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역할役割


 역할 분담 → 할 일 나누기 / 몫 나누기 / 맡은 일 함께하기

 중대한 역할을 한다 → 크나큰 노릇을 한다 / 큰일을 한다

 자신의 역할에 충실하다 → 제 할 일을 잘하다 / 제몫을 다하다

 비서의 역할까지 수행한다 → 비서 노릇까지 한다 / 비서 일까지 한다


  한자말 ‘역할(役割)’은 “(1) 자기가 마땅히 하여야 할 맡은 바 직책이나 임무. ‘구실’, ‘소임’, ‘할 일’로 순화 (2) 역(役)”, 이렇게 두 가지 뜻으로 씁니다. 그런데 이 한자말은 ‘일본 한자말’이기에 다른 낱말로 바로잡아야 한다고 이야기해요. 신문이나 방송에서도 자주 이런 이야기를 들려주는데, 막상 ‘역할’이라는 일본 한자말은 수그러들지 않습니다. 교과서에도, 문학책에도, 신문글에도 이 한자말은 자꾸자꾸 나타납니다.


  한국말사전을 보면 “각자 맡은 바 역할을 다하다” 같은 보기글이 나옵니다. 이 글월은 “저마다 맡은 몫을 다하다”나 “모두들 맡은 일을 다하다”로 손질할 수 있습니다. “부장의 역할을 대신할 사람” 같은 보기글은 “부장이 하는 일을 맡아 할 사람”이나 “부장 일을 맡아 줄 사람”으로 손질할 수 있어요.


  일본 한자말이기 때문에 고쳐써야 하지 않습니다. 먼먼 옛날부터 우리들이 넉넉히 쓰던 말이 있으니, 오늘날에도 이 말을 즐겁게 쓰면 됩니다. 쉬우면서 아름답고 사랑스럽게 한국말을 가다듬고 아낄 수 있으면 됩니다. 4348.10.26.달.ㅅㄴㄹ



