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흥미 興味


 흥미 위주의 오락물 → 재미 위주 오락물 / 재미만 따지는 오락물

 흥미가 나다 → 재미가 나다 / 신이 나다

 흥미를 더하다 → 재미를 더하다 / 즐거움을 더하다

 흥미를 불러일으키다 → 재미를 불러일으키다 / 즐거움을 불러일으키다

 바둑에 흥미를 붙이다 → 바둑에 재미를 붙이다 / 바둑에 즐거움을 붙이다

 별 흥미를 못 느낀다 → 그리 재미를 못 느낀다 / 그리 즐거움을 못 느낀다

 흥미가 반감되는 → 재미가 줄어드는 / 즐거움이 깎이는


  ‘흥미(興味)’는 “흥을 느끼는 재미”라 하는데, ‘흥(興)’은 “재미나 즐거움을 일어나게 하는 감정”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흥’은 ‘재미’나 ‘즐거움’으로 이어진다는 뜻이요, ‘흥미 = 재미를 느끼는 재미’인 셈이 됩니다. 이러한 느낌을 가리키는 다른 한국말로 ‘신’이 있고, 한국말사전은 “어떤 일에 흥미나 열성이 생겨 매우 좋아진 기분”으로 풀이합니다. 이렇게 되면, 한국말 ‘신’과 ‘재미’는 뜻이 같고 말아, 저마다 어느 자리에 어떻게 써야 알맞은가를 도무지 알기 어렵습니다. 한국말사전은 한국말 ‘신’하고 ‘재미’를 어떻게 달리 쓰는가를 제대로 밝힐 수 있어야지 싶습니다. 아무튼 ‘재미·즐거움·기쁨·신’을 알맞게 쓰면 넉넉합니다. 2016.3.9.물.ㅅㄴㄹ



아이들이 무언가에 흥미를 느끼고 집중하고

→ 아이들이 무언가에 재미를 느끼고 마음을 쏟고

→ 아이들이 무언가에 즐거움을 느끼고 힘을 쏟고

《한미화-아이를 읽는다는 것》(어크로스,2014) 53쪽


농부가 비슷한 노동요로 바뀌는 것이 흥미롭다

→ 농부가 비슷한 일노래로 바뀌는 대목이 재미있다

→ 농부가 비슷한 일노래로 바뀌는 대목이 눈에 띈다

→ 농부가 비슷한 일노래로 바뀌는 대목이 돋보인다

《황현산-우물에서 하늘 보기》(삼인,2015) 55쪽


이것은 흥미로운 점이었다

→ 이것은 재미있는 점이었다

→ 이는 눈길을 끄는 대목이었다

→ 이는 재미있었다

《대프니 밀러/이현정 옮김-땅이 의사에게 가르쳐 준 것》(시금치,2015) 109쪽


그 이틀은 흥미로웠다

→ 그 이틀은 재미있었다

→ 그 이틀은 재미났다

→ 그 이틀은 신났다

《배리 존스버그/정철우 옮김-내 인생의 알파벳》(분홍고래,2015) 119쪽


민담은 이야기가 재미있고 흥미가 있어야

→ 민담은 줄거리가 재미있어야

→ 민담은 재미있고 눈길을 끌어야

→ 민담은 재미있어야

→ 민담은 재미있고 신이 나야

《정숙영·조선영-10대와 통하는 옛이야기》(철수와영희,2015) 151쪽


(최종규/숲노래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알량한 말 바로잡기

 차이 差異


 성격 차이 때문에 →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 성격이 달라서

 능력에 차이가 있다 → 재주가 다르다 / 솜씨가 벌어지다

 차이가 나다 → 다르다 / 벌어지다

 견해 차이가 크다 → 생각이 크게 다르다 / 생각이 크게 벌어지다

 큰 차이가 없었다 → 크게 다르지 않았다 / 크게 벌어지지 않았다

 서로의 문화적 차이를 극복하고 → 서로 다른 문화를 이겨내고

 세대의 차이를 극복하지 못하다

→ 벌어진 나이대를 넘어서지 못하다

→ 다른 나이대를 딛고 서지 못하다


  ‘차이(差異)’는 “서로 같지 아니하고 다름”을 뜻한다고 합니다. 한국말 ‘다르다’는 “비교가 되는 두 대상이 서로 같지 아니하다”를 뜻한다고 해요. 그리고, 한국말 ‘같다’는 “서로 다르지 않고 하나이다”를 뜻한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다르다 = 같지 않다’인 셈이고, ‘같다 = 다르지 않다’인 셈이라고 풀이하는 한국말사전입니다. 이리하여 한자말 ‘차이’를 “같지 아니하고 다름”으로 풀이하면 똑같은 말을 잇달아 적은 겹말풀이인 셈이지요. 2016.3.8.불.ㅅㄴㄹ



