갖 곳에 한자말을 썼고, 영어 이름인 곳은 그야말로 온갖 곳이 영어범벅이었는데, 우리말 이름인 곳은 또이름(ID)을 한글로 쓰는 길을 처음 열 뿐 아니라, 처음 들이는 누리말(인터넷 용어)을 우리말답게 고치거나 새로짓는 눈썰미를 밝혔습니다. 어린이하고 어르신 모두한테 턱을 낮췄습니다. 다른 곳은 ‘웹마스터’란 영어 이름을 썼으나, 나우누리는 ‘나우지기’란 이름을 받아들여 ‘-지기’라는 오랜 낱말을 ‘마스터·매니저·관리자·책임자’로 풀어내는 길을 퍼뜨렸지요. 사람들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가다듬는 얼거리를 짰달까요. “나와 우리가 여는 새로운 누리”를 ‘나우누리’란 이름에 담았으니, 비록 이곳이 살림을 알차게 꾸리지 못하여 닫았더라도, ‘나너우리(나하고 너는 우리)’라는 숨결을 씨앗으로 심었다고 생각합니다. 너나없는 마음처럼 나너없는 마음입니다. 너나하나인 눈빛처럼 나너하나인 눈빛이에요.


나우누리 (나 + 우리 + 누리) : 나하고 우리가 여는 새로운 누리. 나하고 우리를 하나로 여기며 나아가려 하기네, 나하고 너를 가르거나 쪼개거나 나누거나 떼지 않고 함께 품거나 나란히 어우르려는 마음·몸짓·생각·뜻. 어느 쪽을 높이거나 낮추지 않고, 어느 쪽을 앞이나 뒤에 놓지 않으며, 우리가 함께 헤아리면서 살아가고 사랑하는 길. (= 너나우리·나너우리·너나없다·나너없다·너나하나·나너하나. ← 공동체, 평등, 평화, 양성평등, 성평등, 페미니즘, 일심, 일심동체, 구별없다, 이타심, 자애)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말빛/숲노래 우리말 2022.4.21.

곁말 46 손빛책



  누리책집 ‘알라딘’은 “알라딘 중고서점·중고샵”이란 이름을 퍼뜨렸습니다. 이곳에서는 ‘헌책’을 팔지만 정작 ‘헌책’이란 우리말을 안 쓰고 ‘중고서점’이란 일본 한자말을 쓰고, ‘중고샵’ 같은 범벅말(잡탕언어)을 씁니다. 왜 “알라딘 헌책집·헌책가게”처럼 수수하게 이름을 붙이려고 생각하지 못 할까요? 아무래도 ‘헌옷·헌책·헌집’이란 낱말에 깃든 ‘헌(헐다·허름)’이 어떤 말밑(어원)인지 모르기 때문일 테지요. ‘허허바다(← 망망대해)’란 오랜 우리말이 있어요. 웃음소리 가운데 ‘허허’가 있고, ‘헌걸차다’란 우리말도 있습니다. ‘허’는 ‘쓴·빈·없는’뿐 아니라 ‘너른·큰·하나인’을 나타내는 밑말(어근)이기도 한데, ‘하·허’로 맞물립니다. ‘하늘’을 가리키는 ‘하’나 ‘헌책’을 가리키는 ‘허’는 같은 말밑이요 밑말입니다. 사람 손길을 타기에 헌책이고, 사람 손길은 하늘빛을 담게 마련이라, ‘헌책 = 하늘빛책’인 셈입니다. 투박한 이름이 외려 눈부신 셈이에요. 다만, 이제는 새말을 지을 수 있어요. 손길을 타기에 ‘헌책’이라면, 말 그대로 ‘손길책’입니다. 손길을 타서 빛나는 책이라면, 그야말로 ‘손빛책’입니다. 이제 저는 ‘손길책집’에 마실하면서 ‘손빛책지기’님을 만납니다.


[숲노래 말꽃]

손빛책 (손 + 빛 + 책) : 손빛이 깃들거나 흐르거나 퍼지거나 이은 책. 손을 타서 읽히는 동안 새롭게 빛나는 책. 사람들 손을 돌고돌면서 새삼스레 읽혀 옛빛에서 새빛을 얻도록 잇는 책. 오늘 우리 손을 새롭게 받아서 빛나는 오래된 책.

.

