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갈색 褐色


 갈색 머리 → 밤빛 머리

 갈색 피부 → 흙빛 살갗 / 짙누런 살갗

 짙은 갈색으로 그을린 → 짙은 흙빛으로 그을린 / 까무잡잡하게 그을린

 낙엽이 다 떨어져 갈색으로 보이는 → 가랑잎이 다 떨어져 누렇게 보이는


  ‘갈색(褐色)’은 “검은빛을 띤 주홍색”이라 하는데, 한국말사전을 보면 “≒ 다색(茶色)”처럼 비슷한말을 올립니다. ‘다색(茶色)’을 찾아보면 “= 갈색(褐色)”으로 풀이해요. 이래서는 ‘갈색’이 어떤 빛깔인지 알 노릇이 없습니다. 한국말사전에서 ‘밤빛(밤색)’을 찾아보면 “여문 밤의 겉껍데기 빛깔과 같이 검은색을 띤 갈색빛”으로 풀이합니다. 그러니 한국말로는 ‘밤빛’이요, 이를 한자말로 옮기면 ‘갈색’이나 ‘다색’인 셈입니다. 밤알 빛깔은 때로는 ‘흙빛’이라 할 수 있어요. ‘도토리빛’이라 할 수도 있습니다. 어느 때에는 ‘까무잡잡하다’가 어울릴 수 있고, ‘누렇다’나 ‘짙누렇다’가 어울리는 자리도 있습니다. 2016.6.21.불.ㅅㄴㄹ



앨피는 낡은 갈색 구두를 신어요

→ 앨피는 낡은 흙빛 구두를 신어요

→ 앨피는 낡은 밤빛 구두를 신어요

《셜리 휴즈/조숙은 옮김-앨피에게 장화가 생겼어요》(보림,2002) 6쪽


조그만 갈색 날개에 머리를 폭 파묻고 있으려고요

→ 조그만 밤빛 날개에 머리를 폭 파묻으려고요

→ 조그만 흙빛 날개에 머리를 폭 파묻으려고요

《헬렌 레코비츠/박혜수 옮김-내 이름은 윤이에요》(배동바지,2003) 18쪽


음, 오렌지색, 녹색, 빨간색, 갈색, 보라색인데

→ 음, 오렌지빛, 풀빛, 빨간빛, 흙빛, 보라빛인데

→ 음, 귤빛, 풀빛, 빨간빛, 도토리빛, 보라빛인데

《사노 요코·키시다 쿄코/엄기원 옮김-잠깐만 기다려》(한림출판사,2004) 24쪽


꽃이 진 자리에는 갈색이나 짙은 보라색 열매가 맺혀 있었다

→ 꽃이 진 자리에는 흙빛이나 짙은 보라빛 열매가 맺혔다

→ 꽃이 진 자리에는 밤빛이나 짙은 보라빛 열매가 맺혔다

《황선미-나온의 숨어 있는 방》(창비,2006) 146쪽


피부색을 진한 갈색으로 바꾸기 위해

→ 살빛을 짙은 밤빛으로 바꾸려고

→ 살갗을 짙은 흙빛으로 바꾸려고

《카롤린 필립스/전은경 옮김-커피우유와 소보로빵》(푸른숲주니어,2006) 83쪽


가을이면 반짝반짝 윤이 나는 갈색 도토리가 될 거야

→ 가을이면 반짝반짝 빛이 나는 흙빛 도토리가 될 테야

→ 가을이면 반짝반짝거리는 짙누런 도토리가 될 테야

《이성실·권정선-참나는 참 좋다!》(비룡소,2012) 25쪽


껍질 벗기면 내 몸은 갈색으로 변하지요

→ 껍질 벗기면 내 몸은 누렇게 바뀌지요

→ 껍질 벗기면 내 몸은 누런 빛으로 바뀌지요

《박승우-생각하는 감자》(창비,2014) 81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제3의/제삼의


