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빛

책하루, 책과 사귀다 39 치마돌이



  치마를 두르고서 돌아다니면 으레 할머니나 아줌마가 뒤에서 수군거립니다. “남자가 치마를 입었네?” 수군거리는 할머니나 아줌마한테 다가가 그분들 눈높이로 몸을 숙이고 눈을 똑바로 보면서 한마디 여쭙니다. “여자가 바지를 입었네?” “바지를 두르며 살아갈 수 있는 순이”는 어느새 “치마를 벗고 바지를 꿸 수 있는 길”에 이르기까지 얼마나 가시밭길을 걸었는가를 잊은 듯합니다. 때로는 치마를 두르고 때로는 바지를 두르며 살아갈 길을 열기까지 얼마나 힘들었는가를 까맣게 잊었구나 싶어요. 바지돌이 아닌 치마돌이로 살며 이 대목을 새록새록 느낍니다. 제가 “치마돌이로서 받는 눈길”은 “바지순이를 처음 걷던 이웃이 받은 눈길”보다 크면 컸지 안 작았으리라 여깁니다. 돌이도 순이처럼 스스로 바라는 때나 자리에 맞게 바지나 치마를 마음껏 입으면 됩니다. 순이라서 머리카락을 길러야 하지 않고, 돌이라서 머리카락을 짧게 쳐야 하지 않습니다. 즐겁게 지을 살림을 생각하고, 기쁘게 가꿀 하루를 그리고, 사랑으로 여밀 노래를 부르면 돼요. 남이 많이 읽기에 따라서 읽을 책이 아닙니다. 꾼(전문가)이 풀이한 대로 읽을 책도 아닙니다. 우리 삶걸음대로 마주하고 누리고 사랑하면서 한 손에 얹는 푸른노래인 책입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책하루, 책과 사귀다 38 마리아 지빌라 메리안



  2004년에 ‘마리아 지빌라 메리안(Maria Sibylla Merian)’ 님 책 가운데 하나(Das Insektenbuch)를 추린 《곤충·책》이 우리말로 처음 나옵니다. 한 해 앞서 이녁을 다룬 《나는 꽃과 나비를 그린다》가 우리말로 나오나 쉬 판이 끊어집니다. 2011년에 이녁을 다룬 그림책 《곤충화가 마리아 메리안》이, 2021년에 《나비를 그리는 소녀》가 나오는군요. 이제서야 읽히나 싶지만, 아직 제대로 읽히기는 멀었지 싶습니다. 이이는 “꽃과 나비를 그렸다”기보다 “풀벌레와 풀꽃밭을 사랑하며 그렸다”고 해야지 싶어요. 둘레에서 “돈이 될 그림만 겉멋을 부려 그리던 무렵”에 “풀벌레하고 풀꽃나무를 사랑으로 지켜보고 그림으로 옮겨서 널리 알리려고 온품과 온돈을 바쳤다”고 보아야지 싶고요. 풀벌레하고 풀꽃이 어떤 사이인가를 읽고, 풀꽃나무하고 사람하고 숲이 어떻게 얽히는가를 차분히 밝히고 글을 함께 썼구나 싶어요. 우리가 짓는 하루를 글그림으로 옮기면서 우리가 나눌 사랑을 붓끝으로 펴며 우리가 가꿀 생각을 북돋았다고 느껴요. ‘곤충학자·화가’도 ‘여성 곤충학자·화가’도 아닌 ‘숲사람’으로서 이 푸른별이 참말로 푸른숲이 되기를 꿈꾸는 사랑을 한 땀씩 여미었다고, 오직 푸른사랑으로 스스로 숲이었다고 생각합니다.


ㅅㄴㄹ


* 마리아 지빌라 메리안 (1647∼1717) *

동판화가이자 역사가이자 지리학자이자 서지학자로 이름을 날린 ‘마테우스 메리안’이 낳은 딸. 그렇지만 ‘마테우스 메리안’ 빛살(후광)은 집안사람한테 조금도 퍼지지 못했다. ‘마리아 지빌라 메리안’을 낳은 어머니는 ‘마테우스 메리안이 나중에 얻은 가시내’였고, 아버지라는 사람이 죽자 그 집안에서 쫓겨났기 때문에. 보잘것없는 자리(신분)에 하잘것없는 살림에 아무것도 없는 몸으로 스스로 모든 삶을 일군 ‘마리아 지빌라 메리안’. 독일 마르크돈 500마르크짜리에 얼굴을 새기기도 한 ‘마리아 지빌라 메리안’. 이이가 조그마한 벌레 삶을 헤아리며 그림으로 남기던 때에는, “애벌레나 구더기들이 더러운 쓰레기에서 생겨난 악마”라고 여겼다지. 마녀로 도장찍혀 죽을 수 있었고, ‘마리아 지빌라 메리안’이 오랜 삶길과 지켜보기로 빚어낸 책과 그림을 놓고 ‘거짓말’이라고 깎아내리는 터무니없는 말을 들으면서 쓴맛을 견디어내야 했다. 그러나 언제나 즐겁고 꿋꿋하며 사랑스레 온누리 벌레붙이를 사랑했고, 글하고 그림으로 벌레살이를 아로새겼다. 어마어마하다 싶은 가시밭길을 온몸으로 기꺼이 맞아들이면서 일흔 해를 살았다. (숲노래 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빛

