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일기 (도서관일기 2014.3.14.)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서재도서관 함께살기’

 


  2007년부터 ‘사진책 도서관’을 열었지만, 2014년 오늘까지 ‘국가기관 도서관 등록’을 하지 않았다. 우리 사회에서는 주민등록을 하듯이 무엇이나 등록을 해야 알아주는 흐름이 있기에, 우리 도서관도 ‘국가기관에 등록’하면 여러모로 혜택을 받을는지 모른다. 그렇지만, 도서관법답지 않은 도서관법이 있는 동안에는 ‘도서관 등록’을 할 마음이 없다. 한국에서 도서관으로 등록을 하자면 사서자격증이 반드시 있어야 하고 도서관위원회를 만들어야 한다. 쉽게 말하자면, 대학교 졸업장이 없으면 도서관을 열 수 없는 얼거리이다.


  도서관 사서는 도서관 사서일 뿐이다. 도서분류는 도서분류일 뿐이다. 모든 도서관이 똑같은 틀에 따라 서야 하지 않는다. 모든 도서관이 모든 책을 똑같이 나눌 까닭이 없다. 우리네 도서분류를 살피면, 사진책이나 그림책이나 만화책이나 동화책을 제대로 나눌 수 없다. 아니, 사진책이나 그림책이나 만화책이나 동화책을 제대로 나눌 만한 틀이란 아직 없을 뿐 아니라, 이와 같은 책을 알맞고 아름답게 나누는 틀을 세우려는 전문가조차 아직 없다.


  한국 사회에 도서관은 곳곳에 많이 있다. 요즈음은 예전과 달리 새책을 갖추는 돈을 제법 넉넉히 쓸 수 있다. 그러나, 한국 사회 도서관 가운데 전문 도서관은 거의 없다. 전문 도서관이 더러 있어도 서울이나 큰도시에만 있다. 작은도시나 시골에서 살아가는 사람은 전문 도서관을 누리기 어려울 뿐더러, 모든 사람과 문화가 서울로 쏠리도록 사회 얼거리가 뒤틀렸다.


  도서관일기를 쓴다. 혼자 씩씩하게 걸어가는 도서관 이야기를 혼자 글로 쓴다. 도서관을 건사하고 새로운 책을 갖추며 일기를 쓰는 사람은 나 혼자이다. 그렇지만, 내가 이 도서관을 곁님이랑 아이들하고 지키고 돌보면서 시골마을에서 지낼 수 있도록 돕는 손길은 많다. 여러 아름다운 손길을 즐겁게 받아 한국에 둘도 셋도 없는 재미난 ‘사진책 도서관’을 꾸릴 수 있다.


  그동안 두 권을 찾아서 우리 도서관에 갖춘 《출품하여 입상하려면》이라는 작은 책이 있다. 월간사진 출판사에서 해적판으로 내놓은 작은 사진책이다. 이 작은 사진책을 ‘사진책’으로 여기거나 헤아리는 사진가나 사진비평가는 거의 없다. 이번에 세 권째 이 책을 찾아내어 도서관에 갖추며 생각한다. 방송통신대 졸업사진책 한 권을 순천에 있는 헌책방에서 만나 고맙게 장만하여 우리 도서관에 꽂으며 생각한다. 사진책이란 무엇인가? ‘사진책 도서관’은 어떤 곳인가? 사진읽기와 사진찍기란 무엇인가? 사진빛과 사진삶은 어떠한 결인가?


  지난 2013년 봄에 도서관일기를 책으로 묶을까 하고 생각하며 한 번 그러모은 적 있다. ‘도서관일기’도 ‘사진책도서관일기’도 책으로 펴내기에는 만만하지 않다는 높은 울타리를 지난 한 해에 걸쳐 느꼈다. 왜 어려웠을까. 왜 힘들었을까. 도서관일기는 읽히기 어려울까. 사진책을 갖춘 도서관에서 태어나는 이야기를 나 스스로 제대로 삭히지 못했을까.


  그제 내린 비가 도서관 한쪽에 고였다. 밀걸레를 써서 빗물을 훔친다. 빗물로 도서관 골마루를 구석구석 닦는다. 비가 새는 폐교 건물 도서관이지만, 비가 새기에 이 빗물로 도서관 골마루를 깨끗하게 닦기도 한다. 창문을 활짝 열고 빗물로 골마루를 닦는 동안 싱그러운 바람이 훅 분다. 따스한 봄바람이네. 새로 돋는 풀싹내음을 곱게 실은 예쁜 바람이네. (ㅎㄲㅅㄱ)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 보태 주셔요 *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 되어 주는 분들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진책 도서관 1호’는 어디인가? (도서관일기 2014.3.13.)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서재도서관 함께살기’

 


  누리신문 〈오마이뉴스〉에서 지난 3월 5일에 ㄱ이라는 기자가 서울 종로구 통의동에 있는 사진전시관 ‘류가헌’에서 사진책 도서관을 따로 마련한 일을 기사로 내보냈다. 그런데, 이 기사에서 류가헌 갤러리가 “국내 첫 사진책 전문 도서관”이라는 말을 썼다.