 제3의 물결 → 셋째 물결 / 새로운 물결 / 새물결

 제3의 눈 → 셋째 눈 / 새로운 눈 / 새눈

 제3의 길 → 셋째 길 / 새로운 길 / 새길

 제3의 시각 → 셋째 눈길 / 새로운 눈길

 제3의 멤버 → 셋째 멤버 / 새로운 사람

 제3의 직업 → 셋째 직업 / 새로운 일


  셋째를 가리키는 ‘제삼(第三)’하고 어울리는 일본 말투로 ‘제삼의’가 여러모로 쓰입니다. 이는 ‘셋째’로 손보면 되는데, 셋째를 가리키는 ‘제삼의’는 셋째라는 자리뿐 아니라 ‘새로운’ 자리를 가리키곤 합니다. 꼭 셋째가 아니어도 이제까지와는 다른 어떤 모습을 나타내려 할 적에 이런 말을 쓰는구나 싶습니다.


  ‘셋째’나 ‘새로운’이나 ‘이제까지와 다른’으로 손볼 만한데, 이밖에 ‘또 다른’이나 ‘그 다음’으로도 손볼 수 있습니다. ‘아주 다른’이나 ‘아주 새로운’처럼 손보아도 잘 어울려요. 그래서 ‘처음·다음·그 다음’이나 ‘처음·다른·또 다른’처럼 쓰면서 ‘제일의·제이의·제삼의’를 손볼 수 있어요.


  그리고 ‘번(番)’은 ‘째’하고 같은 말이라서 ‘째번’이나 ‘번째’는 같은 말을 잇달아 쓴 셈입니다. 그러나 ‘첫 번째·두 번째·세 번째’ 같은 말투가 어느새 사람들 입에 익었어요. ‘첫째·둘째·셋째’로 쓰면 넉넉하지만 ‘첫 번째·두 번째·세 번째’ 같은 말도 함께 쓰입니다. “제3의 물결”은 “셋째 물결”로 손질하면 되는데 “세 번째 물결”처럼 손질해 볼 수도 있습니다. 2016.6.21.불.ㅅㄴㄹ



제3의 새롭고 더 좋은 자아

→ 또 다르며 새롭고 더 좋은 나

→ 여태와는 달리 새롭고 더 좋은 나

→ 이제껏 없던 새롭고 더 좋은 나

→ 이제까지와는 다른 새롭고 더 좋은 나

《김재준-죽음으로 산다》(사상사,1975) 17쪽


충청북도 제3의 도시라는 위상을 지키기 위해

→ 충청북도에서 셋째로 큰 도시

→ 충청북도 셋째 가는 도시

→ 충청북도 세 번째 도시

《기획회의》(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183호(2006) 86쪽


다음의 예가 보여주듯이 제3의 방법이 있다

→ 다음 보기처럼 또 다른 길이 있다

→ 다음 보기가 말하듯이 새로운 길이 있다

→ 다음처럼 셋째 길이 있다

→ 다음 이야기가 보여주듯이 또 다른 길이 있다

→ 다음 보기에서 알 수 있듯이 새로운 길이 있다

→ 다음 보기와 같은 셋째 길이 있다

→ 다음에서 살필 수 있듯이 길은 더 있다

《요한 크리스토프 아놀드/전의우 옮김-아이는 기다려 주지 않는다》(양철북,2008) 154쪽


제3의 목소리였다

→ 셋째 목소리였다

→ 세 사람째 목소리였다

→ 또 다른 목소리였다

→ 그 다음 목소리였다

→ 새로운 목소리였다

《시모무라 고진/김욱 옮김-지로 이야기 3》(양철북,2009) 121쪽


미간이 열려야 제3의 눈도 열리는 법입니다

→ 눈썹 사이가 열려야 셋째 눈도 열리는 법입니다

→ 눈썹 사이가 열려야 새로운 눈도 열리는 법입니다

《사이토 히토리/하연수 옮김-부자의 운》(다산3.0,2012) 28쪽


인간은 이제 새로운 제3의 차원을 획득했을 뿐만 아니라

→ 사람은 이제 새로운 셋째 차원을 얻었을 뿐만 아니라

→ 사람은 이제 새로운 셋째 길을 얻었을 뿐만 아니라

→ 사람은 이제 셋째 길을 새롭게 얻었을 뿐만 아니라

→ 사람은 이제 새로운 길을 얻었을 뿐만 아니라

《칼 슈미트/김남시 옮김-땅과 바다》(꾸리에,2016) 128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적' 없애야 말 된다

