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실천 實踐
결심을 실천에 옮겼다 → 다짐을 몸으로 옮겼다
주저 말고 실천에 옮겨야 → 망설이지 말고 해야
실천되지 않은 사항 → 하지 않은 일 / 펴지 않은 일
이 계획이 실천되려면 많은 노력이 따라야 할 것이다 → 이 일을 하려면 땀흘려야 한다
민주화를 실천해 나가다 → 들꽃길을 펼쳐 나가다
신념을 실천하기 위해서 노력했다 → 믿음을 펴려고 애쓰다
‘실천(實踐)’은 “1. 생각한 바를 실제로 행함 2. [철학] 인간의 윤리적 행위 3. [철학] 자연이나 사회를 변혁하는 의식적이고 계획적인 모든 활동”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곧바로·곧장·막바로·바로’나 ‘바로나서다·바로하다’나 ‘나서다·밝히다·보이다’로 다듬습니다. ‘냉큼·닁큼·대뜸’이나 ‘대들다·대척·댓바람·이웃맞이’나 ‘두말없다·들이밀다·들이받다·소매걷다·팔걷다’로 다듬어요. ‘마주받다·마주서다·마주하다·맞받다·맞서다’나 ‘매무새·뿌린씨·수고·안간힘·애쓰다·힘쓰다’로 다듬을 만하고, ‘땀·땀방울·땀꽃·땀구슬·땀빛·땀노래’나 ‘땀값·땀흘리다·피나다·피눈물·피땀·구슬땀’으로 다듬지요. ‘맨앞·맨 먼저·맨 처음’이나 ‘몸·몸소·몸으로·몸짓·몸지음·몸새’로 다듬고, ‘스스로·온몸·온힘·있는 힘껏’이나 ‘살다·삶·살아가다·살아내다·일·일하다’로 다듬어도 어울려요. ‘마루·미르·처음·첨·첫자리·첫자락·첫째’나 ‘꼭두·꽃등·꽃찌’로 다듬지요. ‘앞·앞꽃·앞에서·앞에 있다’나 ‘앞길·앞목·앞줄·앞장·앞장서다’로 다듬고요. ‘지키다·지켜내다·펴다·펴내다·펼치다·옮기다’나 ‘뛰어들다·풍덩·하다·해내다·해오다·해두다·해보다’로 다듬을 만합니다.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실천(實薦)’을 “[역사] 조선 시대에, 승정원의 주서(注書)를 천거하던 일”로 풀이하며 싣지만 털어냅니다. ㅍㄹㄴ
결단은 실천상의 문제에 속한다
→ 마음은 하느냐와 얽힌다
→ 뜻은 하는 길이 된다
→ 다짐은 몸으로 이어간다
《원자탄과 인류의 미래 : 상》(칼 야스퍼스/김종호 옮김, 사상사, 1963) 10쪽
우리가 건강과 장수를 위해 실천에 옮긴 몇몇 지침을 소개합니다
→ 우리는 튼튼히 오래 살려고 이렇게 몇 가지를 합니다
《아름다운 삶, 사랑 그리고 마무리》(헬렌 니어링/이석태 옮김, 보리, 1997) 184쪽
생활환경 실천교육에 집중하고 있다
→ 삶에서 할 일에 마음을 쏟는다
→ 삶자리에서 펴도록 힘을 쏟는다
《한국의 여성환경운동》(문순홍, 아르케, 2001) 59쪽
말보다는 실천이지
→ 말보다는 해봐야지
→ 말보다는 몸이지
《아타고올은 고양이의 숲 7》(마스무라 히로시/이은숙 옮김, 대원씨아이, 2004) 13쪽
공부하여 깨달은 것은 꼭 실천하여 살아야 한다는 믿음을 스스로 지키고
→ 배워서 깨달으면 꼭 몸소 옮겨야 한다는 믿음을 스스로 지키고
《도산서원》(라현선·제소라, 초방책빵, 2004) 3쪽
아끼고 덜 쓰기로 작정하고 가능한 한 실천하려고 애쓰는 이유는
→ 아끼고 덜 쓰기로 하는데
→ 되도록 아끼고 덜 쓰기로 마음먹으며 애쓰는데
→ 그저 아끼고 덜 쓰기로 하며 애쓰는 까닭은
→ 거의 아끼고 덜 쓰자고 생각하며 애쓰는 뜻은
《바람이 흙이 가르쳐 주네》(박효신, 여성신문사, 2007) 79쪽
조직에서 자기희생이 얼마나 필요한지를 몸소 실천한
→ 모임에 불사르기가 얼마나 값진지를 몸소 보여준
→ 모둠에 몸바치기가 얼마나 뜻깊은지를 몸소 밝힌
《김성근이다》(김성근, 다산라이프, 2011) 132쪽
절에 다녀도 몸으로 실천을 못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 절에 다녀도 몸으로 못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 절에 다녀도 몸소 못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 절에 다녀도 못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공덕을 꽃 피우다》(광우, 스토리닷, 2017) 54쪽
그러다 보니 논쟁 그 자체가 실천이 되고 마는, 다시 말해서 실천적 성과는 없어지게 되는 것이지요
→ 그러다 보니 말다툼이야말로 그대로 하고 마는, 다시 말해서 제대로 하는 일은 없어지지요
→ 그러다 보니 말싸움만 그때그때 펴고 마는, 다시 말해서 발벗고 나서는 일은 없어지지요
《냇물아 흘러흘러 어디로 가니》(신영복, 돌베개, 2017) 369쪽
매일의 시간을 작은 실천으로 채우면
→ 날마다 작은 일을 하면
→ 하루하루 조금씩 해보면
→ 나날이 작게 움직여 보면
《저절로 아빠가 되는 것은 아니다》(안성진, 타래, 2017) 64쪽
노선이라고 해서 무슨 거창한 각오나 실천이 수반되는 건 아니었다
→ 길이라고 해서 무슨 대단한 다짐으로 뭘 해야 하지는 않는다
→ 갈피라고 해서 무슨 놀라운 뜻으로 뭘 펼쳐야 하지는 않는다
《페미니스트도 결혼하나요?》(부너미, 민들레, 2019) 33쪽
어떻게 실천할 것인지에 대한 나의 다짐을 적어 봅시다
→ 나는 어떻게 하려는지를 적어 봅시다
→ 나는 어떻게 다짐하며 해보려는지 적어 봅시다
《공부는 정의로 나아가는 문이다》(인디고 서원 엮음, 궁리, 2020) 101쪽
비건을 선택하고 실천하는 사람들은 많은 상황에서 까다로운 느낌을 주기도 합니다
→ 풀밥을 먹으며 살아가는 사람들은 이래저래 까다로워 보이기도 합니다
《10대와 통하는 채식 이야기》(이유미, 철수와영희, 2021) 101쪽
제로 웨이스트zero waste를 실천하는 삶
→ 푸르게 살아가기
→ 푸른삶
→ 온살림
→ 쓰레기 없애는 삶
《햇빛은 찬란하고 인생은 귀하니까요》(장명숙, 김영사, 2021) 112쪽
《논어》의 한 구절 화이부동和而不同을 구체적인 실천방안으로 제시했다
→ 《논어》 한 자락 ‘틈새두기’를 펼치자고 말한다
→ 《논어》에 나오듯 ‘알맞은 틈’이 되자고 밝힌다
《생태적 전환, 슬기로운 지구 생활을 위하여》(최재천, 김영사, 2021) 15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