집계와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 집계와 크게 다르다

→ 집계와 크게 벌어진다

《송건호-현실과 이상》(정우사,1979) 259쪽


일본에서 태어난 한국인 사이에 존재하는 그런 차이는

→ 일본에서 태어난 한국사람이 서로 다른 모습은

→ 일본에서 태어난 한국사람이 다른 모습은

《사기사와 메구무/김석희 옮김-그대는 이 나라를 사랑하는가》(자유포럼,1999) 154쪽


하늘과 땅 차이다

→ 하늘과 땅처럼 다르다

→ 하늘과 땅처럼 벌어진다

《신숙옥-재일조선인의 가슴속》(십년후,2003) 36쪽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다

→ 고장에 따라 다르다

→ 고장에 따라 다른 모습이다

→ 고장에 따라 같지 않다

《한새암·최병두·조희범·박원석·문틈-전라도 우리 탯말》(소금나무,2006) 10쪽


흔히 생각하는 남녀 간의 사랑과는 좀 차이가 있습니다

→ 흔히 생각하는 남녀 사이 사랑과는 좀 다릅니다

→ 흔히 생각하는 남녀 사이 사랑과는 좀 벌어집니다

《정숙영·조선영-10대와 통하는 옛이야기》(철수와영희,2015) 137쪽


차이점을 좀더 확실히 설명해 보자

→ 다른 점을 좀더 뚜렷이 얘기해 보자

→ 다른 대목을 좀더 똑똑히 말해 보자

→ 다른 곳을 좀더 또렷이 밝혀 보자

《앤드류 포터/노시내 옮김-진정성이라는 거짓말》(마티,2016) 247쪽


(최종규/숲노래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알량한 말 바로잡기

 항시 恒時


 항시의 습관 → 한결같은 버릇

 그는 항시 허풍을 떤다 → 그는 늘 허풍을 떤다

 그는 항시 지각이다 → 그는 언제나 늦는다

 항시 깔끔한 차림을 하고 있다 → 노상 깔끔한 차림을 한다


  ‘항시(恒時)’ 뜻풀이를 살피면 “= 상시(常時)”로 나오고, ‘상시’는 “똑같은 상태로 언제나”를 뜻한다고 나와요. 그러니까 ‘항시 = 상시 = 언제나’인 셈이요, 한국말 ‘언제나’를 쓰면 될 노릇입니다. 이밖에 ‘늘’이나 ‘노상’이나 ‘한결같이’를 쓸 수 있고, ‘으레’를 써 볼 수 있습니다. 2016.3.8.불.ㅅㄴㄹ



흰부리딱따구리 가족을 항시 마음에 품었던 그들은

→ 흰부리딱따구리 식구를 늘 마음에 품었던 그들은

→ 흰부리딱따구리 집안을 노상 마음에 품었던 그들은

《필립 후즈/김명남 옮김-사라진 숲의 왕을 찾아서》(돌베개,2015) 124쪽


경영은 항시 상대 평가다

→ 경영은 늘 상대 평가다

→ 경영은 언제나 상대 평가다

《이즈미다 료스케/이수형 옮김-구글은 왜 자동차를 만드는가》(미래의창,2015) 128쪽


죄수 입장에서는 항시 감시당한다고 상정하고 행동을 조정하는 수밖에 없다

→ 죄수 자리에서는 늘 감시받는다고 여기고 몸짓을 맞추는 수밖에 없다

→ 죄수로서는 언제나 감시받는다고 생각하고 몸짓을 추스를 수밖에 없다

《앤드류 포터/노시내 옮김-진정성이라는 거짓말》(마티,2016) 186쪽


(최종규/숲노래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적' 없애야 말 된다

 필사적


 필사적 용기 → 죽기살기 같은 용기 / 목숨 바친 용기 / 악을 쓴 용기

 필사적 투쟁의 결과 → 힘껏 싸운 결과 / 죽도록 싸운 결과 / 악으로 싸운 결과

 필사적인 탈출 → 악착같은 탈출 / 죽을힘을 다한 탈출 / 안간힘으로 탈출

 필사적으로 매달리다 → 이를 악물고 매달리다 / 죽기살기로 매달리다

 우리는 이번 일에 필사적이다 → 우리는 이번 일에 목숨을 걸었다


  ‘필사적(必死的)’은 “죽을 각오로 열심히 하는”을 뜻한다고 합니다. 이러한 뜻을 가리키는 한국말로 ‘죽을힘으로’나 ‘죽기로’나 ‘죽기살기로’가 있습니다. 이밖에 ‘하냥다짐으로’나 ‘악착같이·억척같이’를 쓸 만하고, “죽음을 무릅쓰고”나 “있는 힘껏”이나 “젖먹던 힘을 내어”나 “안간힘을 써서”나 “이를 악물고”나 “악을 쓰고”를 쓸 만해요. 2016.3.6.해.ㅅㄴㄹ