선생님의 역할이 참으로 크다

→ 선생님 몫이 참으로 크다

→ 선생님 자리가 참으로 크다

→ 선생님이 할 일이 참으로 많다

→ 선생님이 큰일을 맡는다

→ 선생님이 큰일을 해야 한다

→ 선생님이 큰일을 하는 자리에 있다

《정창교-마이너리티의 희망노래》(한울림,2004) 97쪽


여자 친구 노릇은 힘든 역할일 거라는 예감이 든다

→ 여자 친구 노릇은 힘들리라는 생각이 든다

→ 여자 친구 노릇은 힘들겠다는​ 생각이 든다

→ 여자 친구로 있자면 힘들겠구나 싶다

→ 여자 친구로 지내기면 힘들겠네 싶다

《김옥-청소녀 백과사전》(낮은산,2006) 125쪽


그의 이야기를 들어 주는 역할에 충실했고

→ 그분 이야기를 들어 주는 일을 했고

→ 그분 이야기를 차분히 들어 주었고

→ 그분이 들려주는 이야기를 차분히 들었고

→ 그분이 하는 이야기를 찬찬히 들었고

《오쓰카 노부카즈/송태욱 옮김-책으로 찾아가는 유토피아》(한길사,2007) 58쪽


가장의 역할을 하게 되는 남성

→ 가장 구실을 하는 남성

→ 한 집안 기둥이 되는 남성

→ 한 집안 버팀나무가 되는 남성

→ 집안에서 기둥 구실 하는 남성

《안미선-내 날개 옷은 어디 갔지?》(철수와영희,2009) 156쪽


도망자 역할을 하고 있다는 걸

→ 도망자 노릇을 하는 줄

→ 도망자처럼 노는 줄

→ 도망자가 된 줄

《수잔 크렐러/함미라 옮김-코끼리는 보이지 않아》(양철북,2013) 82쪽


덕분에 내 역할은 영어를 가르치는 역할에서 계속해서 에어럴이 요구하는 참고 도서들을 찾아서 가져다 주는 배달 역할로 바뀌어 버렸지요

→ 그래서 내 일은 영어를 가르치는 일에서 이제 에어럴이 보고 싶다는 책들을 찾아서 가져다주는 심부름꾼 노릇으로 바뀌어 버렸지요

→ 이리하여 나는 영어 가르치기에서 이제부터 에어럴이 보고 싶다고 하는 책들을 찾아서 가져다주는 심부름으로 바뀌어 버렸지요

《로렌스 R.스펜서/유리타 옮김-외계인 인터뷰》(아이커넥,2013) 87쪽


연료 펌프와 비슷한 역할을 하는 그냥 ‘펌프’일 뿐이다

→ 연료 펌프와 비슷한 구실을 하는 그냥 ‘펌프’일 뿐이다

→ 연료 펌프와 비슷한 일을 하는 그냥 ‘펌프’일 뿐이다

→ 연료 펌프와 비슷하게 움직이는 그냥 ‘펌프’일 뿐이다

《스콧 새비지 엮음/강경이 옮김-그들이 사는 마을》(느린걸음,2015) 108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의 : 동안의 귀여운 스타일



동안의 귀여운 스타일? 난 별로야

→ 앳되고 귀여운 얼굴? 난 됐어

→ 어려 보이고 귀여운 얼굴? 난 싫어

《모리모토 코즈에코/이지혜 옮김-개코형사 ONE코 11》(대원씨아이,2015) 39쪽


  ‘동안(童顔)’은 ‘어린아이 얼굴’을 가리킵니다. ’스타일(style)’은 ‘맵시’나 ‘품’으로 고쳐쓰라고 한국말사전에 나오지만, 이 대목에서는 “앳된 얼굴”이나 “어려 보이는 얼굴”로 손볼 만합니다. “난 별(別)로야”는 “난 마음에 안 들어”나 “난 싫어”로 손볼 수 있습니다.


아무리 문장으로 길게 이야기할 수 있어도 상대방의 말을 이해하지 못하면

→ 아무리 글월로 길게 이야기할 수 있어도 상대가 하는 말을 이해하지 못하면

→ 아무리 긴 말로 이야기할 수 있어도 다른 사람이 하는 말을 알아듣지 못하면

《김수연-0∼5세 말걸기 육아의 힘》(예담프렌즈,2015) 4쪽


  ‘문장(文章)’은 ‘글월’로 손보면 되는데, 이 대목에서는 ‘말’이나 ‘긴 말’로 손보면 한결 낫습니다. ‘상대방(相對方)’은 ‘상대편(相對便)’을 뜻한다 하고, ‘상대편’은 “짝을 이루는 사람”을 뜻한다 합니다. “상대방의 말”은 “상대가 하는 말”이나 “옆사람 말”이나 “다른 사람이 하는 말”로 손질합니다. ‘이해(理解)하다’는 ‘알아듣다’나 ‘알아차리다’로 손봅니다.


0∼5세 아이는 아직 문장의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우므로

→ 0∼5세 아이는 아직 말뜻을 제대로 헤아리기 어려우므로

→ 0∼5세 아이는 아직 말뜻을 똑똑히 알기 어려우므로

《김수연-0∼5세 말걸기 육아의 힘》(예담프렌즈,2015) 4쪽


  “문장(文章)의 의미(意味)”는 일본 말투입니다. 한국말은 이렇게 안 쓰지요. 한국말은 ‘말뜻’이나 ‘글뜻’이라고 쓰지요. “정확(精確)하게 파악(把握)하기”는 “제대로 알기”나 “똑똑히 살피기”나 “낱낱이 헤아리기”나 “오롯이 알아차리기”로 손질해 줍니다.


