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 포핀스 SE : 45주년 기념판 (2DISC) - 아웃케이스 없음
딕 반 디크 외, 로버트 스티븐슨 / 월트디즈니 / 2009년 5월
평점 :
품절


메리 포핀스

Mary Poppins, 1964



  영화 〈메리 포핀스〉를 함께 보는 우리 집 일곱 살 아이가 묻는다. “아버지, 저 우산 쓴 아줌마 하늘을 날아요! 어떻게 하늘을 날지?” “어떻게 날까?” “음, 아, 하늘을 난다고 생각하면 하늘을 날아요.” “그래, 너도 마음속에 하늘을 난다는 생각을 품어.” 영화를 한참 보며 깔깔거리고 웃다가 아이들이 다시금 묻는다. “아버지, 저 아저씨는 우산 쓴 아줌마네 외삼촌이야?” “응.” “저 아저씨는 어떻게 웃으면서 천장에 있어?” “어떻게 저렇게 있을까?” “음. 웃으니까. 그러면, 나도 웃으면 저렇게 있을 수 있어?” “그럼.” 아이들은 또 영화에 흠뻑 빠져든다. 저녁을 제대로 안 먹어 배고플 텐데, 밥상에 차린 밥을 뜰 엄두를 못 낸다. 아니, 한 초라도 그림을 놓치고 싶지 않다. 쉬가 마려워도 움직이지 않는다. 메리 포핀스 아주머니하고 단짝이 되어 춤을 추고 노래를 부르는 아저씨가 공원 바닥에 그린 그림에 풍덩 뛰어들어 노는 모습을 보는데, 어느새 비가 와서 그림이 녹는다. 다시 아이가 묻는다. “아버지, 저 그림 어떻게 해? 다 지워지잖아.” “응, 괜찮아. 지워져도 돼. 일부러 공원 바닥에 그렸는걸.” “에이, 그래도.” “그림은 다시 그리면 되지.”


  악사이자 그림쟁이이자 춤꾼이자 노래꾼이자 굴뚝청소부이자 …… 연날리기 장수까지 온갖 일을 하는 아저씨는 길에서 아이들을 만난다. 이때 아이들한테 이야기를 한 자락 들려준다. 은행에서 일하는 너희(아이들) 아버지는 너무 바쁜 나머지 너희들을 사랑할 겨를을 못 내는데, 너희 곁에는 어머니도 유모도 메리 포핀스도 아저씨도 있지만 너희 아버지한테는 아무도 없이 혼자 외롭다고, 너희 아버지가 외롭고 힘들 적에는 어떻게 해야 하겠느냐고, 아무한테도 말을 못 하고 무척 외롭다고, 이런 아버지를 너희가 지켜야 한다고.


  코앞에 있으나 코앞을 보지 못하는 ‘뱅크스’는 이제껏 아주 평화롭고 즐겁게 삶을 누렸다고 여겼지만, 막바지에 이르러, 그러니까 스스로 쌓은 울타리가 하나도 평화롭지 않고 즐겁지 않으며 삶조차 아닌 줄 느낄 무렵, 비로소 아이들과 말을 섞을 수 있다. ‘수퍼칼리프래글리스틱엑스피알리도셔스’라는 낱말을 떠올린다. 그러고 나서 춤을 춘다. 이제부터 노래를 부를 수 있다. 아이들하고 눈을 맞추면서 마음을 나누는 어른, 어버이로 오롯이 설 수 있다.


  삶이란 무엇일까. 사회에서 만든 틀을 따르면서 톱니바퀴가 되어 돌아가면 삶인가. 사랑이란 무엇일까. 돈을 잘 벌고 커다란 집을 장만하면서 집일은 심부름꾼을 두어 시키면 사랑인가. 꿈이란 무엇일까. 돈을 더 키운다든지 여행을 다닌다든지 책이나 영화를 본다든지 뭐 그럴싸한 행사를 꾀하는 일이 꿈인가.


  아이들은 놀 때에 아이들이다. 어른들은 아이들과 함께 놀 때에 어른들이다. 아이들은 꿈을 꾸고 사랑하는 삶을 날마다 새롭게 맞이할 때에 아이들이다. 그러면 어른들은 무엇인가? 어른들은 어떤 넋이요 숨결인가? 4347.8.2.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영화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콘택트 - [할인행사]
로버트 저멕키스 감독, 조디 포스터 외 출연 / 워너브라더스 / 2007년 10월
평점 :
품절


만남 (콘택트)

Contact, 1997



  우리는 왜 살아갈까? 우리는 왜 새롭게 태어나서 아기가 되고 어린이가 되었다가 푸름이를 지나 젊은이가 되고는, 저마다 짝을 짓거나 짝을 안 지으면서 ‘어른’이 될까?