책하루, 책과 사귀다 37 졸업장



  우리 아버지는 어린배움터(초등학교) 버금어른(교감 선생님)으로 일할 무렵부터 교육대학교 밤배움(야간학부)을 다니며 ‘열린배움터 마침종이(대학교 졸업장)’를 따냅니다. 이윽고 교육대학원까지 다니며 마침종이를 더 땁니다. 아버지는 으뜸(수석)으로 마치시던데, 여든 살에 접어든 오늘 돌아보면 마침종이는 무슨 뜻일까요? 마침종이를 얻기에 어린이를 더 헤아리거나 사랑할까요, 아니면 마침종이가 없더라도 어린이를 헤아리거나 사랑하는 마음을 키울 만할까요? 마침종이가 없이 즐겁게 살아가는 사람은 ‘글님 배움자취’를 안 따집니다. 남들이 많이 보는 책이 아닌, 스스로 마음으로 헤아리는 책을 만납니다. 얼굴을 안 꾸미고, 꽃가루(화장품)를 안 바르고, 옷차림을 안 따지고, 두 다리로 걷는 사람도, 널리 알려진 책을 굳이 안 건드려요. 속살이 아름다운 책에 흐르는 사랑을 살펴서 하루를 노래합니다. 지난날 헌책집지기는 거의 다 배움끈(학력)이 없거나 얕았지만, 책사랑 하나만큼은 으뜸이었어요. 오늘날 책집지기 가운데 열린배움터(대학교)를 안 다니고 홀가분히 ‘고졸·중졸·무학’인 분은 몇 안 됩니다. ‘마침종이나라(학벌사회)’를 부드러이 녹여 아름나라·사랑나라로 가려면 삶자리부터 어떻게 가다듬으면 좋을까요.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책하루, 책과 사귀다 36 마음에 닿는



  제가 쓴 글을 이웃님이 읽고서 마음에 닿는 대목이 있다면, 이웃님이 여태 살아오면서 미처 글로 옮긴 적은 없으나 삶을 바라보는 눈썰미가 깊다는 뜻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웃님이 쓴 글을 읽고서 제 마음에 닿는 대목이 있다면, 제가 이제까지 살면서 아직 글로 옮기지 않았으나 살림을 헤아리는 눈빛을 이모저모 가꾸었다는 뜻이라고 여깁니다. 마음이 닿는다면 삶이며 살림이 닿아서 사랑으로 흐를 만하지 싶습니다. 훌륭한 글이기에 마음이 닿지 않아요. 아름다운 글이기에 마음에 스미지 않아요. 안 훌륭한 책이나 안 아름다운 책이란 따로 없어요. 어느 책이나 글이든, 어느 대목이나 줄거리를 문득 스치면서 우리 마음자리에 톡 하고 씨앗을 떨구는구나 하고 느낄 뿐입니다. 우리는 스스로 삶자리에서 살림꽃을 지피려고 글을 씁니다. 우리가 지피려는 살림꽃을 새삼스레 들여다보면서 한결 깊이 돌아보려고 이웃님 글을 읽습니다. 먹는 대로 피와 살이 되지 않아요. 마음을 쓰는 대로 피와 살이 됩니다. 읽는 대로 머리에 들어오지 않아요. 마음을 기울여 바라보는 대로 머리에 들어오고 살갗으로 녹아들어 새롭게 생각을 일으키는 조그마한 씨앗 한 톨로 깃듭니다. 마음에 담고픈 씨앗을 살피며 글을 고르고, 쓰고, 읽고, 가다듬습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책하루, 책과 사귀다 35 책읽기



  남보다 일찍 하거나 빨리 해야 하는지 아리송합니다. 남하고 견줄 뜻이라면 처음부터 안 하고 싶습니다. 아니, 처음부터 딴길로 갑니다. 남하고 견줄 길이 없는 살림을 지을 생각입니다. 남하고 견주어야 할 까닭이 없는 사랑을 할 마음입니다. 누가 아름답게 하는 일이 있으면 기꺼이 배우면서 함께합니다. 누가 사랑으로 펴는 삶이 있으면 넉넉히 맞이하면서 같이해요. 둘레에서 다들 삐삐를 쓸 적에 저는 느즈막까지 안 썼는데, 제가 삐삐를 겨우 쓸 무렵 둘레에서는 다들 손전화를 써요. 손전화 없이 살자니 일터에서 외려 성가시다며 손전화를 사준 적이 있습니다. 2001년이지요. 제가 즐기는 ‘맨발로 풀밭에서 놀기’나 ‘맨발로 숲이며 멧골을 타기’는 먼먼 옛날 누구나 하던 살림입니다. 풀벌레나 풀꽃나무 마음을 읽고 이야기하기도 아스라한 옛날 누구나 하던 놀이입니다. 남이 읽으니 내가 읽어야 하지 않아요. 아름답게 피어나고 사랑으로 거듭나는 이웃을 본다면, 그이가 쥔 책을 저도 함께 읽을 뿐입니다. 저 스스로 아름답게 말하고 사랑으로 삶을 짓는 길동무가 되는 책이라면 스스럼없이 이웃이며 동무한테 건넬 뿐이고요. 책읽기란 삶을 짓는 길을 읽는 노래입니다. 책나눔이란 살림을 사랑하는 숲을 이야기하는 놀이입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