여름의 길이가 / 꽤 길었나 봅니다

→ 여름이 / 꽤 길었나 봅니다

→ 여름은 길이가 / 꽤 길었나 봅니다

《김철순-사과의 길》(문학동네,2014) 32쪽


  이 글월을 보면 “길이가 길었나” 꼴입니다. 이처럼 써도 나쁘지 않습니다. 다만, “여름이 꽤 길었나 봅니다”처럼 쓰면 한결 단출하면서 뜻이 또렷합니다. 이러면서 ‘-의’는 저절로 사라지지요. 4348.10.25.해.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얼결에 물든 미국말

 베이비 사인baby sign



  ‘베이비 사인’은 한국말이 아닙니다. ‘baby sign’이라는 영어입니다. 이런 말은 한국말사전에 없습니다. 그런데 어느 때부터인가 이 영어를 ‘아기를 낳아 돌보는 어버이가 알아야 할 전문 낱말’인 듯 여기는 바람이 붑니다. 이 영어를 한국말로 옮기지 않고 그냥 ‘베이비 사인’으로 쓰는데, ‘baby’는 ‘아기’를 가리키고, ‘sign’은 ‘몸짓’을 가리켜요. 그러니 우리는 ‘아기 몸짓’이라는 말을 새롭게 지어서 쓸 만합니다.


 아기 몸짓 . 아깃짓 . 배냇짓


  아기가 자면서 짓는 얼굴짓을 놓고 ‘배냇짓’이라 합니다. 날 때부터 몸에 깃든 무엇을 가리키는 ‘배내’라는 말이 있어요. 여기에 ‘배내똥·배내옷’이라는 말하고 ‘배냇냄새·배냇니·배냇머리·배냇버릇·배냇저고리’ 같은 말이 있지요.


  ‘배냇짓’을 잘 적에 짓는 얼굴짓만 나타내는 낱말로 쓰지만, 아기가 ‘입으로 하는 말’이 아닌 ‘몸을 움직여서 제 뜻을 나타내는 짓’을 가리키는 자리에 넉넉히 쓸 만합니다. ‘아깃짓(아기 짓)’처럼 새말을 지어도 됩니다. 4348.10.24.쇠.ㅅㄴㄹ



아직 말을 하지 못하는 아기는 상호작용을 위해 몸으로 자신을 표현하는 ‘베이비 사인Baby sign’을 사용합니다

→ 아직 말을 하지 못하는 아기는 이야기를 나누려고 몸으로 제 뜻을 나타내는 ‘배냇짓(아기 몸짓)’을 씁니다

《김수연-0∼5세 말걸기 육아의 힘》(예담프렌즈,2015) 110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접하다接



 사고 보도를 접하다 → 사고 보도를 듣다

 남편의 사망 소식을 접하자 → 남편이 죽은 소식을 듣자

 신을 접하게 되는데 → 신을 만나는데 / 신이 내리데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에 접해 있다 →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에 닿았다

 우리 마을은 바다와 접해 있다 → 우리 마을은 바닷가에 있다

 판자로 지은 집들이 서로 접해 있다 → 판자로 지은 집들이 서로 맞닿았다

 우리 집은 바다를 접하고 있다 → 우리 집은 바다 옆에 있다

 동학의 교리에 접하고 → 동학 교리를 듣고

 사람들과 접하면서 → 사람들과 사귀면서 / 사람들과 만나면서

 그들이 서로 접하기 시작한 것은 → 그들이 서로 만난 때는


  ‘접(接)하다’는 “1. 소식이나 명령 따위를 듣거나 받다 2. 귀신을 받아들여 신통력을 가지다 3. 이어서 닿다 4. 가까이 대하다 5. 직선 또는 곡선이 다른 곡선과 한 점에서 만나다”를 뜻한다고 합니다.


  국어사전에 실렸으니, 이렇게 다섯 갈래로 쓸 만하다 여길 수 있지만, 예부터 한겨레가 다섯 갈래로 다 다르게 나누던 말마디가 ‘접하다’라는 외마디 한자말한테 잡아먹힌 셈이라고 여길 수 있습니다. 하나하나 갈무리해 보면, 한국사람은 다음처럼 이야기하면서 살았습니다.