 주관적


 주관적 판단 → 혼자 생각 / 한 사람 눈길

 주관적인 견해 → 한 사람 생각 / 내 생각

 사태를 주관적으로 해석하다 → 일을 제멋대로 헤아리다 / 일을 깜냥껏 풀이하다


  ‘주관적(主觀的)’은 “자기의 견해나 관점을 기초로 하는”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이는 “어느 한 사람 생각이나 눈길”을 바탕으로 한다는 뜻입니다. ‘주관·주관적’하고 맞물려서 ‘객관·객관적’ 같은 한자말을 쓰곤 하니, 두 가지를 함께 헤아리면서 손질할 만합니다.


 내 눈 . 내 생각 . 내 눈길 . 한 사람 눈길

 남 눈 . 남 생각 . 남들 눈길 . 여러 사람 눈길


  “주관적 판단”이나 “주관적 견해”란, “내 눈”이나 “내 눈길”이나 “내 눈썰미”나 “내 생각”이나 “내 생각주머니”라고 할 만합니다. 이와 맞물려서 “객관적 판단”이나 “객관적 견해”라 한다면, “남 눈”이나 “남들 눈”이나 “사람들 생각”이나 “여느 사람들 생각”이라고 할 만하지요.


 내 생각은 말이지 / 사람들 생각은 말이지

 나는 이렇게 본다 / 사람들은 이렇게 본다

 내 깜냥으로는 / 사람들 깜냥으로는

 내가 바라볼 때에는 / 사람들이 바라볼 때에는


  혼자 생각하면 ‘혼잣생각’ 같은 낱말을 써 볼 만합니다. 그냥 ‘내’ 생각이라 할 수 있어요. 여럿이 생각하니 ‘여럿생각’ 같은 낱말을 써 볼 만해요. 그냥 ‘여러 사람’ 생각이라 할 수 있고요. 2016.6.20.달.ㅅㄴㄹ