손길책 (손 + 길 + 책) : 손길을 받거나 타거나 얹거나 묻거나 담은 책. 손길을 받거나 담으면서 읽히는 동안 새롭게 스며드는 책. 사람들 손길이 돌고돌면서 새삼스레 읽혀 옛삶·옛살림·옛길에서 새삶·새살림·새길을 헤아리도록 돕거나 이끄는 책. 오늘 우리 손길을 새롭게 받아서 아름답거나 즐거운 오래된 책.

.

헌책 : 이미 쓴 책. 손길을 타서 읽힌 뒤에 새롭게 읽힐 책. 사람들 손길을 돌고돌면서 새삼스레 읽혀 옛빛에서 새빛을 얻도록 잇는 책. 오늘 우리 손길을 새롭게 받아서 빛나는 오래된 책.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오래도록 고맙게 온갖 책을 만나는

이음길 노릇을 해온

알라딘에서

그야말로 오래오래

참으로 숱한 책을 장만했는데

알라딘이 '책집 이름'을

이제는 스스로 새롭게 빛내도록

확 바꿀 수 있기를 빌어 본다.


굳이 '낡은' 이름에 얽매여야 할까?


책집 얼개를 새롭게 하고 싶다는 뜻을

알라딘이 펴려고 한다면


'중고서점'도 '중고샵'도 아닌,

"알라딘 손빛책"이라 할 수 있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곁노래/숲노래 말빛

곁말 45 한누리



  푸른배움터를 마치고 들어간 열린배움터(대학교)는 하나부터 열까지 못마땅했습니다. 하루하루 억지로 버티면서 책집마실로 마음을 달랬습니다. 3월부터 7월까지 꼬박꼬박 모든 이야기(강의)를 듣다가 8월부터는 도무지 못 견디겠어서 길잡이(교수)가 보는 앞에서 배움책을 소리나게 덮고 앞자리로 나가서 “이렇게 시시하게 가르치는 말은 더 못 듣겠다!” 하고 읊고서 미닫이를 쾅 소리나게 닫고서 나갔습니다. 어디에서든 스스로 배울 뿐인데, 배움터를 옮겼기에 달라질 일이 없습니다. 언제 스스로 터뜨려 박차고 일어나 마침종이(졸업장)를 벗어던지느냐일 뿐입니다. 길잡이다운 길잡이가 안 보이니, 스스로 길을 내는 이슬받이로 살아가기로 합니다. 배움책집(구내서점)하고 배움책숲(학교도서관)에서 일하는 틈틈이 책을 읽고, 새뜸나름이(신문배달부)로 일한 삯을 모아 헌책집에서 배움책을 장만해서 읽는 나날입니다. 이해 1994년 12월 29일에 “우리말 한누리”라는 모임을 스스로 열었습니다. 싸움판(군대)을 다녀온 뒤인 1998년 1월 6일에 “헌책방 사랑누리”라는 모임을 새로 열었습니다. ‘나라’ 아닌 ‘누리’여야겠다고 생각했어요. 첫걸음은 ‘하나처럼 함께 하늘빛’으로, 두걸음은 ‘사람으로 살림짓는 숲빛인 사랑’을 그렸어요.


한누리 (한·하나·하늘 + 누리) : 널리 어깨동무를 하면서 언제나 두루 어우러지는 터전. 울타리가 없고, 따돌림이 없고, 위아래가 없고, 갈라지거나 등돌리는 일이 없고, 돈·힘·이름으로 함부로 괴롭히거나 들볶는 일이 없는 터전. (← 통일세상·평등세상·프리마켓·플리마켓·자유공간·커뮤니티·공론장)


ㅅㄴㄹ


짧게 썼으나

한국외대 네덜란드말 학과

그 강의를 이끄는 어느 교수 수업은

도무지 더는 못 듣겠다고 여겨

그 사람이 어떻게 무엇을 엉터리로 가르치고

강의실 바깥에서는 얼마나 '안 어른스러운가'를

20분 넘게 거침없이 빠르게 외치고서

강의실 앞문을 쾅 소리 나게 닫고서 

그 지긋지긋한 곳을 그만두기로 했다.


처음으로 학생한테서 지적을 받은 그 교수는

그 뒤로 아주 조금 바뀌었다고 얼핏 들었다.


#한누리

#한국외대 #대학자퇴 #자퇴이야기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