 

 접하다 1 → 이야기(소식)를 듣다

 접하다 2 → 신이 내리다 / 신을 만나다

 접하다 3 → 바다에 닿다 / 집이 붙다 / 바다를 끼다

 접하다 4 → 교리를 듣다 / 사람과 만나다 / 사람을 보다 

 접하다 5 → 닿다 / 만나다

 

  이야기를 듣는 자리라면 ‘듣다’라 말할 노릇입니다. 무당한테 신이 내리면 ‘내리다’라 말할 노릇입니다. 이어서 닿으니 ‘닿다’고 말합니다. 집은 “다닥다닥 붙었다”라 말하면 되고, “우리 집은 바다를 낀다”라든지 “우리 집은 바다 가까이 있다”나 “우리 집은 바다 옆에 있다”나 “우리 집은 바닷가에 있다”처럼 말하면 돼요. 가까이 마주하기에 ‘마주하다’나 ‘가까이 마주하다’라 말합니다. 서로서로 만나거나 사귈 때에는 ‘사귀다’나 ‘만나다’라 말합니다. “나를 볼 기회가 거의 없었다”처럼 ‘보다’를 쓸 수 있어요. 그리고 ‘접하다 5’ 뜻풀이처럼, ‘만나다’나 ‘닿다’라 말할 자리에 굳이 ‘접하다’를 써야 할 까닭이 없습니다.


  그런데 요즈음은, “책을 접한다”라든지 “영화를 접하다”라든지 “문화를 접하다”처럼 말하는 분이 있습니다. 제법 많습니다. “책을 읽”는 사람은 조용히 사라집니다. “영화를 보”고 “문화를 누리”는 사람도 차츰 사라집니다. 말다운 말이 주눅들고, 삶다운 삶이 자취를 감춥니다. 4348.10.23.쇠.ㅅㄴㄹ



나와는 다른 사람을 접하면서

→ 나와는 다른 사람을 만나면서

→ 나와는 다른 사람을 겪으면서

→ 나와는 다른 사람을 부대끼면서

《스나가 시게오/교육출판기획실 옮김-풀잎들의 교실》(동녘,1987) 103쪽


늘 아이들과 접하면서

→ 늘 아이들과 만나면서

→ 늘 아이들과 부대끼면서

→ 늘 아이들과 어울리면서

《스나가 시게오-아들아 너는 세상 모든 것을 시로 노래하는 사람이 되어라》(가서원,1988) 55쪽


소식을 텔레비전으로 접했다

→ 소식을 텔레비전으로 보았다

→ 소식을 텔레비전으로 알았다

→ 소식을 텔레비전으로 들었다

《팀 윈튼/이동욱 옮김-블루백》(눌와,2000) 121쪽


자연의 모습을 접할 수 있다

→ 자연을  수 있다

→ 숲을 만날 수 있다

→ 숲을 느낄 수 있다

→ 숲을 맛볼 수 있다

→ 숲과 함께할 수 있다

《사사키 미쓰오·사사키 아야코/정선이 옮김-그림 속 풍경이 이곳에 있네》(예담,2001) 57쪽


새로운 환경에 접해도

→ 새로운 환경이 되어도

→ 새로운 곳에 놓여도

→ 새로운 자리에 있어도

《이란주-말해요 찬드라》(삶이보이는창,2003) 83쪽


아이들은 단순하게 자연을 접해야 한다

→ 아이들은 꾸밈없이 자연을 만나야 한다

→ 아이들은 티없이 자연을 느껴야 한다

《하진희-샨티니케탄》(여름언덕,2004) 50쪽


이야기는 곧잘 접해 보았지만

→ 이야기는 곧잘 들어 보았지만

→ 이야기는 곧잘 들었지만

→ 이야기는 곧잘 귀에 들어오지만

《김종휘-너, 행복하니?》(샨티,2004) 75쪽


여아 살해와 나스닥 증권시장 붕괴, 지참금 문제로 아내를 태워죽이는 남편들과 세계미인대회에 나가는 여성들에 관한 소식을 늘 동시에 접하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 어린 여자 아이 죽이기와 무너지는 나스닥 증권시장, 지참금 때문에 아내를 태워죽이는 남편들과 세계미인대회에 나가는 여성들 이야기를 늘 한꺼번에 들으며 살아갑니다