필사적으로 이 소리를 지르는

→ 죽어라 이 소리를 지르는

→ 죽을힘으로 이 소리를 지르는

→ 목이 터져라 이 소리를 지르는

→ 악을 쓰고 이 소리를 지르는

→ 안간힘을 다해 이 소리를 지르는

《프랭크 기브니/김인숙 옮김-일본, 허술한 강대국》(뿌리깊은 나무,1983) 27쪽


필사적으로 눈물을 감추려

→ 억지로 눈물을 감추려

→ 악으로 눈물을 감추려

→ 이를 악물고 눈물을 감추려

→ 끅끅대면서도 눈물을 감추려

→ 애써 눈물을 감추려

《아스트리드 린드그랜/김라합 옮김-산적의 딸 로냐 2》(일과놀이,1992) 109쪽


필사적인 노력을 다했습니다

→ 죽도록 애썼습니다

→ 악을 다했습니다

→ 죽을힘을 다했습니다

→ 젖먹던 힘까지 다했습니다

→ 무엇이든 다했습니다

→ 무슨 일이든 다했습니다

→ 어떤 일도 마다하지 않았습니다

→ 온갖 일을 다했습니다

《한국여성노동자협의회-일하며 키우며》(백산서당,1992) 129쪽


동급생들은 필사적이다

→ 동급생들은 죽기살기로 배운다

→ 동급생들은 이를 악문다

→ 동급생들은 젖먹던 힘으로 배운다

→ 동급생들은 악을 쓰며 배운다

→ 동급생들은 악착같이 배운다

→ 동급생들은 눈물겹도록 애쓴다

→ 동급생들은 눈에 불을 켜며 배운다

《다카노 마사오/편집부 옮김-마음의 조국, 한국》(범우사,2002) 203쪽


필사적으로 건너가는

→ 죽을힘으로 건너가는

→ 죽음을 무릅쓰고 건너가는

→ 살겠다고 건너가는

→ 목숨 걸고 건너가는

《박병상-우리 동물 이야기》(북갤럽,2002) 179쪽


필사적으로 찾았지만

→ 죽도록 찾았지만

→ 눈빠지게 찾았지만

→ 있는 힘을 다해 찾았지만

→ 있는 힘껏 찾았지만

→ 미친 듯이 찾았지만

→ 온힘 다해 찾았지만

→ 안간힘을 쓰며 찾았지만

《시몬 비젠탈/박중서 옮김-해바라기》(뜨인돌,2005) 31쪽


필사적인 싸움을 벌인

→ 죽어라 싸움을 벌인

→ 죽일 듯이 싸움을 벌인

→ 사네 죽네 싸움을 벌인

→ 죽을 동 살 동 싸움을 벌인

→ 머리끄댕이를 잡고 싸움을 벌인

→ 너 죽어라 하고 싸움을 벌인

→ 할퀴고 때리며 싸움을 벌인

《장영희-문학의 숲을 거닐다》(샘터사,2005) 133쪽


필사적으로 일을 계속했다

→ 죽기살기로 일을 이어 나갔다

→ 악으로 일을 이었다

→ 온힘을 다해 일을 이었다

→ 이를 악물고 일을 이었다

→ 안간힘을 쓰며 일을 이었다

→ 몸을 아끼지 않고 줄기차게 일했다

