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에 피는 꽃 (사진책도서관 2014.4.30.)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



  책을 알뜰히 간수하면, 책을 읽는 사람들 마음에 이야기꽃이 핀다. 책을 사랑스레 돌보면, 책을 손에 쥐는 사람들 넋에 사랑꽃이 핀다. 책을 곱게 보듬으면, 책을 나누는 사람들 가슴에 웃음꽃이 핀다.


  책을 제대로 건사하지 못하면, 책에 곰팡이꽃이 핀다. 책을 사랑스레 읽지 못하거나 곱게 다루지 못하면, 책을 수천 수만 수십만 권 거느린다 하더라도 마음자락에 노래꽃이 피지 못한다.


  꽃을 피우려고 읽는 책이라고 느낀다. 이야기꽃도 사랑꽃도 웃음꽃도 피우고 싶기에 읽는 책이라고 느낀다. 꽃을 피우려는 뜻으로 꾸리는 도서관이라고 느낀다. 곰팡이꽃이 아니라 노래꽃을 피우고 삶꽃과 꿈꽃을 일구려는 넋으로 도서관을 연다고 느낀다.


  빗물이 우리 도서관 바닥으로 스며서 책꽂이 한쪽이 물에 잠긴 모습을 보았으면서, 나무 책꽂이 바닥을 타고 빗물이 올라가리라 생각하지 못한 채 한참 지냈다. 이제서야 알아챘다. 어쩔끄나. 한 번 곰팡이꽃 핀 책은 돌이키지 못한다. 어쩔끄나. 한 번 들러붙은 책은 되돌리지 못한다.


  작은아이가 아버지더러 밀걸레를 달라고 자꾸 부른다. 저도 밀걸레질 하고 싶단다. 한숨을 폭폭 쉬다가 웃는 얼굴을 쳐다보고는 밀걸레자루를 건넨다. 네 살 작은아이는 밀걸레가 무거워 낑낑거린다. 밀지는 못하고 끈다. 머리 좋네. 작은아이는 콩콩 걸어가면서 밀걸레를 끌고, 밀걸레를 끌면서 골마루에 물자국이 남는다.


  빗물을 다 치운 뒤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는 작은아이가 자물쇠를 걸겠다고 한다. 손이 야무지다. 개구진 몸짓으로 잘 논다. 멋진 아이이다. 이 아이는 어떤 넋을 타고 이곳에 태어나 우리 집 아이로 살아갈까. 아이한테는 아직 책이 대수롭지 않다. 앞으로도 아이한테는 책이 대단할 일이 없을 수 있다. 비에 젖은 채 오래도록 그대로 있느라 곰팡이꽃이 핀 책도 대수롭거나 대단할 일이 없다 할 만하다. 다음부터 더 잘 살피고 다스려야지.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딸기밭을 살핀다. 꽃은 거의 다 졌다. 새로 꽃이 피기도 한다. 얼마쯤 있으면 하얗게 굵다가 빨갛게 익는 딸기알을 볼 수 있을까. ㅎㄲㅅㄱ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 보태 주셔요 *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 되어 주는 분들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3minee 2014-05-02 02: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안녕하세요. 가끔 와서 글을 보는 애독자입니다.
아끼시는 책들에 곰팡이가 펴서 속상하시겠군요.
나무 책꽂이라서 곰팡이가 계속 필것 같네요.
저희집도 습해서 한동안 장롱에 곰팡이가 피길래
안쪽에만 비닐시트지를 붙였더니
더이상 곰팡이가 피지 않았답니다.


숲노래 2014-05-02 06:03   좋아요 0 | URL
네, 그렇군요. 그러나 비닐시트는 땜질이 될밖에 없고, 도서관 그 자리는 빗물이 벽을 타고 들어오는 데라서, 어찌할 수 없기도 해요. 햇볕에 오래오래 잘 말려야지요.