  참 어처구니가 없다. 한국에서 사진책 도서관을 처음 연 사람은 바로 내가 아닌가? 게다가 나는 2000년부터 2010년 12월까지 〈오마이뉴스〉 시민기자로 글을 썼는데, 어떻게 다른 곳도 아닌 이곳에서 이런 잘못된 기사를 내보낼 수 있을까.


  류가헌 갤러리에서 스스로 ‘사진책 도서관 1호’라고 홍보를 하거나 소개를 했을까? 〈오마이뉴스〉 기자가 제대로 조사를 하지 않은 채 기사를 썼을까? 한국 사진밭에서는 내가 2007년부터 사진책 도서관을 열어서 꾸리는 줄 뻔히 알고, 여러 사진잡지에서 ‘사진책 도서관 관장’이라는 이름으로 사진비평을 쓸 뿐 아니라, 《사진책과 함께 살기》라는 책을 2010년에 내놓을 적에도 ‘사진책 도서관 함께살기’에서 소개하는 사진책 이야기를 들려준다고 보도가 나갔으며, 이렇게 여러 매체에 기사가 나오기도 했다.


  내가 연 사진책 도서관이 1호이든 2호이든 100호이든 대수롭지 않다. 사진책 도서관이 여러 곳에 하나둘 태어날 수 있기를 바란다. 그렇지만 이런 기사가 나오는 일은 달갑지 않다. 사진책 도서관을 제대로 알리고 소개할 수 있기를 바란다. 어디가 1호이고 어디가 2호라는 숫자붙이기는 안 하기를 바란다. 2007년에 처음으로 사진책 도서관을 열면서, 부디 이런 도서관이 차츰 태어날 수 있기를 꿈꾸었기에 2014년에 두 번째로 문을 연 사진책 도서관이 반가워서, 그동안 어렵게 그러모아 간직하던 사진책을 류가헌 갤러리 사진책 도서관에 보내 주기도 했다. 지난주에도 사진책 두 권을 류가헌에 보내 주었다.


  기자들은 취재를 제대로 하기를 바란다. 서울에서 전남 고흥까지 찾아오기는 어려울는지 모르나, 우리 도서관은 전남 고흥으로 2011년에 옮기기 앞서 인천에서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있었다. (ㅎㄲㅅㄱ)


(취재 1)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000772
(취재 2)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990984

(손수 쓴 소개글)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712468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 보태 주셔요 *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 되어 주는 분들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권정생 님 책들을 (도서관일기 2014.3.2.)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서재도서관 함께살기’

 


  권정생 님이 남긴 책을 돌아본다. 나는 권정생 님을 1998년에 처음 알았다. 1997년 12월 31일에 강원도 양구 멧골짜기 비무장지대에서 벗어나 고향집으로 돌아온 뒤 《몽실 언니》라는 책을 만났다. 군대에서 벗어나 마음과 몸을 쉬다가 읽은 《몽실 언니》는 내 마음을 크게 울렸다. 이렇게 놀라운 동화책을 왜 1984년이 아닌 1998년이 되어서야 읽을 수 있었나 하고 돌아보았다. 내 어린 날 국민학교에서는 왜 이런 엄청난 동화책을 읽히지 않았을까.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도 왜 권정생이라고 하는 분 작품을 하나도 이야기하지 않았을까. 게다가 내 둘레에도 권정생이라는 이름을 아는 벗이 없었다. 다섯 학기를 다니고 그만둔 대학교에 들어가서야 비로소 권정생이라는 이름을 아는 벗을 처음으로 만났다.


  1998년 1월 8일 아침에 《몽실 언니》를 손에 쥔 뒤 낮에 눈물을 글썽이며 다 읽었다. 그러고 나서 권정생 님이 쓴 책을 하나씩 찾아나섰고 오래지 않아 모든 책을 다 찾아서 읽을 수 있었다. 헌책방을 다니며 판 끊어진 예전 책을 찾아내기도 했다.


