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160 : 냄비 것 준비



커다란 냄비 (뚜껑이 잘 닫히는 것으로 준비)

→ 커다란 솥 (뚜껑이 잘 닫혀야 한다)

→ 커다란 단지 (뚜껑이 잘 닫혀야 함)

《알사탕 제조법》(백희나, 스토리보울, 2024) 3쪽



‘냄비’는 일본말입니다. ‘なべ’라는 일본말이 소리가 조금 바뀌어 스몄을 뿐입니다. 우리는 예부터 ‘솥’으로 크고작은 살림을 가리켰고, 이웃나라 살림이 들어올 적에 ‘단지’라는 낱말로 옮기기도 했습니다. 아궁이에서 불을 지펴도 솥이고, 돼지코에 꽂아서 써도 ‘솥’입니다. ‘준비’도 일본말입니다. ‘챙기다·차리다’나 ‘갖추다·마련’으로도 풀고, 아예 털기도 하고, ‘하다’로도 풉니다. ㅅㄴㄹ



냄비(なべ) : 음식을 끓이거나 삶는 데 쓰는 용구의 하나. 보통 솥보다는 운두가 낮고 뚜껑과 손잡이가 있다 ≒ 남와

なべ(鍋) : 1. 냄비 2. ‘鍋料理’의 준말, 냄비 요리(= 鍋物) 3. 하녀를 일컫는 말. (= おなべ)

준비(準備) : 미리 마련하여 갖춤

じゅんび(準備) : 준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161 : 절대 무리 것



절대로 무리하지 말 것

→ 너무 힘쓰지 말자

→ 억지로 하지 말자

《알사탕 제조법》(백희나, 스토리보울, 2024) 6쪽



무늬는 한글이되 일본말인 ‘절대’하고 ‘무리’입니다. 적잖은 분들은 이 일본말을 아무렇지 않게 쓰지만, 이제는 말끔히 털어내기를 바랍니다. 다만 억지로 털어내려고 하면 오히려 힘듭니다. 우리가 어떤 말씨로 이 삶과 살림을 그렸는지 가만히 헤아리면서 다독이면 어느새 털어냅니다. 말끝을 “(무엇)할 것”으로 맺는 결도 일본말씨예요. 우리말씨로는 ‘마시오’나 ‘말자’나 ‘맙시다’처럼 맺습니다. ㅅㄴㄹ



절대(絶對) : 1. 아무런 조건이나 제약이 붙지 아니함 2. 비교되거나 맞설 만한 것이 없음 3. 어떤 대상과 비교하지 아니하고 그 자체만으로 존재함 4. [철학] = 절대자 5. = 절대로

ぜったい(絶對) : 1. 절대 2. 비교·대립의 대상이 없는 것 3. 무조건, 무슨 일이 있어도, 제한이 없는 것 4. 절대자 5. 결코 6. 단연코, 반드시, 꼭

무리(無理) : 도리나 이치에 맞지 않거나 정도에서 지나치게 벗어남

むり(無理) : 1. 무리 2. 도리가 아님, 이유가 없음 3. 억지, 강제 4. 곤란 5. 무릅쓰고 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162 : 가지고 있는 중 편안


가지고 있는 잠옷 중, 가장 편안한 옷을 입는다

→ 가장 헐렁한 잠옷을 입는다

→ 가장 느슨한 잠옷을 입는다

《알사탕 제조법》(백희나, 스토리보울, 2024) 20쪽



“가지고 있는”하고 “잠옷 중 편안한 옷을 입는다”는 옮김말씨이면서 일본말씨입니다. 우리말씨를 잊으면 군더더기를 자꾸 붙이느라 늘어집니다. 입기에 가장 나은 잠옷이라면, 가장 헐렁하거나 느슨하겠지요. ㅅㄴㄹ



중(中) : [의존명사] 1. 여럿의 가운데 2. 무엇을 하는 동안 3. 어떤 상태에 있는 동안 4. 어떤 시간의 한계를 넘지 않는 동안 5. 안이나 속

편안(便安) : 편하고 걱정 없이 좋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영어] 요가yoga