집안이 축축하면 옷에도 곰팡이 기운이 퍼질 텐데, 13minee 님 옷들을 볕 좋은 날 보송보송 햇볕에 말리면서 건사하실 수 있기를 빌어요. 그나저나 옷장에 피는 곰팡이는 참 걱정스럽네요. 옷장을 들어서 바깥에 말리기도 쉽지 않고요 @.@

아무튼~ 반갑습니다 ^^
 


 빗물에 분 책을 (사진책도서관 2014.4.28.)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



  도서관 한쪽에 빗물이 샌다. 그래서 그쪽에는 책꽂이를 두지 않았다. 그런데 빗물이 자꾸 넘쳐 만화책을 둔 책꽂이 바닥까지 스민다. 그동안 바닥에 고인 빗물만 닦고 그러려니 하고 지나갔는데, 오늘은 느낌이 무언가 다르다 싶어, 만화책을 꽂은 책꽂이 맨 아래쪽 책을 꺼낸다. 아, 책 바닥이 빗물에 젖어서 불었구나. 곰팡이까지 피었구나. 이 책들을 어쩌나. 다시 사서 갖추어야 하는가. 버릴 수도 다시 살 수도 없이 쓰라리다. 돈으로 다시 살 만하지 않은, 판이 끊어진 제법 묵은 만화책들이기 때문이다.

  볕이 나면 바깥에 두고 햇볕에 말려야지. 말리고 또 말린 뒤 곰팡이를 닦아야지. 그러고 나서 다시 말리고 더 말려서 곰팡이가 피지 않도록 해야지. 쓸쓸하다. ㅎㄲㅅㄱ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 보태 주셔요 *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 되어 주는 분들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책을 알아본 뒤에는 (사진책도서관 2014.4.15.)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



  책은 읽으려고 만든다. 도서관은 책을 건사하려는 곳이다. 우리는 책을 쓰고 만들며 사고팔고 읽으며 갈무리한다. 그러면, 책은 왜 쓰고 왜 읽는가. 책을 쓴 뒤에는 어떻게 살아가고, 책을 읽은 뒤에는 어떻게 살아가는가.


  책을 쓰는 사람은 책을 쓰면서 스스로 삶을 어떻게 바꾸는가. 책을 읽는 사람은 책을 읽으면서 스스로 삶을 어떻게 바꾸는가. 책을 건사하는 도서관을 지키는 사람은 책을 건사하고 도서관을 지키면서 스스로 삶을 어떻게 바꾸는가.


  지난날에는 도서관이 공공도서관뿐이었고, 공공도서관을 지키는 이는 공무원이라 할 만하다. 오늘날에는 공공도서관 아닌 사립도서관이 생기고, 개인도서관이 태어난다. 사립도서관과 개인도서관을 꾸리는 이들은 저마다 삶을 어떻게 가꾼다고 할 수 있을까. 공공도서관이 있는데 우리들은 왜 사립도서관이나 개인도서관을 스스로 돈과 품을 잔뜩 들여서 열고 가꾸며 꾸리는가.


  그러고 보면, 사람들은 공공도서관에도 가지만 사립도서관이나 개인도서관에도 간다. 우리 ‘사진책도서관’ 같은 전문도서관을 찾아다니는 사람이 있고, 자그마한 동네도서관으로 나들이를 다니는 사람이 있다. 더 많은 책이 더 가지런하게 놓인 곳을 바라면 공공도서관을 가면 될 일인데, 왜 굳이 작은 개인도서관까지 찾아가서 책을 보려고 할까.


  다른 나라는 어떠한지 모른다. 우리가 살아가는 이 나라를 놓고 말한다면, 한국에서는 공공도서관이 책을 버린다. 공공도서관은 책을 오래오래 품지 못한다. 새로 나오는 책을 꾸준히 사들여 갖추는 일은 반가우면서 고맙지만, 애써 사들여 갖추는 책을 두고두고 건사하지 못한다. 사립도서관이나 개인도서관이 생기는 까닭은 ‘공공도서관에 책이 없’고 ‘공공도서관이 책을 버리’기 때문 아닐까 싶다. 공공도서관에 책이 있을 뿐 아니라, 공공도서관이 책을 알뜰살뜰 건사하면서 지키는 몫을 톡톡히 한다면, 굳이 개인도서관을 열 까닭이 있을까.


  동네나 시골에 조그맣게 도서관을 가꾸면서 책쉼터에다가 책배움터를 일구고 싶으면 따로 개인도서관을 열 만하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책이 책답게 자리를 못 잡는다. 아무래도 이런저런 안타깝거나 슬픈 까닭이 뒤엉키기에, 곳곳에서 자그맣게 도서관을 여는 책이웃이 늘어나지 싶다.