《아룬다티 로이-9월이여 오라》(녹색평론사,2004) 21쪽


외부의 미생물과 접하지 않도록

→ 바깥 미생물과 닿지 않도록

→ 밖에서 미생물이 들어오지 않도록

→ 바깥에서 미생물이 파고들지 않도록

《고와카 준이치/생협전국연합회 옮김-항생제 중독》(시금치,2005) 61쪽


노찾사를 처음 접하게 된 해

→ 노찾사를 처음  해

→ 노찾사를 처음 만난 

→ 노찾사를 처음 들은 해

〈노래를 찾는 사람들〉 노래잔치 안내책자(2005)


노찾사의 앨범을 처음 접하는 날

→ 노찾사 음반을 처음 듣던 날

→ 노찾사 음반을 처음 손에 쥔 

〈노래를 찾는 사람들〉 노래잔치 안내책자(2005)


한국 사람을 가까이 접하고

→ 한국사람을 가까이하고

→ 한국사람을 가까이 두고

→ 한국사람과 가까이 어울리고

→ 한국사람과 가까이 만나고

→ 한국사람과 가까이 사귀고

《엘리자베스 키스·엘스펫 K. 로버트슨 스콧/송영달 옮김-영국화가 엘리자베스 키스의 코리아》(책과함께,2006) 14쪽


도로와 접해 있는 논

→ 길과 닿은 논

→ 길에 붙은 논

→ 길과 가까이 있는 논

 길 옆에 있는 논

→ 길가에 있는 논

→ 길가 논

《엔도 슈사쿠/김석중 옮김-유모아 극장》(서커스,2006) 64쪽


쉽게 접하지 못하고

→ 쉽게 다가서지 못하고

→ 쉽게 만나지 못하고

→ 쉽게 알아보지 못하고

《홍대용/이숙경·김영호 옮김-의산문답》(꿈이있는세상,2006) 7쪽


신문으로 그 내용을 다시 접하니

→ 신문으로 그 얘기를 다시 들으니

→ 신문으로 그 이야기를 다시 보니

→ 신문으로 그 이야기를 다시 읽으니

《이병철-나는 늙은 농부에 미치지 못하네》(이후,2007) 19쪽


소식지를 접하고 계신

→ 소식지를 받으시는

→ 소식지를 받아보시는

→ 소식지를 읽으시는

《성심수녀회 예수마음 배움터》 2008년 봄호 1쪽


접했던 질문

→ 받던 물음

 듣던 물음

→ 듣던 이야기

→ 듣던 소리

《심상정-당당한 아름다움》(레디앙,2008) 131쪽


여러 가지 풍경을 접하게 됩니다

→ 여러 가지 모습을 봅니다

→ 여러 가지 모습을 만납니다

→ 여러 가지 모습을 마주합니다

《야마오 산세이/김경인 옮김-애니미즘이라는 희망》(달팽이,2012) 245쪽


명상을 처음 접하면

→ 명상을 처음 하면

→ 명상을 처음 겪으면

→ 처음 명상을 하면

→ 처음으로 명상을 하면

《혜별-애니멀 레이키》(샨티,2014) 57쪽


생후 8개월 이후에는 집 안에서 자주 접하는 물건에 이름이 있다는

→ 태어난 지 여덟 달 뒤에는 집 안에서 자주 보는 물건에 이름이 있다는

→ 난 지 여덟 달이 지나면 집 안에서 자주 보는 물건에 이름이 있다는

《김수연-0∼5세 말걸기 육아의 힘》(예담프렌즈,2015) 68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지금의


