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1.12.30. 새말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언제나처럼 바지런히 말꽃엮기(사전편찬)를 하다가 부엌일을 하고, 밥을 차리고, 빨래를 마쳐서 널고, 숨을 돌리고, 밥을 먹을까 말까 하다가 먹으니 낮 두 시에 이릅니다. 이제 슬슬 졸릴 때이지만, 새해 첫날을 앞두고 저잣마실을 다녀오려고 합니다. 이튿날 12월 31일은 읍내가 몹시 북적대거든요. 오늘 볼일을 보고서 며칠을 조용히 시골집에 머물자고 생각합니다. 그러고 보니 오늘 우체국에 다녀오지 않으면 한동안 글월을 못 부치겠습니다.


  영어를 우리말로 옮기다가 막힌 곁님이 이모저모 실랑이를 들려줍니다. 한참 듣고 나서 곁님한테 들려줄 말은 한 가지입니다. “스스로 알아들은 대로 옮겨요. 남들한테 알려줄 생각은 하지 마요.” 남(사회)이 어떻게 알아차리도록 도울까 하고 생각할 까닭이 없습니다. 스스로 알아듣고 새긴 만큼 옮기면 됩니다. 이른바 애벌옮김입니다.


  애벌옮김이 있어야, 이 애벌옮김으로 두벌옮김을 하고 석벌옮김을 거쳐 비로소 ‘애벌손질’에 이릅니다. 애벌손질까지 오면 두벌손질하고 석벌손질을 하지요. 이렇게 여섯걸음을 지나갔으면 ‘우리말로 풀어내기’를 합니다. ‘애벌옮김’도 ‘애벌손질’도 ‘아직 우리말스럽지 않기 마련’입니다. 무늬는 한글이되 우리말이 되려면 갈 길이 한참 남았다는 뜻입니다. ‘우리말로 풀어내기’도 석벌쯤 하고서, 바야흐로 혀에 얹어서 아이하고 도란도란 말을 나누어 보면 ‘바야흐로 남한테도 이야기를 펼 만큼 안다’고 할 만한가 하고 짚습니다.


  어렵게 말하자면 ‘적어도 열벌 손질·되쓰기를 거쳐야 번역원고라고 할 만하다’는 뜻입니다. ‘열벌 손질 = 직역’입니다. 열한벌 손질째로 접어들어야 비로소 ‘의역’이란 이름을 붙일 만합니다. 열벌 손질까지 이르지 않고서 ‘직역인가 의역인가 하고 다툴’ 일은 하나도 없습니다.


  그러니까, 아직 우리나라에서 이렇게 옮기는(번역) 사람은 하나도 없지 싶어요. 이렇게 옮겨서 책을 내는 곳도 없다고 느낍니다. 그래서 숲노래 씨는 우리나라 옮김책(번역책)을 안 믿습니다. ‘우리말로 풀지 않은 글이지만, 이럭저럭 속내를 새기도록 두벌옮김을 해주기만 해도 훌륭하다’고 여깁니다.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1.12.20. 인면수심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숲노래 씨는 ‘블루오션·레드오션’ 같은 바깥말을 쓸 일이 없습니다. 이런 바깥말을 끌어들이지 않고도 우리말로 즐겁게 생각을 펴거든요. 숲노래 씨가 읽는 책에 이런 낱말이 나타낼 때까지 아예 안 쳐다봅니다. 이러다가 비로소 어느 책에 이런 말이 나오면 “아, 이제 이 말씨를 건드려서 차근차근 다듬고 풀어낼 때인가 보구나.” 하고 생각합니다.


  누가 ‘블루오션·레드오션’ 같은 말을 쓰든 말든 아랑곳할 일이 없습니다. 이런 말을 쓰는 사람이 잘못이지도 않습니다. 이런 말을 쓰는 사람은 “어린이랑 어깨동무할 생각을 아직 안 했을 뿐”입니다. 있는 그대로 보고 느껴서 말하면 됩니다.


  어린이한테 이야기를 들려주려면 어떤 말씨로 가다듬을 적에 어울리고 즐거우며 아름다울까 하고 생각하니, 처음에는 수수하게 ‘파랑바다·붉은바다’인데, ‘바다·북새통’이라 해도 어울려요. 이렇게 두 말씨를 바탕으로 열∼스물에 이르는 여러 쓰임결을 찾아냅니다. 이제 이렇게 두 바깥말을 풀어내나 싶더니, 이 말씨가 깃든 글자락에 톡 튀어나오는 ‘악마·농업·블랙홀·묵시록적’을 함께 들여다보아야 합니다. 이윽고 ‘안면수심’에 이릅니다.


  속으로 끄응 하다가 찬찬히 풀자고 생각을 고칩니다. 우리가 스스로 추레한 길을 안 간다면 빛나는 길입니다. 우리가 스스로 지질하게 안 굴면 언제나 눈부신 삶입니다. 우리가 구태여 탈을 안 쓴다면 스스로 아름답게 사랑합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1.12.7. 빛날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가시어머님(장모님)이 어제 12월 6일에 사위인 저한테 꽃돈(생일축하금)을 보내 주셨습니다. 시골집에서 아이들이 어머니 손전화로 알려주어 알았습니다. “그렇구나. 12월 7일은 내가 태어난 날이로구나.” 하고 혼잣말을 하다가 이렇게 꽃돈을 받는 살림도 즐겁다고 생각합니다. 꽃돈은 살림돈에 보태거나 책값으로 씁니다. 12월 7∼8일에 이야기꽃(강의)을 펴려고 충남 홍성군에 왔습니다. 이틀에 걸쳐 차근차근 펼 이야기꽃을 앞두고 어제 대전·천안을 거치며 네 군데 마을책집을 들렀어요. 이야기꽃을 마치고 고흥으로 돌아가기 앞서 서울에 들러 〈서울책보고〉에서 펼쳐 주는 “헌책방 사진 전시회” 모습을 돌아볼 텐데, 이때에 책값으로 쓸 수 있겠다고 생각합니다.