《사이토 미치오/송태욱 옮김-지금 이대로도 괜찮아》(삼인,2006) 42쪽


토고 선배도 필사적이군

→ 토고 선배도 끈질기군

→ 토고 선배도 끈덕지군

→ 토고 선배도 악착같군

→ 토고 선배도 대단하군

→ 토고 선배도 끝까지 물고늘어지는군

→ 토고 선배도 끝까지 붙잡으려 하는군

→ 토고 선배도 온힘을 다하는군

→ 토고 선배도 있는 힘껏 애쓰는군

→ 토고 선배도 무척 힘쓰는군

《오자와 마리/서수진 옮김-PONG PONG 1》(대원씨아이,2008) 9쪽


필사적이었지

→ 악이었지

→ 안간힘이었지

→ 죽을힘이었지

→ 이를 악물었지

→ 이를 악다물었지

→ 죽을 동 살 동 했지

《니노미야 토모코/서수진 옮김-노다메 칸타빌레 19》(대원씨아이,2008) 114쪽


하나도 놓치지 않으려고 필사적으로 달렸습니다

→ 하나도 놓치지 않으려고 있는 힘껏 달렸습니다

→ 하나도 놓치지 않으려고 죽을 동 살 동 달렸습니다

→ 하나도 놓치지 않으려고 죽을힘으로 달렸습니다

→ 하나도 놓치지 않으려고 온힘을 다해 달렸습니다

→ 하나도 놓치지 않으려고 안간힘을 쓰며 달렸습니다

《로타르 J. 자이베르트/배정희 옮김-나는 곰처럼 살기로 했다》(이숲,2016) 111쪽


(최종규/숲노래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하나의


 또 하나의 가족 → 또 한 식구 / 또 다른 식구 / 새로운 식구

 단 하나의 사랑 → 오직 한 사랑 / 오직 하나인 사랑

 하나의 나라 → 하나인 나라 / 하나된 나라 / 한 나라

 하나의 중국 → 한 중국 / 하나인 중국

 하나의 세포가 어떻게 → 세포 하나가 어떻게

 하나의 책을 읽고 → 책 한 권을 읽고

 하나의 터부처럼 → 어떤 터부처럼 / 마치 터부처럼 / 터부 가운데 하나처럼


  한국말사전에서 ‘하나’를 살피면 “5. (‘하나의’ 꼴로 쓰여) ‘일종의’의 뜻을 나타내는 말” 같은 뜻풀이가 나옵니다. ‘일종(一種)’은 “1. 한 종류. 또는 한 가지 2. 어떤 것을 명시적으로 밝히지 않고 ‘어떤, 어떤 종류의’의 뜻을 나타내는 ”을 뜻한다고 합니다. 이러한 뜻풀이를 살피면, ‘하나의’는 “한 가지”나 ‘어떤’으로 써야 할 자리에 들어선 셈이로구나 하고 알아차릴 수 있습니다. 그리고, 흐름을 살펴서 ‘한’이나 ‘하나’나 ‘다른’이나 ‘새로운’을 알맞게 쓸 만하고, ‘-의’가 아니라 ‘-인’을 붙이면 됩니다. 2016.3.6.해.ㅅㄴㄹ