 지금의 나 → 오늘 나 / 오늘날 나

 지금의 20대 → 오늘날 20대 / 요즈음 20대

 지금의 네 고민은 → 오늘 네 걱정은

 지금의 나를 만든 사람 → 오늘 같은 나를 만든 사람

 지금의 선택을 잘 해야 한다 → 오늘 선택을 잘 해야 한다

 지금의 커피를 기억해 → 오늘 마신 커피를 기억해

 지금의 한국을 이룩한 사람 → 오늘날 한국을 이룩한 사람


  ‘지금(只今)’은 “말하는 바로 이때”를 뜻한다고 합니다. 말뜻을 헤아린다면, 한국말로는 ‘이제’나 ‘이때’를 ‘지금’으로 적는다고 할 만합니다. 그래서 “지금부터 한 시간”은 “이제부터 한 시간”으로 손볼 만하고, “왜 지금에서야”는 “왜 이제서야”나 “왜 이때에야”로 손볼 만합니다. “지금 막 집에 도착했다”는 “이제 막 집에 닿았다”로 손보면 되고, “지금 운동을 하고 있다”는 “한창 운동을 한다”로 손보면 돼요.


  ‘지금’이라는 한자말에 붙인 토씨 ‘-의’는 군더더기입니다. 한자말 ‘지금’을 쓰고 싶다면, “지금 심정”이나 “지금 내 모습”이라 하면 그만이에요. “지금 느끼는 마음”이나 “지금 바라보는 내 모습”처럼 사이에 다른 말을 넣어서 느낌을 살려도 됩니다. “지금 돌아보는 내 모습”이라든지 “지금에 와서 느끼는 마음”처럼 살을 더 붙여도 됩니다. “지금의 심정”처럼 쓸 까닭이 없습니다. 4348.10.23.쇠.ㅅㄴㄹ



지금의 우리

→ 오늘 우리

 이제 우리

→ 오늘날 우리

→ 오늘을 사는 우리

 오늘 여기에 있는 우리

→ 우리는 오늘

→ 우리는 이제

《야나기 무네요시/김순희 옮김-다도와 일본의 미》(소화,1996) 86쪽


지금의 심정도 그렇다

→ 요즈음 마음도 그렇다

→  마음도 그렇다

→ 오늘 마음도 그렇다

《임응식-내가 걸어온 한국 사단》(눈빛,1999) 5쪽


 지금의 내 모습은 어떠할까

 요즈음 내 모습은 어떠할까

→ 오늘 내 모습은 어떠할까

→ 오늘 이곳에서 내 모습은 어떠할까

《임응식-내가 걸어온 한국 사단》(눈빛,1999) 5쪽


지금의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 이렇게 살아가려면

→ 이와 같이 살림을​ 꾸리려면

 이만큼 살아​가려면

→ 이만 한 살림을 지키려면

→ 이러한 살림살이를 이으려면

《후쿠오카 켄세이/김경인 옮김-즐거운 불편》(달팽이,2004) 155쪽


지금의 나는 없었을 거야

→ 오늘 같은 나는 없었겠지

→ 오늘 내 모습은 없었겠지

→ 이런 나는 없었겠지

→ 이 같은 나는 없었겠지

→ 오늘처럼 살지 못했겠지

→ 오늘처럼 바뀌지 않았겠지

《아즈마 카즈히로/김완 옮김-알바고양이 유키뽕 11》(북박스,2006) 58쪽


지금의 한국은

 이제 한국은

 요즈음 한국은

→ 요사이 한국은

《이하영-열다섯 살 하영이의 스웨덴 학교 이야기》(양철북,2008) 220쪽


지금의 당신이 되고자

 오늘 같은 그대가 되고자

→ 이곳에서 그대가 되고자

→ 오늘 이곳에서 그대가 되고자

→ 바로 이곳에서 그대가 되고자

 이제껏 그대가 되고자

《람타/유리타 옮김-람타 화이트북》(아이커넥,2011) 157쪽


여전히 배고픈 사람들이 살아가는 지금의 삶을 행복하다고 할 수 있을까

→ 아직도 배고픈 사람들이 있는 오늘날 삶을 즐겁다고 할 수 있을까

→ 예전처럼 배고픈 사람들이 살아가는 오늘날을 기쁘다고 할 수 있을까

《최원형-10대와 통하는 환경과 생태 이야기》(철수와영희,2015) 212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