그것은 주관적인 편견이고

→ 이는 내 생각일 뿐이고

→ 이는 내 좁은 생각이고

→ 이는 내 얕은 생각이고

→ 이는 내 치우친 생각이고

→ 이는 내 모자란 생각이고

《김남주-시와 혁명》(나루,1991) 169쪽


주관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 제멋대로 풀이하면

→ 멋대로 생각하면

→ 마음대로 생각하면

→ 함부로 보면

→ 얼핏 살피면

→ 아무렇게나 바라보면

→ 어설피 바라보면

《알도 레오폴드/송명규 옮김-모래 군의 열두 달》(따님,2000) 44쪽


내 주관적인 인상은 그랬다

→ 내 느낌은 그랬다

→ 내가 받은 느낌은 그랬다

→ 내가 느끼기로는 그랬다

→ 내가 보기에는 그랬다

→ 내가 받아들이기에는 그랬다

→ 내가 읽기로는 이랬다

→ 내가 읽을 때에는 이랬다

→ 나는 이렇게 읽었다

→ 나는 읽으며 이런 느낌이었다

→ 내가 읽을 때에는 이런 느낌이었다

→ 나는 읽으면서 이렇게 느꼈다

《이명원-말과 사람》(이매진,2008) 25쪽


세상을 보는 시각은 주관적이니까

→ 세상을 보는 눈은 사람마다 다르니까

→ 온누리를 보는 눈은 저마다 다르니까

→ 온누리를 보는 눈은 모두 다르니까

→ 온누리를 보는 눈은 너랑 내가 다르니까

《윌리엄 에어스/홍한별 옮김-가르친다는 것》(양철북,2012) 42쪽


극히 주관적인 여행사진 촬영법

→ 오직 내 생각인 여행사진 촬영법

→ 내 생각대로 들려주는 여행사진 촬영법

→ 내 나름대로 여행사진 찍기

→ 내 나름대로 찍는 여행사진

→ 내멋대로 즐기는 여행사진 찍기

→ 내맘대로 즐기는 여행사진 찍기

《양해남-나도 잘 찍고 싶은 마음 간절하다》(눈빛,2016) 144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특유의


 라면 특유의 맛 → 라면에만 있는 맛 / 라면에 남다른 맛 / 라면이라야 즐기는 맛

 바이올린 특유의 가냘픈 음색 → 바이올린다운 가냘픈 소릿결

 남도 특유의 억센 억양 → 남도에만 있는 억센 말씨 / 남도다운 억센 말결

 지하실 특유의 썰렁한 냉기 → 지하실다운 썰렁하고 찬 기운

 장사꾼 특유의 너스레 → 장사꾼다운 너스레

 특유의 향이 좋다 → 남다른 냄새가 좋다

 한국 특유의 문화 → 한국다운 문화 / 한국에만 있는 문화

 이 마을 특유의 이야기 → 이 마을에만 있는 이야기

 겨자 특유의 맛 → 겨자다운 맛 / 겨자에만 있는 맛

 특유의 아름다운 미소 → 남달리 아름다운 웃음 / 유난히 아름다운 웃음


  ‘특유(特有)’는 “(‘특유의’ 꼴로 쓰여) 일정한 사물만이 특별히 갖추고 있음”을 뜻한다고 합니다. “특별히 갖춘”을 가리키는 셈인데, ‘특별(特別)’은 “보통과 구별되게 다름”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그런데 ‘보통(普通)’은 “특별하지 아니하고 흔히 볼 수 있어 평범함”을 가리킨다고 하니, 한국말사전 뜻풀이는 겹말입니다. ‘특별 → 보통과 다름’이라 하는데, ‘보통 → 특별하지 않음’이라고 하니까 말이지요. 이러한 뜻을 헤아린다면, 한국말로 ‘남다르다’나 ‘유난하다’를 알맞게 쓸 수 있습니다. 때로는 ‘답다(다운)’나 ‘같다’를 넣어서 손볼 만하고, 때로는 ‘빼어나다’나 ‘뛰어나다’를 넣어서 손볼 만합니다. 2016.6.20.달.ㅅㄴㄹ