  일은 일이요, 일하는 틈틈이 큰고장에서 들르는 책집에서 마주하는 아름책이 있으면 기꺼이 살림돈을 헙니다. 앞으로 숲노래 씨를 비롯해 곁님하고 아이들이 두고두고 누릴 책빛을 건사하는 길에 쓰는 돈인 책값입니다. 빛나는 날에는 빛나는 책을 곁에 두면 즐거울 테지요. 12월 7일 새벽나절에도 우리말꽃을 한창 여미다가 문득 ‘싹·눈·움’ 세 낱말을 놓고서 뜻풀이하고 말밑풀이를 마쳤습니다. 2014년 즈음부터 세 낱말을 갈무리하려고 했다가 여태까지 실마리를 찾지 못했는데, 즐거운 빛날에 신나게 매듭을 지었어요.


  둘레에서는 12월 7일이라는 때에 이르면 한겨울로 여기지만, 저는 어릴 적부터 이 12월 7일에 접어들면 “아, 겨울이 곧 막바지로 가는구나” 하고 느꼈습니다. 왜냐하면 밤이 가장 깊은 12월 끝자락부터 밤이 다시 줄고 낮이 늘거든요.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숲노래 씨 빛날(생일)"에 맞추어

"숲노래 책숲"에 이바지돈(후원)을 보태는

이웃님이 계시다면

이 이바지돈은 기꺼이

서울마실길에 '책숲에 건사할 책값'으로

노래하면서 쓰겠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1.11.30. 앞두고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12월 7일부터 2월 27일까지, 서울 잠실나루 곁에 있는 〈서울책보고〉에서 ‘빛꽃잔치(사진전시)’를 합니다. 〈서울책보고〉에서 띄운 알림그림이 있어서 미리 걸쳐 놓습니다. 다음이레에 어떠할는지 모르나, 날이 맞는다면 12월 9일에 서울마실을 하면서 “헌책집 사진 이야기”를 둘러보려고 해요. 이 빛꽃잔치는 제가 손수 종이에 안 뽑았습니다. 〈서울책보고〉에서 종이에 뽑아서 건다고 해요. 어떤 빛꽃을 어디에 어떻게 거는지 아직 하나도 모릅니다. 궁금한 이 자리가 책사랑 이웃님한테 새록새록 포근히 스며들 수 있기를 꿈꿉니다. 고맙습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1.11.28. 문득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조금 더 생각을 모아서 추스르면 되겠네 싶으나 “아니야, 넘기자.” 하고 여기면서 하루이틀이나 사나흘이나 보름이나 달포를 묵히는 글이 수두룩합니다. 넘기는 글이 수두룩하듯 오늘쯤 느낌글을 매듭지을까 생각하다가 “아니야, 지켜보자.” 하고 여기면서 몇 해째 자리맡에 쌓은 책이 멧더미입니다.


  기다리는 글하고 책을 서둘러 갈무리하지는 않습니다. 맞춤한 때에 알맞게 갈무리하더군요. 속낯도 민낯도 매한가지예요. 때가 되면 속낯이 환히 드러나고, 곳이 되면 민낯이 불거집니다.


  낮나절에 모로 누워서 하루쓰기를 하다가 “민낯을 본대서 나쁘게 여길 까닭도, 그렇다고 좋게 감쌀 까닭도 없다”는 대목을 새삼스레 생각했습니다. 남을 볼 일이 아닌 우리 길을 그릴 노릇이니까요. ‘남획’이란 한자말을 풀어내다가 보름 남짓 묵히는데, 곧 끝내겠지요. ‘규모’란 한자말을 가볍게 풀려는데 마음에서 “아니야, 더 살펴.” 하는 소리가 들려 보기글을 하나둘 모으는 사이에 ‘규모’란 한자말을 사람(어른)들이 얼마나 엉터리로 아무 데나 쓰는가를 한결 넓게 들여다보았습니다. 한자말 ‘치사’는 네 가지로나 쓰지만, 넷 모두 쉽고 부드러이 쓸 우리말이 버젓이 있어요.


  말이란, 우리 생각을 비추는 마음입니다. 아무 말이나 쓴다면, 스스로 익숙하다고 여겨 어느 낡은 말씨를 붙잡는다면, 이이는 낡은 굴레를 마음에 씌우는 셈입니다. 바른말을 들려주는 이웃이나 동무가 없기에 스스로 쳇바퀴에 갇히는 분도 많지만, 바른말을 꺼리거나 자르거나 손사래치거나 싫어하거나 미워하기까지 하면서 스스로 수렁에 잠기는 분도 참 많습니다. 바르게 생각할 적에 마음에 별빛이며 햇빛을 바를 수 있어요. 바르게 생각하려고 말을 가다듬기에 밝게 트이는 마음으로 나아가고요.


  우리말 ‘말·마음’이 말밑이 같고, ‘바르다·밝다’가 말밑이 같습니다. ‘말·마음’은 ‘물’로 말밑이 뻗고, ‘바르다·밝다’는 ‘별’로 말밑을 잇습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