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느라 늘 글을 많이 쓰고

누리집에 글이며 사진을 차곡차곡 담아서

‘숲노래 누리집’이 저절로 

‘누리 사전’ 노릇을 하도록 살아오면서

이른바 ‘누리판(웹브라우저)’을 이것저것 바꾸며 써 왔다.


여태 마음에 차는 누리판을 못 만나다가

몇 해 앞서부터

‘브레이브(brave)’를 쓰는데

가장 나은 누리판이라고 느낀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4843030?sid=105


‘브레이브(brave)’를 쓰는 사람이

부쩍 늘어난다는 글이 뜨길래

읽어 보았는데,

글을 쓴 이는

‘브레이브(brave)’를 안 쓰는 듯싶다.


스스로 써 보면

얼마나 광고창을 잘 막는지 알 수 있다.

크롬이나 네이버웨일이나 파이어폭스나

이것저것을 써 보면 

으레 끊기거나 멈출 때가 있는데

브레이브는 그런 것도 없다.


브레이브가 ‘자사 광고’를 보여준다고 

덧글을 남기는 이들이 있던데

난 브레이브 광고를 몇 해 동안 본 적조차 없다.

누리판을 깨끗하게 쓰고 싶다면

크롬도 네이버웨일도 파이어폭스도 마이크로엣지도

다 버리고 브레이브를 쓰면 되더라.


써 보면 안다.

얼마나 훌륭한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3.1.24. 담울 대갈 아갈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우리말 ‘몸’을 풀어내는 글을 매듭지으면, 《새로 쓰는 삶말 꾸러미 사전》을 펴냄터로 넘기려고 생각합니다만, 이태째 ‘몸’ 풀이를 기다립니다. 이동안 다른 말밀풀이(어원분석)를 신나게 해놓는데, 오늘은 ‘모’를 풀려다가 또 기다리면서 ‘이태·이틀’ 이야기를 매듭짓고, ‘담·울’ 이야기를 마무리합니다. 이 김에 ‘대가리·아가리’ 이야기도 끝낼까 하고 생각합니다.


  우리말로 하면 나쁜말이나 낮춤말로 잘못 여기는 분이 끔찍하도록 많습니다. ‘대가리’도 ‘아가리’도 나쁜말이나 낮춤말일 수 없어요. ‘대단하다·대나무’가 나쁜말일까요? ‘아주·아가미·알’이 낮춤말일까요?


  말밑을 캐지 않을 뿐 아니라, 말밑 이야기를 안 한다면, 우리말이 왜 우리말인지 모르고 맙니다. 요새는 이웃나라(외국)에서 우리말을 배우는 분이 부쩍 늘어났는데, 이런 때에야말로 우리말결을 제대로 짚고 살펴서 알려주는 길을 열 노릇이라고 봅니다. 낡은 낱말책은 집어치우고, 새 낱말책을 처음부터 짓고 엮고 읽고 배우면서 누구나 스스로 생각날개를 펴고 마음빛을 밝힐 일입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3.1.2. 노래그림 고흥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전남 고흥군 고흥읍에 있는 〈카페 보아즈〉에 지난 2022년 12월 28일에 노래그림판을 걸었습니다. 2023년 1월 설날을 앞뒤로 노래그림잔치를 열 생각이었는데, 미리 가져가서 걸었어요. 느긋이 가자고 여기긴 했어도, 노래그림판을 걸고 보니 알림글이 아직 없는 셈이더군요. 먼저 조그맣게 4×6판으로 알림종이를 맡깁니다. 앞쪽은 그림순이 사름벼리 님하고 여민 그림을 넣고, 뒤쪽은 알림글하고 책 몇 가지를 보여주는 얼개입니다. 설을 앞두고 걸개천이며 여러 가지를 마련해서 붙여놓으려고 합니다. 새해가 새롭게 밝습니다. 오늘 일거리를 추스르고, 올해 글거리를 돌아보면서 아침볕을 맞이합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2.12.27. 되살림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셈틀이 힘을 잃고서 속(내장 하드디스크)이 부들부들하다가 잠들어 버리면서 적잖은 글하고 사진이 가뭇없이 자취를 감추었습니다. 되살릴 만큼 되살리려고 보름 남짓 이곳저곳에 맡기면서 100만 원 즈음 들었습니다.


  되살리지 못 하는 글하고 사진을 떠올리다가 ‘어쩌면 막대(유에스비)에 있는 사진을 살릴 수 있지 않을까?’ 싶어 ‘복구천사’라는 데에서 맛보기로 훑어보았고, 비록 모든 사진을 되살리지는 못 하더라도 이럭저럭 살릴 만하겠구나 싶더군요.


  막대에 담겼던 예전 사진을 되살리는 풀그림을 장만하는 돈은 14만 원. 이래저래 목돈이 펑펑 나가지만, 소를 잃고서 외양을 차근차근 고치자고 생각합니다. 여느 때에 갈무리를 차곡차곡 안 한 버릇을 다독이는 배움삯이라고 여깁니다.