  지구별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은 지구별 사람을 뺀 사람들, 그러니까 다른 별 사람, 다시 말하자면 ‘외계인’이나 ‘우주인’을 언제부터 보았고, 언제부터 생각했으며, 언제부터 이야기했을까?


  영화 〈콘택트(Contact)〉를 보면서 생각한다. 미국에서는 ‘Contact’라는 영어를 써서 이름을 붙였을 테지만, 한국에서는 한국말로 영화이름을 달아야 하지 않았을까 궁금하다. 거꾸로 생각해 보면 그렇다. 한국 영화감독이 한국말로 지은 영화이름을 미국이나 영국에서 ‘한국말 그대로’ 쓸까?


  영화를 보는 내내 〈Contact〉라는 영화는 ‘만남’을 이야기한다고 느낀다. 맨 먼저, 아버지와 어머니가 만난다. 아버지와 어머니가 만나 아이를 낳고, 이 아이가 영화 주인공이다. 아이 어머니는 일찍 죽는다. 그 뒤 아이 아버지와 아이가 늘 한집에서 즐겁게 삶을 만나고 꿈을 만나면서 지낸다. 이러다가 아버지가 일찌감치 숨을 거둔다. 영화 주인공 아이가 아홉 살에 죽는다. 이에 앞서부터 영화 주인공 아이는 ‘죽은 어머니’를 ‘만날’ 수 있는 길을 늘 생각했는데, 아버지까지 일찍 죽은 뒤부터 ‘두 어버이를 만날’ 길을 생각한다. 이동안, 영화 주인공 아이는 다른 사람을 ‘만나’지 않는다. 만날 뜻이나 빛이나 까닭이 없다. 마음을 살리거나 밝히는 빛이 없는 다른 사람은 ‘만날’ 만한 일이 없다. 문득 한 사람, 마음을 건드리는 한 사람을 ‘마주치’는데, 이녁하고 ‘만날’ 만한 사이인지 아직 모르기에 그냥 지나친다.


  영화 주인공 아이는 어른이 된다. 그러면서 수많은 사람을 마주치거나 스치거나 만난다. 그리고, 드디어, 어릴 적부터 꿈꾸던 ‘다른 별 숨결’을 만난다. 그 뒤, 권력에 사로잡힌 사람을 만나고, 이름값을 드높이고 싶은 사람을 만나며, 거짓말로 사람들을 속이는 과학자(지식인)와 종교지도자를 만난다. 맨 마지막으로는 참말 코앞에서 ‘다른 별 숨결’을 만난다.


  영화는 처음부터 끝까지 한결같이 오직 한 가지를 묻고 이야기한다. ‘참’이란 무엇인가? ‘삶’이란 무엇인가? 그리고, ‘빛’이란 무엇인가? 영화 주인공은 빛덩어리를 지나면서 빛물결을 누린다. 이때에 영화 주인공은 스스로 과학자라는 허울을 벗어던지고 ‘시인’이 되려 한다. 삶을 밝히는 빛을 사랑할 때에는 과학자나 지식인이나 학자가 아닌 ‘시인’이 되어야 하는 줄 깨닫는다. 열여덟 시간 동안 아무것도 안 먹고 똥오줌도 누지 않으며, 그저 삶을 밝히는 빛을 사랑하는 흐름에 선 이녁 모습을 깨달으면서 다른 사람으로 거듭난다. 그러니, 이 영화는 ‘만남’을 노래하는 아름다운 이야기꾸러미라고 느낀다. 4347.7.29.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영화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입] Man From Earth (맨 프럼 어스) (한글무자막)(Blu-ray) (2007)
Starz / Anchor Bay / 2010년 2월
평점 :
품절


지구별 사람

The Man From Earth, 2007



  사람은 나이로 따질 수 없다. 나와 너 사이에 나이로 금을 그을 수 없다. 사람은 언제나 마음으로 만난다. 나이로 만날 수 있는 사람은 없다. 사람은 늘 마음을 나누면서 사랑을 꽃피운다. 마음이 있기에 사람이 된다. 마음이 있지 않다면, 겉모습은 사람이라 하더라도 사람답게 살지 못한다.


  나는 몇 살인가. 너는 몇 살인가. 나이를 따지려 한다면 어떤 나이를 따지고 싶은가. 나이를 따지려 한다면 나이를 따져서 무엇을 보거나 알고 싶은가.


  나이를 많이 먹었으나 마음이 깊지 않으면 철부지이다. 나이를 적게 먹었으나 마음이 깊으면 비로소 사람이다. 철부지를 두고 ‘사람’이라 말하지 않는다. 나이를 먹건 안 먹건 철이 들어야 비로소 ‘사람’이 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철들기’가 ‘사람 되기’란 뜻이고, ‘철’이란 ‘열린 마음’과 ‘트인 생각’이다. ‘참다운 슬기’가 바로 ‘철’이다.