  문학이란 무엇일까. 어린이문학과 어른문학이란 무엇일까. 권정생 님이 쓴 글은 어린이문학에 넣곤 하는데, 어린이문학 테두리로만 바라보아도 될까. 삶을 밝힐 뿐 아니라 사랑을 빛내는 이 글이야말로 노벨문학상을 줄 만하지 않은가. 셀마 라게를뢰프 님에 이어 어린이문학으로 노벨문학상을 받을 만한 분이 권정생 님이라고 느꼈다. 그러나, 이런 대목까지 헤아리는 평론가라든지 다른 작가는 얼마나 될까. 어린이부터 할머니까지 두루 읽고 즐길 수 있는 글을 쓴 권정생 님인데, 이러한 그릇과 넋을 얼마나 많은 이들이 헤아려 줄까.


  서재도서관에서 권정생 님 예전 책을 찬찬히 돌아보다가 강경옥 님 만화책을 쓰다듬어 본다. 어느 연속극이 강경옥 님 만화책에서 소재를 가져다 썼다는 말이 많다. 마지막에는 《별빛속에》를 떠올리게 했다는 사람들 이야기를 들었다. 그래, 《별빛속에》이지. 우리 만화밭 흐름을 바꾸었다고 할 만한 작품 《별빛속에》이지. 옛날 대여점 판은 짝을 다 맞추지 못했으나 나중에 나온 애장판으로 갖추어 놓았다. 우리 아이들한테 물려주고 싶은 책 가운데 하나이기 때문이다.


  곰곰이 생각해 본다. 강경옥 님 만화책 《설희》나 《별빛속에》는 우리 아이들한테 물려줄 만하다고 느낀다. 아름다우면서 사랑스러운 책일 때에 아이들한테 물려준다. 아름다우면서 사랑스러운 작품일 때에 오늘 이러한 책을 즐긴다. 강경옥 님 만화에서 소재를 가져다가 쓴 연속극은? 그런 연속극은 디브이디로 건사해서 물려줄 만할까? 글쎄, 고개를 갸우뚱한다. 스스로 아름답게 창작하지 못한 작품은 건사할 까닭도 없고, 물려줄 일도 없다. (ㅎㄲㅅㄱ)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 보태 주셔요 *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 되어 주는 분들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겨울이 끝나는 비 (도서관일기 2014.2.26.)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서재도서관 함께살기’

 


  겨울이 끝나는 비가 내린다. 다 읽고 갈무리한 책을 옮기려고 서재도서관으로 간다. 이번에 새로 나온 내 책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도 두 권을 들고 간다. 곱게 나온 책을 얻어 책꽂이 한쪽에 꽂는다. 어느새 내 책으로도 책꽂이 한 칸이 다 찬다. 이제부터 가야 할 길이 멀 테지. 겉꾸밈도 속알맹이도 나란히 고운 책이 태어날 수 있도록 즐거우면서 신나게 이 길을 걸어야겠다고 다짐한다.


  봄을 코앞에 둔 들녘은 누런 빛이 아주 눈부시다. 빗물을 머금으면서 더욱 싯누렇다. 이월 끝자락과 삼월 첫무렵에만 만날 수 있는 고운 빛이다. ‘지는 꽃도 아름답다’와 같은 말이 있으나 ‘지는 풀도 아름답다’라든지 ‘시든 풀도 아름답다’와 같은 말을 하는 사람이 있을까 궁금하다. 시골에서 풀과 함께 살아가노라면, 새로 돋는 풀뿐 아니라 시들어 쓰러진 누런 풀잎도 얼마나 고운지 모른다.


  내 책을 꽂은 뒤, 몇 가지 책을 챙긴다. 요즈막에 우리 집에 눌어앉은 개 한 마리가 있기에 문득 《떠돌이 개》라는 그림책이 생각났다. 1994년에 처음 한국말로 나오고 2003년에 새롭게 나왔으나 곧 판이 끊어진 그림책이다. 떠돌이라 할는지 나그네라 할는지, 바야흐로 사람 손길에 얽매이지 않고 홀가분한 삶을 되찾았다고 할는지, 개 한 마리 이야기를 곰곰이 돌아본다.


  이원수 님 동화책 《잔디 숲속의 이쁜이》를 챙긴다. 지난날 《보리 국어사전》 만드는 일을 하면서 이 책을 읽었다. 어린이 국어사전에 넣을 보기글(용례)을 모으려고 이원수 님 동화책을 모두 새롭게 읽으며 ‘낱말 쓰임새’를 살폈다. 이 동화책을 다시 읽고 싶다는 생각이 갑자기 들었다. 내 책들로 서재도서관을 꾸려 놓으니, 언제라도 다시 들출 수 있을 뿐 아니라, 수많은 책을 알뜰살뜰 간직할 수 있어 좋다. 이 책들을 이웃한테도 얼마든지 보여주고 책을 함께 나눌 수 있으니 더 좋다.