칼날의 또 하나의 면이다

→ 칼날에서 또 다른 쪽이다

→ 칼날에서 뒤쪽이다

→ 또 다른 칼날이다

《로맹 롤랑/장만영 옮김-톨스토이》(신구문화사,1974) 118쪽


하나의 악을 뿌리뽑아라, 그러면 열의 악이 없어지리라

→ 악 하나를 뿌리뽑아라, 그러면 악 열이 없어지리라

→ 악 한 가지를 뿌리뽑아라, 그러면 악 열 가지가 없어지리라

→ 한 가지 악을 뿌리뽑아라, 그러면 열 가지 악이 없어지리라

→ 한 악을 뿌리뽑아라, 그러면 열 악이 없어지리라

《톨스토이/박형규 옮김-톨스토이 인생독본 1》(신구문화사,1974) 40쪽


어떠한 낱말도 그 자체로서 하나의 고정된 의미를 갖고 있지는 않다

→ 어떠한 낱말도 그대로 한 가지 뜻에 붙박히지 않는다

→ 어떠한 낱말도 그대로 한 가지 뜻으로 굳어지지 않는다

→ 어떠한 낱말도 그대로 한 가지 뜻만을 나타내지 않는다

→ 어떠한 낱말도 그대로 한 가지 뜻에 매이지 않는다

→ 어떠한 낱말도 한 가지만 뜻하지 않는다

→ 어떠한 낱말도 한 가지 뜻으로만 쓰이지 않는다

→ 어떠한 낱말도 새로운 뜻이 담기는 법이다

→ 어떠한 낱말도 새롭게 쓰이기 마련이다

→ 어떠한 낱말도 새로운 뜻으로 쓰이게 된다

《김우창-궁핍한 시대의 詩人》(민음사,1977) 379쪽


분리할 수 없는 하나의 것입니다만

→ 나눌 수 없는 하나입니다만

→ 쪼갤 수 없는 하나입니다만

→ 떼어 놓을 수 없는 하나입니다만

→ 뗄 수 없는 하나입니다만

《렉스프레스지 엮음/홍순호 옮김-현대 지성과의 대화 1》(중앙일보사,1979) 33쪽


집단적 무의식의 중심 속으로 찾아가는 하나의 여행이었다

→ 집단 무의식 한복판으로 찾아가는 여행이었다

→ 집단 무의식 한복판으로 찾아가는 먼 여행이었다

→ 집단 무의식 한가운데로 찾아가는 긴 여행이었다

→ 집단 무의식 한가운데로 찾아가는 고된 여행이었다

→ 집단 무의식 한가운데로 찾아가는 이른바 여행이었다

《J.L.페리에/김화영 옮김-피카소의 게르니카》(열화당,1979) 51쪽


하나의 보기

→ 한 가지 보기

→ 조그마한 보기

→ 작은 움직임

《분도출판사 편집부 엮음-십자가의 길》(분도출판사,1981) 4쪽


하나의 방향으로 결론짓는

→ 한쪽으로 결론짓는

→ 한 가지로 마무리짓는

→ 한쪽 길로 끝을 짓는

→ 한쪽으로 끝맺는

《반시》(열쇠) 6집(1981) 106쪽


아보지의 경우가 하나의 예외일 거라고

→ 아보지가 예외일 거라고

→ 아보지가 좀 다른 보기일 거라고

→ 아보지가 조금은 다를 거라고

→ 아보지가 다르다고

→ 아보지가 다른 사람이라고

《오다 마코토/양선하 옮김-오모니》(현암사,1992) 43쪽


마음에 무게 중심이 되는 하나의 구심력을 갖는다는 이야기일 게다

→ 마음에 무게 중심이 되는 구심력이 있다는 이야기일 게다

→ 마음에 무게 중심이 되는 힘이 있다는 이야기일 게다

→ 마음에 무게 중심이 되는 든든한 힘이 있다는 이야기일 게다

《김병걸-실패한 인생 실패한 문학》(창작과비평사,1994) 13쪽


하나의 건물처럼 보이고

→ 한 건물처럼 보이고

→ 같은 건물처럼 보이고

→ 하나처럼 보이고

《윌리엄 에이어스/양희승 옮김-법정의 아이들》(미세기,2004) 63쪽


또 하나의 학교이기도 하다

→ 또 다른 학교이기도 하다

→ 또 하나 있는 학교이기도 하다

《김용희-선이골 외딴집 일곱 식구 이야기》(샨티,2004) 87쪽


감염주술과 다른 또 하나의 주술이다

→ 감염주술과는 다른 주술이다

→ 감염주술과는 또 다른 주술이다

→ 감염주술과는 다른 새 주술이다

《한국여성농업인중앙연합회-여성 농업인의 삶과 전통문화》(심미안,2005) 26쪽


제3세계에서 하나의 모범이 되고자 했다

→ 제3세계에서 모범이 되고자 했다

→ 제3세계에서 좋은 보기가 되고자 했다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반다나 시바/홍수원 옮김-진보의 미래》(두레,2006) 142쪽


그 아파트 단지가 하나의 도시처럼 여겨졌다

→ 그 아파트 단지가 도시처럼 여겨졌다

→ 그 아파트 단지가 도시와 같다고 여겼다

→ 그 아파트 단지가 마치 도시 같다고 여겼다

《이시다 이라/김윤수 옮김-날아라 로켓파크》(양철북,2013) 5쪽


어쩌면 이곳은 하나의 나라가 아닐까

→ 어쩌면 이곳은 한 나라가 아닐까

→ 어쩌면 이곳은 나라와 같지 않을까

→ 어쩌면 이곳은 나라와 같다고 할 만하리라

《이시다 이라/김윤수 옮김-날아라 로켓파크》(양철북,2013) 5쪽


그 자체로 각각 하나의 동사이지만

→ 그대로 따로따로 동사이지만

→ 저마다 따로 동사이지만

→ 저마다 따로 쓰는 동사이지만

《김정선-동사의 맛》(유유,2015) 72쪽


연어들은 바닷물과 하나의 시간 속에 흐른다

→ 연어들은 바닷물과 하나인 시간으로 흐른다

→ 연어들은 바닷물과 같은 시간으로 흐른다

→ 연어들은 바닷물과 똑같은 시간으로 흐른다

→ 연어들은 바닷물과 하나로 흐른다

《고형렬-은빛 물고기》(최측의농간,2016) 43쪽


(최종규/숲노래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