  책을 알아본 뒤에는 무엇을 해야 아름다울까? 책을 알아본 뒤에는 책에 깃든 이야기를 마음 깊이 아로새겨서 삶을 새롭게 가꿀 때에 아름답겠지. ㅎㄲㅅㄱ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 보태 주셔요 *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 되어 주는 분들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묵은 신문 들추기 (사진책도서관 2014.4.5.)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



  유채꽃 냄새를 맡으며 두 아이와 함께 도서관으로 간다. 도서관 둘레로 피어나는 딸기꽃을 들여다본다. 딸기 익을 철을 기다리며 하얀 꽃잎을 쓰다듬는다. 도서관 창문을 모두 연다. 향긋한 풀내음이 고소하다. 숲에 깃들어 살아가는 사람은 풀내음을 먹고도 배부르겠다고 느낀다. 이 풀내음이 바로 밥이요, 풀내음과 섞이는 봄꽃가루가 맛난 숨이 되리라.


  오늘날에는 시골에서도 숲을 누리기 만만하지 않다. 외딴 멧골로 깊이 들어가지 않는다면 숲바람이나 숲내음을 알기 어렵다. 마을에서는 농약을 끔찍하도록 많이 쓴다. 면소재지나 읍내는 도시하고 똑같은 얼거리이다. 시골마을조차 나무그늘이 드물고, 풀밭에 드러누워 햇살을 누릴 수 있는 데를 찾을 수 없다. 시골에서는 풀밭마다 농약을 쳐대니 섣불리 풀밭에 앉거나 드러눕지도 못한다.


  살림집과 도서관을 시골로 옮기며 우리 식구가 품은 꿈 가운데 하나는, 우리 도서관에 찾아오는 책손이 ‘풀밭에 앉아서 책을 읽’거나 ‘풀밭에 드러누워 하늘바라기를 하면서 쉬’도록 할 수 있는 터를 마련하는 일이었다. 나무로 짠 좋은 책걸상에 앉아서 책을 읽어도 좋고, 풀밭이나 나무그늘 맨땅에 앉아서 책을 읽어도 좋다. 책은 내려놓고 풀밭에서 뒹굴며 바람을 쐬어도 좋다. 풀노래를 듣고 풀벌레와 개구리와 멧새 노래를 가만히 들어도 좋다.


  책이란 무엇인가. 지식이나 정보를 담아야 책이겠는가. 삶을 노래할 때에 책이요, 책을 이야기할 적에 책이며, 삶을 사랑하는 사이에 시나브로 책이다.


  이런 책을 반드시 읽을 까닭이 없다. 사진길 걷는 이들이 꼭 이런 사진책을 들추어야 사진을 잘 알 수 있지 않다. 이런 책이 있어야 도서관이 되지 않는다. 종이책을 곁에 두어도 좋은 한편, 종이책에서 홀가분하게 살아가면서 이웃을 사랑하고 풀과 나무와 숲이 얼크러진 보금자리를 가꾸거나 아낄 수 있어도 좋다.


  묵은 신문을 들춘다. 그동안 차곡차곡 모으기만 하고 너른 자리에 펼치지 못한 신문꾸러미이다. 신문을 잔뜩 모으지는 않았다. 신문배달을 하며 살던 1995∼1999년 사이에 오려모으기를 무척 많이 했고, 어느 때에는 신문을 통째로 건사했다. 중·고등학교 다니며 모은 예전 인천 신문이 몇 가지 있다. 대학교 학보에 글을 쓰면서 건사한 대학신문이 제법 있다. 네덜란드말을 배울 적에 그러모은 네덜란드 신문이 조금 있다. 김대중·노무현·이명박 같은 이들이 대통령이 되던 날 나온 신문이 차곡차곡 나온다. 중앙일보가 신문에 ‘한자’를 안 쓰기로 하면서 가로쓰기를 처음 하던 1995년 10월 9일치 신문이 있다. 모든 신문을 건사할 수는 없으나, 이럭저럭 뜻있고 재미난 신문들이 보인다. 우리 도서관에서 한결 너른 자리를 쓸 수 있으면 이 신문들을 알뜰히 펼쳐서 선보일 수 있겠지.


  ‘신문 박물관’이 있을까? 있겠지? 신문박물관에서는 열 해나 스무 해나 서른 해쯤 묵은 신문을 손으로 만지면서 볼 수 있을까? 헌책방에서 찾아낸 1970년대 〈기자협회보〉라든지 〈조선일보 노동조합 소식지〉는 앞으로 여러모로 뜻있는 자료가 되리라 생각한다. 이런 신문꾸러미는 그저 들여다보기만 하면서도 온갖 이야기가 쏟아진다.