  이 땅을 올바로 바라볼 수 있을 때에 철이 들었다고 말한다. 나와 너를 따사롭고 넉넉하게 사랑할 수 있을 때에 철이 든다고 말한다.


  영화 〈지구별 사람(The Man From Earth)〉을 본다. 제 나이를 모르는 서른다섯 살 사내가 주인공이다. 언제나 서른다섯 살 몸으로 살아간다는 주인공은 얼추 만사천 해쯤 살았다고 한다. 앞으로 만사천 해를 더 살는지 모르고, 갑작스레 죽음을 맞이할는지 모른다. 앞길은 알 수 없다. 다만, 앞길은 모르더라도 지나온 길은 안다. 앞길을 모르니까 앞으로도 살아갈 수 있고, 지나온 길을 아니까 앞으로 살아갈 길을 생각할 수 있다.


  역사나 과학이나 문화나 종교나 철학이란 무엇일까. 이런 것들은 왜 있어야 할까. 우리한테는 무엇이 있어야 하는가? 학교가 있어야 하나? 도시나 문명이나 돈이 있어야 하나? 아니다. 어느 것도 부질없다. 우리한테는 언제나 꼭 한 가지만 쓸모가 있다. 바로 ‘삶’이다. 삶 앞에서 어느 것도 뜻이나 값이 있을 수 없다. 삶이 없이 1조나 100조와 같은 돈이 주머니에 있다 한들 무슨 뜻이 있을까. 삶(살 날)이 고작 한 해밖에 안 남은 재벌한테 1000조 같은 돈이 얼마나 대수로울까. 삶이 열 해쯤 남은 학자나 지식인한테 책이란 얼마나 대수로울까.


  사람이 사람다우려면 삶을 삶답게 바라보면서 가꿀 수 있어야 한다. 사람이 사람다운 길을 걸으면서 환하게 빛나려면, 삶을 삶답게 마주하면서 사랑할 수 있어야 한다. 사랑이 없으면 하루도 살지 못한다. 마음을 열어 사랑이라는 씨앗을 심기에, 지구별 사람은 오늘도 새롭게 아침을 맞이해서 씩씩하고 즐겁게 노래를 부를 수 있다. 4347.7.27.해.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영화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반딧불이 통신 - 지상의 별, 반딧불이 이야기
한영식 글, 홍승우 그림 / 사이언스북스 / 200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개하려는 영화는 디브이디가 한국에 없고,
일본 디브이디는 검색이 안 될 뿐더러
다른 자료도 검색을 할 수 없기에,
반딧불이 삶과 이야기를 잘 들려준다고 보이는 책에
이 영화 이야기를 걸칩니다.
널리 헤아려 주시기를 바랍니다.






반딧불의 별
ほたるの星 : Fireflies: River Of Light, 2003


  우리는 모두 이웃이면서 동무이다. 마땅하지 않은가? 우리는 모두 한식구이자 한몸이다. 마땅한 일 아닌가? 너와 남이라는 낱말을 쓰지만, 우리는 늘 하나이다. 너와 남으로 나뉜 한몸이 아니라, 다 같은 숨결이면서 다 다르게 빛나는 노래이다.

  영화 〈반딧불의 별〉은 지구별에서 서로 빛나는 사람들 이야기를 보여준다. 그런데, 막상 이 영화 속내까지 파고들어 살피면, ‘사람’ 이야기가 아니다. 무엇보다, 영화에서 주인공으로 나오는 ‘외로운 아이(3학년, 열 살)’와 ‘외로운 아이를 바라보는 교사(이녁 또한 어릴 적에 외롭게 자라야 했다)’는 지구별 목숨이 아니라고 한다. 두 사람은 오늘 이곳에서 사람 모습을 하지만, 정작 두 사람은 ‘반딧불나라 한식구’라고 한다. 반딧불나라에 큰 싸움이 생기는 바람에, 반딧불나라 어머니는 아이(지구별에서 외롭게 살아가는 아이)를 사람이 되도록 했고, 혼자 보낼 수 없어 아버지(교사 노릇을 하는 어른)를 함께 보냈다고 한다.

  생각해 보면, 우리들은 오늘 이곳에서 겉으로는 사람 모습이지만, 속내로는 다른 숨결이자 다른 님일 수 있다. 아니, 다른 숨결이자 다른 님일 테지. 다른 별에서 지구별에 왔다고 할 만하고, 이 지구별에서 서로 툭탁거리기도 하고 부딪히기도 하지만 사랑을 속삭이면서 삶을 밝게 빛내려는 뜻으로 어우러지는 한몸이지 싶다.