요가(yoga) : 고대 인도에서부터 전하여 오는 심신 단련법의 하나. 자세와 호흡을 가다듬는 훈련과 명상을 통하여 초자연적인 능력을 개발하고 물질의 속박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오늘날에는 건강 증진, 미용 따위를 목적으로 한다

yoga : 1. (인도 심신 단련법의 하나인) 요가 2. (현대 운동 형태로서의) 요가

ヨガ(범어 yoga) : 요가



산스크리트말이라고 하는 ‘yoga’를 하는 모습을 보면, 몸으로 꽃을 피운다고 여길 만합니다. 이러한 몸짓은 ‘몸꽃·한꽃’으로 담아낼 수 있습니다. 하늘을 담은 하나된 몸짓이라는 뜻으로 ‘한몸짓·한몸꽃’이나 ‘한짓·한꽃짓’이라 해도 어울립니다. 살리는 몸짓이니 ‘살림몸짓·살림몸·살림짓’이라 할 만하고, 수수하게 ‘몸풀기·몸풀이’라 할 수 있어요. ㅅㄴㄹ



요가를 연습하는 사람이 끊임없이 지켜야 할 중요한 마음의 상태가 몇 가지 있다

→ 몸을 푸는 사람이 끊임없이 지켜야 할 마음길이 몇 가지 있다

→ 살림몸짓을 익히며 끊임없이 지켜야 할 마음빛이 몇 가지 있다

《문숙의 자연 치유》(문숙, 샨티, 2015) 120쪽


요가는 몸동작 그 이상의 것이다

→ 한몸꽃은 몸짓 너머이다

→ 몸꽃은 몸놀림 너머에 있다

《요가, 하늘가에서》(다나 레이몽 카펠리앙·마틴 프로스트 요가, 눈빛, 2015) 6쪽


진정한 요가를 익히기 위해서다

→ 참답게 살림몸을 익히려 한다

→ 참다이 한몸짓을 익힐 생각이다

《시끌별 녀석들 3》(타카하시 루미코/이승원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2) 237쪽


단, 이 책에 실린 요가 동작을 매일매일 수련해야 한다

→ 다만, 이 책에 실은 한몸짓을 날마다 갈닦아야 한다

→ 그리고, 이 책에 실은 몸꽃을 늘 가다듬어야 한다

《알사탕 제조법》(백희나, 스토리보울, 2024) 4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150 : -에서의 생활 통해 것 그것 행위 관념 구체적 것들 물질성 육체성 가진 것들 이루어졌다 사실



이곳에서의 생활을 통해 내가 배운 것이 있다면 그것은 산다는 행위가 관념이 아니라 좀더 구체적인 것들, 물질성이랄지 육체성을 가진 것들로 이루어졌다는 사실이다

→ 이곳에서 살며 우리 하루란 몸을 써서 하나씩 해야 한다고 배웠다

→ 이곳에서 사는 동안 늘 온몸으로 다 해야 하는 줄 배웠다

《아주 오랜만에 행복하다는 느낌》(백수린, 창비, 2022) 13쪽



보기글을 쓴 분은 ‘살며’ 무언가 배웠다고 하는데, “흐릿하거나 붕 뜨는구나 싶은 마음”이 아닌 “몸으로 움직이는 일”을 해야 하는 줄 배웠다지요. 그러나 정작 글은 몸을 쓰는 글이 아닌, 머리로 꾸민 겉치레입니다. 골목에 쌓인 눈을 비질을 하고 나서 이 보기글을 썼다는군요. 이곳에서 사는 동안 어떤 하루였는지 뼛속 깊이 다시 살피기를 바라요. 늘 무엇을 하는지 돌아보고서 꾸밈없이 쓰면 됩니다. 하루를 어떻게 몸을 쓰면서 누리는지 헤아리고서 그대로 쓰면 되어요. ㅅㄴㄹ



생활(生活) : 1. 사람이나 동물이 일정한 환경에서 활동하며 살아감 2. 생계나 살림을 꾸려 나감 3. 조직체에서 그 구성원으로 활동함 4. 어떤 행위를 하며 살아감. 또는 그런 상태

통하다(通-) : 13. 일정한 공간이나 기간에 걸치다 14. 어떤 과정이나 경험을 거치다 15. 어떤 관계를 맺다

행위(行爲) : 1. 사람이 의지를 가지고 하는 짓

관념(觀念) : 1. 어떤 일에 대한 견해나 생각 2. 현실에 의하지 않는 추상적이고 공상적인 생각

구체적(具體的) : 1. 사물이 직접 경험하거나 지각할 수 있도록 일정한 형태와 성질을 갖추고 있는 2. 실제적이고 세밀한 부분까지 담고 있는

물질(物質) : 1. 물체의 본바탕 2. ‘재물’을 달리 이르는 말 3. [물리] 자연계의 구성 요소의 하나 4. [철학] 감각의 원천이 되는 것

육체(肉體) : 구체적인 물체로서 사람의 몸 ≒ 육·육신

-성(性) : ‘성질’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