  저녁에는 셈틀맡 책더미를 조금 추스릅니다. 바로 갈무리해서 책숲으로 옮길 만한 책을 앞에 놓고, 좀 더디 걸리겠구나 싶은 책은 뒤에 놓습니다. 셈틀맡에서 옴쭉달싹하지 못 하도록 책더미를 쌓은 살림이었는데 조금은 숨통을 틉니다.


  그나저나 하나도 되찾지 못 하는 사진꾸러미 가운데 하나는 ‘책을 긁은 사진’입니다. 그동안 하나하나 긁어 놓은 겉그림이며 속그림이 몇 만 자락에 이를 텐데, 뭐 책을 잃은 살림이 아니니, 새로 긁으면 될 테지요. 책 몇 만 자락을 처음부터 새로 긁어 놓으려면 스캐너도 덜덜 떨다가 쉬고 싶다 말할는지 모르겠습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 되살린 사진 가운데 하나

- 수원 마그앤그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2.12.22. 새벽나절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우리말 ‘나절’은 “네 시간” 즈음으로 어림할 만합니다. 어제그제 부산마실을 다녀오는 사이에 새 셈틀이 집에 닿았고, 손본 속(내장 하드디스크)도 집에 돌아왔습니다. 오늘은 새벽 네 시부터 아침 여덟 시까지 새 셈틀을 옮겨놓고, 손본 속을 찬찬히 짚어 보느라 새벽나절을 오롯이 씁니다. 살리지 못 한 글하고 빛꽃(사진)이 1TB가 넘기에 얼마나 가뭇없이 사라졌는지 잘 모릅니다. 누리길(인스타그램)은 틀림없이 여는길(비밀번호)을 종이에 적어 놓았는데, 한 시간이 넘도록 들어갈 수 없더니, ‘안 되겠어. 인스타는 안 해야겠어.’ 하고 생각하며 얼추 100벌째 ‘처음 넣었던 여는길을 다시 넣’자 들어갈 수 있더군요. 참 아리송하지요. 전 아까부터 ‘그 여는길을 고스란히 쳐서 넣었’는데 여태 못 들어가다가 세 시간이 넘어설 즈음 ‘아까부터 넣은 여는길대로 인스타가 열리니’까 말이지요.


  부산을 다녀오는 동안 버스에서 아마 열 시간 즈음 지냈지 싶어요. 이동안 얘기꽃(동화)을 두 꼭지 손으로 썼고, 노래꽃(동시)도 대여섯 꼭지를 새로 썼습니다. 책도 꽤 읽었고, 모든 부스러기 느낌을 지우고서 고요히 새걸음을 헤아리려고 가만히 눈을 감기도 했습니다.


  글은 이럭저럭 제법 살려놓기는 했으나, 2022년 11월 21일부터 12월 3일 사이에 여민 글은 하나도 찾을 길이 없습니다. 고작 보름 즈음이라 할 텐데, 이 보름 동안 새로 여민 글이 400꼭지 즈음일 텐데, 어느 글을 어떻게 살려내야 할까 잘 모르겠습니다. 그래도 느긋이 짚고, 다시 뚜벅뚜벅 걸으면 천천히 되쓸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아이들을 낳아 돌보며 살아오며 남긴 빛꽃(사진)이 왕창 사라졌어도, 아이들하고 들숲바다를 누비면서 놀던 살림빛은 오롯이 마음하고 몸에 새겨 놓았어요. 가뭇없이 사라진 듯한 글이어도 되쓰려고 하면 새록새록 쓸 만합니다. 어느 낱말풀이를 어떻게 잃었는지 갈팡질팡할 수 있으나, 잃은 낱말풀이는 새삼스레 마음을 기울여 다시 하면 되겠지요.


  책을 낼 적마다 글손질을 열다섯 벌쯤은 가볍게 하는 터라, 예전에 쓰고 사라진 글이라 해도 “글손질을 하듯 새로 쓰려는 마음”이면 “잃은 글이 아닌 새로 쓸 글”일 뿐입니다. 전남 순천 마을책집 〈책방 심다〉를 기리는 사진잔치를 열려고 그곳 빛꽃을 차곡차곡 모았는데, 〈심다〉 빛꽃도 거의 다 사라진 듯싶습니다.


  어제는 오늘입니다. 오늘은 모레입니다. 어제 걸어온 길을 아로새긴 마음을 다독이면서, 오늘 다시금 한 발짝을 내딛으면, 우리 모레는 새롭게 빛나리라 느껴요. 이제 올해가 끝나고 새해가 올 때까지 읍내나 면소재지를 빼고는 바깥마실을 안 갈 테니, 이틀 동안 뚜벅뚜벅 책짐을 짊어지고 걷느라 다시 도진 발앓이를 느긋이 다독일 수 있겠지요. 간밤에는 발앓이를 하느라 내내 끙끙댔어요.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