노년 특유의 풍요로운 정신 세계

→ 나이 든 사람다운 넉넉한 정신 세계

→ 늙은 나이에만 보이는 넉넉한 마음자리

→ 늘그막다운 너그러운 마음밭

→ 늙은 사람한테서 엿보는 너그러운 마음결

《요시야마 노보루/김동섭 옮김-늙음은 하느님의 은총》(성바오로출판사,1991) 130쪽


영국 특유의 하얀 해안선

→ 영국에만 있는 하얀 바닷가

→ 영국에서만 볼 수 있는 하얀 바닷가

→ 영국에서만 보는 하얀 바닷가

→ 영국에 남달리 있는 하얀 바닷가

《요코가와 세쯔코-토토로의 숲을 찾다,이후(2000)> 79쪽


프랑스 인 특유의 검약한 생활

→ 프랑스사람다운 수수한 삶

→ 프랑스사람답게 알뜰한 살림

→ 프랑스사람답게 살뜰한 살림

《시튼/장석봉 옮김-위대한 늑대들》(지호,2004) 128쪽


얀은 그때마다 특유의 능력을 보여주었다

→ 얀은 그때마다 남다른 재주를 보여주었다

→ 얀은 그때마다 빼어난 힘을 보여주었다

→ 얀은 그때마다 뛰어난 솜씨를 보여주었다

《시튼/장석봉 옮김-위대한 늑대들》(지호,2004) 190쪽


와인 특유의 향

→ 와인에 남달리 있는 냄새

→ 포도술다운 남다른 냄새

→ 포도술에만 감도는 냄새

→ 포도술에만 있는 냄새

→ 포도술다운 내음

→ 남다른 포도술 내음

《레너드 위벌리/박중서 옮김-약소국 그랜드 펜윅의 뉴욕 침공기》(뜨인돌,2005) 18쪽


마술사 특유의 냉철한 우아함

→ 마술사다운 차분한 아름다움

→ 마술사답게 차분한 아름다움

→ 마술사로서 차분한 아름다움

《R.O.블레크먼/박중서 옮김-성모의 곡예사》(샨티,2006) 140쪽


특유의 비뚤비뚤한 그림체로 묘사해

→ 남달리 비뚤비뚤한 그림결로 나타내

→ 유난히 비뚤비뚤한 그림결로 담아

→ 그처럼 비뚤비뚤한 그림결로 담아

→ 놀랍도록 비뚤비뚤한 그림결로 그려

《R.O.블레크먼/박중서 옮김-성모의 곡예사》(샨티,2006) 140쪽


사람이 살지 않는 집 특유의 황폐하고 쓸쓸한 기운

→ 사람이 살지 않는 집다운 거칠고 쓸쓸한 기운

→ 사람이 살지 않는 집 같은 메마르고 쓸쓸한 기운

《요시모토 바나나/김난주 옮김-아르헨티나 할머니》(민음사,2007) 28쪽


그 특유의 색을 유지하면서 기분 좋게 하는 단맛

→ 그 남다른 빛을 지키면서 즐겁게 하는 단맛

→ 그 유난한 빛깔을 지키면서 즐겁게 하는 단맛

→ 그 풀에만 감도는 빛깔을 지키면서 즐겁게 하는 단맛

《이상권-야생초 밥상》(다산책방,2015) 48쪽


카메라를 움켜쥐고 촬영할 때는 특유의 자세가 나옵니다

→ 사진기를 움켜쥐고 찍을 때는 저마다 다른 몸짓이 나옵니다

→ 사진기를 움켜쥐고 찍을 때는 사람마다 다른 몸짓이 나옵니다

《양해남-나도 잘 찍고 싶은 마음 간절하다》(눈빛,2016) 132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알량한 말 바로잡기

 녹록 碌碌/錄錄


 녹록한 사람들도 → 수수한 사람들도 / 보잘것없는 사람들도

 녹록하지 않은 사람 → 만만하지 않은 사람 / 쉽지 않은 사람

 녹록하게 당하고만 있지는 않다 → 만만하게 지기만 하지는 않다

 녹록하게 보였나 보다 → 만만하게 보였나 보다


  ‘녹록(碌碌/錄錄)하다’는 “1. 평범하고 보잘것없다 2. 만만하고 상대하기 쉽다”를 뜻한다고 합니다. 그러니 이 뜻처럼 ‘수수하다’나 ‘보잘것없다’나 ‘만만하다’나 ‘쉽다’ 같은 낱말을 알맞게 쓰면 돼요. 2016.6.20.달.ㅅㄴㄹ



결코 녹록치 않은 현실을 바탕으로

→ 그리 만만하지 않은 삶을 바탕으로

→ 썩 쉽지 않은 삶을 바탕으로

《정숙영·조선영-10대와 통하는 옛이야기》(철수와영희,2015) 191쪽


현실은 그리 녹록치 않다

→ 현실은 그리 만만하지 않다

→ 삶은 그리 쉽지 않다

《김준-섬: 살이》(가지,2016) 56쪽


생각만큼 녹록하지 않은 일

→ 생각만큼 쉽지 않은 일

→ 생각만큼 만만하지 않은 일

《양해남-나도 잘 찍고 싶은 마음 간절하다》(눈빛,2016) 5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