  반딧불, 그러니까 개똥벌레는 춤을 춘다. 저마다 따로따로 떨어져 혼자 춤을 추기도 하지만, 다 함께 모여 새로운 빛을 이루는 모습이 되어 춤을 추기도 한다. 우리 몸은 작은 숨결 하나가 바뀐 모습일 수 있지만, 수많은 숨결이 하나로 모인 모습일 수 있다.

  참다운 삶이란 무엇일까. 참다운 사랑이란 무엇일까. 참다운 빛과 노래란 무엇일까. 오늘날 지구별 사람들은 왜 경제개발을 해야 하는가? 오늘날 지구별 사람들은 왜 전쟁무기를 만들어 평화를 지키겠다고 설레발을 쳐야 하는가? 오늘날 지구별 사람들은 왜 돈과 슬기와 힘과 사랑을 함께 나누는 아름다운 꿈으로 나아가지 못하는가?

  별(지구별)에서 살아가는 별(나)은 스스로 빛난다. 별에서 살아가는 별이기에 다 같이 빛난다. 4347.7.25.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영화읽기)

[유투브에서 영화 볼 수 있는 곳] 영어 자막이 있다
http://www.youtube.com/watch?v=S9JVTZczjBI&list=PL02868A3F9634E28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블루레이] 천하장사 마돈나 : 초회 한정판
CJ 엔터테인먼트 / 2013년 2월
평점 :
품절


천하장사 마돈나

2006



  영화 〈천하장사 마돈나〉를 2008년 무렵에 보았다. 처음에는 시큰둥하게 여겨서 극장에서 안 보았다. 뒤늦게 디브이디로 이 영화를 보면서 깜짝 놀랐다. 나는 인천에서 나고 자라다가 1995년부터 인천을 떠났고, 2007년에 비로소 다시 돌아왔다. 이러다가 2010년 가을에 다시 인천을 떠나 시골에서 지내는데, 2008년은 한창 인천 골목동네를 돌아다니던 무렵이다. 어릴 적에는 그리 눈여겨보지 않았으나 어른이 되어 새롭게 돌아보는 고향 골목이라고 할까.


  영화 〈천하장사 마돈나〉는 ‘사내로 태어났으나 가시내로 살고 싶은 아이’가 나온다. 그런데, 이 아이가 지내는 골목동네라든지, 이 아이가 운동부 연습을 하며 달리는 동네라든지, 이 아이가 머리를 움켜쥐면서 달음박질을 치다가 주저앉는 동인천 한복판이라든지, 하나같이 애틋하면서 아련한 빛이 흘렀다. 영화 줄거리는 줄거리대로 아기자기하게 잘 짰구나 싶은 한편, 영화를 이루는 온갖 무대와 모습은 더할 나위 없이 잘 살리면서 보여준다고 느꼈다. 아버지와 아이가 한판 붙은 그 골목 한켠은 얼마나 사랑스러운가.


  영화를 볼 적에 누군가는 줄거리를 따진다. 누군가는 연기 솜씨를 따진다. 누군가는 웃음이나 눈물을 따진다. 누군가는 아름다운 그림을 따진다. 나는 여기에 한 가지를 더 따질 수 있다고 깨달았다. 바로 ‘영화를 찍은 무대가 내 고향’이라고 한다면, ‘내 고향을 영화가 어떻게 바라보고 마주하면서 담아내느냐’ 하는 몸짓과 눈썰미를 따질 수 있구나 싶다.


  인천사람한테 〈천하장사 마돈나〉는 오래도록 마음에 남을 만한 작품이라고 느낀다. 다른 고장에서 나고 자란 사람한테는 그 다른 고장을 잘 그리거나 나타낸 애틋한 작품을 헤아릴 수 있으리라 느낀다. 이를테면, 〈집으로〉 같은 영화도 어느 시골마을 삶터를 애틋하게 잘 나타낸다고 느낀다. 영화는 영화대로 아름답고, 영화로 찍은 무대도 무대대로 아름답다고 할까. 인천을 잘 모른다거나 인천을 알고 싶다는 이웃이 있으면, 나는 서슴지 않고 〈천하장사 마돈나〉를 꼽는다. 잘 헤아려 보면, ‘사내로 태어났으나 가시내로 살고 싶은 아이’ 모습이란 바로 ‘인천이라는 도시가 오늘날 놓인 모습’하고 꼭 닮았다. 4347.7.18.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영화읽기)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appletreeje 2014-07-19 09:58   좋아요 0 | URL
저도 이 영화를 즐겁게 보았어요~
이야기의 얼거리도 재미있었지만 저는
류덕환,이라는 배우를 인상깊게 만나게 된 영화였어요.^^

숲노래 2014-07-19 10:47   좋아요 0 | URL
영화에 나오는 배역들 연기도 좋았고
여러모로 마음에 많이 남은 영화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