  도서관 골마루를 이리저리 달리면서 놀던 아이들이 조용하다. 큰아이는 도라에몽 만화책에 빠졌다. 일본책인데 아랑곳하지 않고 들여다본다. 워낙 많이 읽은 만화책이니 그림만 봐도 무슨 줄거리인 줄 알 테지. 하늘은 파랗고 들은 푸른 아름다운 사월이다. 이 사월빛을 가슴에 담는다. ㅎㄲㅅㄱ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 보태 주셔요 *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 되어 주는 분들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최종규 . 20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도서관 계획서’를 쓰다 (사진책도서관 2014.4.9.)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

 


  어제 ‘도서관 계획서’를 썼다. 마무리지은 계획서를 여러 차례 되읽은 뒤 신안군청 문화관광과로 보낸다. 이 계획서를 어떻게 받아들일는지 모른다. 아하 이렇구나 이렇게 나아갈 때에 아름다운 도서관이 되겠구나 하고 받아들일 수 있고, 다르게 받아들일 수 있다. 이제 우리는 기다릴 뿐이다.


  싱숭생숭한 마음으로 도서관에 간다. 도서관을 쓸고 치우다가 딸기밭으로 간다. 우리 도서관 딸기밭은 씨앗을 뿌려서 돌보는 밭이 아니고, 들딸기 스스로 조금씩 퍼지는 딸기밭이다. 이곳에서 들딸기를 거두어 먹으면서 다 먹지는 않는다. 때를 놓친 녀석이나 조금 작다 싶은 아이는 휙휙 이곳저곳으로 던진다. 씨앗이 되어 흙에 깃든 뒤 이듬해에 새롭게 씩씩하게 자라라는 뜻이다. 그동안 이곳에서 들딸기가 꽤 퍼질 만했을 텐데 좀처럼 퍼지지 못했다고 느낀다. 우리 식구가 이 폐교 자리에 도서관을 들이고 나서야 비로소 들딸기가 이곳저곳으로 퍼진다.


  이 마을 할매 누군가 이곳 들딸기를 훑기는 하는데, 모조리 훑기만 할 뿐 남기지 않고 다 가져가기만 하니 들딸기가 널리 퍼지지는 않았으리라 느낀다. 훑으면서 좀 남기기도 하고 이곳저곳에 던져 놓기도 해야 비로소 두루 퍼져서 이듬해에 훨씬 알뜰히 얻을 수 있다.


  그러면 시골 어르신이 ‘몰라서’ 이렇게 안 할까. 아니다. 모르지는 않으리라. 어느새 버릇이 되었기 때문이다. 시골에서 흙을 보듬으며 아끼는 삶을 꾸린다고 하지만, 가난하며 고된 일에 치인 나날이 있고, 새마을운동 때부터 농약과 비료로 땅을 괴롭히는 농업에 길든 탓이다. 옛날에 어느 누가 씨앗 한 톨 안 남기고 모조리 훑는가. 콩 석 알 이야기가 있듯이, 들딸기를 훑을 적에도 모두 훑지 않는 법이다. 왜냐하면, 사람만 먹지 않으니까. 새도 먹고 쥐도 먹으니까. 개미도 먹고 풀벌레도 먹는다. 들딸기 둘레에는 그야말로 온갖 목숨이 찾아들어 조금씩 배를 채운다. 들판에서 이삭을 조금씩 남겨 새들이 겨울나기 하면서 쪼아먹도록 했듯이, 들딸기도 들짐승이 나누어 먹도록 남기기 마련이다. 까치밥으로 감을 남기잖은가. 그러나, 요새는 까치밥 남기는 시골이 줄어든다. 자꾸 사라진다. 마을에 들고양이한테 밥을 챙겨 주는 분이 있지만, 다 챙겨 주지는 않는다. 들개한테 밥을 주는 분이 있으면, 모르는 척하는 분이 있다.


  하얗게 꽃잔치 이루는 들딸기밭을 바라본다. 딸기꽃을 보니 즐겁다. 우리 도서관이 신안으로 옮긴다면 들딸기알을 한 줌 챙겨서 그곳에도 뿌려야지. ㅎㄲㅅㄱ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 보태 주셔요 *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 되어 주는 분들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