  아이들과 서재도서관에 왔을 적에 아이들이 놀다가 아무렇게나 둔 장기알을 바라본다. 이제 장기알은 짝이 안 맞는다. 아이들이 커서 장기를 둘 만한 나이가 되면, 그때 장기알을 새로 장만해야겠지. 아이들한테는 장기알이 아직 장기알이 아닌 온갖 놀잇감 가운데 하나일 뿐이다. 아이들한테 책들도 아직 책이라기보다는 놀잇감 가운데 하나라고 할 수 있을까. 머잖아 이 아이들한테도 이 책들이 모두 살가운 마음밥이자 사랑밥이자 노래밥이자 꿈밥이 되리라 생각한다. (ㅎㄲㅅㄱ)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 보태 주셔요 *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 되어 주는 분들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일제 농림 수탈상 (도서관일기 2014.2.16.)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서재도서관 함께살기’

 


  미승우 님이 쓴 《일제 농림 수탈상》이라는 책이 있다. 1983년에 나온 책인데, 그리 널리 읽히지 못했다고 느낀다. 이 책을 이야기하는 사람을 거의 본 적이 없을 뿐 아니라, 이 책을 읽었다거나 안다고 하는 사람도 거의 만난 일이 없다. 아니, 이 책을 안다는 사람은 이제껏 딱 한 번 만났다.


  미승우 님은 《일제 농림 수탈상》이라는 책에서 일제강점기에 일본 제국주의자들이 이 나라 숲과 들을 얼마나 짓밟으면서 무너뜨렸는가 하는 이야기를 들려준다. 읽으면 읽을수록 슬픈 이야기가 흐른다. 이 나라에 아름드리나무가 거의 없는 까닭을 알 만하고, 이 나라 정부가 숲을 제대로 건사할 줄 모르는 까닭을 짚을 만하다. 일제강점기가 끝났어도 도시이든 시골이든 아름드리나무가 없다. 일흔 해를 살아낸 굵은 나무를 찾아보기 어렵다. 숲이 없고 숲을 가꾸지 않는다.


  중국이 티벳에 탱크와 군인을 거느리고 쳐들어간 까닭 가운데 하나는 ‘티벳에 있는 지하자원과 숲’을 가로채려 했기 때문이다. 중국은 티벳을 티벳이라 가리키지 않고 ‘서장(西藏)’이라 가리키는데, 이 이름은 ‘서쪽에 있는 보배 곳간’이라는 뜻이다. 티벳에서는 지하자원을 함부로 파내지 않을 뿐 아니라, 나무도 함부로 베지 않으니, 중국 정부로서는 두 가지를 가로채고 티벳 사람들을 ‘노역 광부와 벌목꾼’으로 부리려는 꿍꿍이를 오늘날까지 잇는다. 이웃나라를 이웃으로 여기지 않는 제국주의 권력은 언제나 숲을 망가뜨린다. 지하자원을 개발한다는 허울을 내세워 끝없이 자본주의 물결을 탄다.


  서재도서관 어느 책시렁에 틀림없이 《일제 농림 수탈상》을 꽂았지만 도무지 어디에 꽂았는지 떠오르지 않아 한 해 남짓 찾다가 그만두었다. 그런데, 찾기를 그만두고 얼마 안 되어 뜻밖이다 싶은 자리에서 이 책을 찾는다. 오스카 루이스 님이 쓴 《가난이 낳은 모든 것》이라는 책과 함께 좀 뜬금없다 싶은 책시렁에 덩그러니 꽂았더라. 두 책 모두 어디로 갔는가 한참 찾았는데, 곰곰이 되짚어 보니 한창 책시렁을 새로 짜서 붙이고 책상자를 끌르고 하면서 ‘이 책은 잘 건사해야 하니 다른 곳에 둘 마음으로 살짝 그 자리에 두고’는 그만 깜빡 잊은 듯하다.


  2011년 가을이 아련하다. 2014년 새봄을 코앞에 둔다. 시골자락에 보금자리를 튼 서재도서관은 한 살씩 새로 나이를 먹으며 책꽂이 짜임새가 한결 예쁘게 거듭난다고 느낀다. 퍽 느긋하고 넉넉하게 책을 만질 수 있다고 느끼니 좋다. (ㅎㄲㅅㄱ)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 보태 주셔요 *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 되어 주는 분들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