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3.7.20. 헌책집 길그림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1994년부터 ‘혼책(1인 소식지·잡지)’을 여미었습니다. 1994년 12월에 첫자락을 내놓았고, 1995년에는 대여섯쯤 내놓았으며, 1996년에 싸움터(군대)에서 손으로 드문드문 내놓다가, 1997년에 싸움터를 마칠(전역) 즈음 조금 더 힘내어 여러 가지를 내놓았고, 1998년 1월부터 밑돈을 모으는 대로 바지런히 갖은 혼책을 쓰고 엮고 내놓아 돌렸습니다. 1998∼99년에 새뜸나름이(신문배달부)를 할 적에 새뜸(신문)에 ‘혼책’을 끼워서 돌리기도 했습니다. 그무렵 온하루는 ‘일하고, 읽고, 새기고, 쓰고, 엮고, 돌리기’뿐이었습니다. 하루에 두토막(2시간)쯤 자면 넉넉하다고 여기던 나날입니다. 요새는 손전화에 길찾기(네비게이션)이 흔하지만, 1994∼2003년 무렵에는 길그림책(지도책)을 찾거나 사기도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헌책집 길그림’을 그리려면, 책집 둘레 온마을과 온골목을 샅샅이 걸으면서 스스로 줄인자(축척)를 어림해야 했어요. 길그림 하나를 그리려면 한 달 즈음 걷고 또 걸으며 ‘서울 신촌 헌책집 길그림’이나 ‘서울 마포 헌책집 길그림’이나 ‘서울 동대문 헌책집 길그림’이나 ‘서울 용산 헌책집 길그림’을 추스를 수 있었습니다. 일부러 걷고, 그냥 걷고, 그저 걸었습니다. 걷다 보면, ‘책읽기 = 걷기’하고 매한가지요, ‘글쓰기 = 걷기’하고 나란하다고 느낍니다. 걷는 매무새일 적에 어질게 읽고 즐겁게 쓴다고 배웠습니다. 걸어다니지 않는 이들은 읽지도 쓰지도 않을 뿐 아니라, 걸음걸이 없는 눈길과 손길과 마음길로는 겉치레에 그치게 마련이라고 느꼈어요.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3.7.17. 리셋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어제그제에 그끄제까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을 통째로 고쳐쓰느라 힘썼습니다. 2014년에 처음 선보인 책을 열 해 만에 갈아엎듯 손보았습니다. 지난 열 해에 걸쳐 새롭게 보고 듣고 겪고 익히고 살린 길이 있으니, 열 해를 묵은 책을 참말로 갈아엎을 만합니다.


  몸은 한겨레이되, 말은 일본사람인지 미국사람인지 알 길이 없는 사람이 수두룩합니다. 우리말 ‘되살림’을 싫어하면서 한자말 ‘재생’에 매달리는 이가 있고, 영어 ‘리사이클’에 사로잡히는 이가 있습니다. 어린이 곁에서 ‘재생·리사이클’을 쓰는 이라면, 철없는 꼰대입니다.


  영어를 쓰는 이웃나라로 간다면 ‘리마인드’ 같은 영어를 쓸 만하지만, 우리말로 마음을 나눌 이곳에서는 우리말을 써야겠지요. 그런데 글을 쓰려는 이들은 자꾸 우리말을 등집니다. 영어나 일본 한자말이나 옮김말씨를 잔뜩 끼워넣어야 ‘멋진 문장·문학이 탄생’한다고 엉뚱하게 여겨요.


  아무 곳에나 엉성히 불거지는 ‘유발’이란 한자말을 손질하다가 ‘리셋’이란 영어를 추스르다가 ‘금주·음주’를 어떻게 더 풀어낼까 하고 살피다가, ‘호르몬’도 얼마든지 우리말로 풀어낼 만한 실마리를 들여다보다가, “신선한 관점”이라는 얄궂말을 다듬습니다. 짧게 다섯 글씨인 “신선한 관점”이지만, ‘일본말씨 + 옮김말씨’로 똘똘 뭉친 뜨내기말입니다.


  지난 2010년에 스스로 《어른이 되고 싶습니다》란 이름으로 책을 선보인 적도 있습니다만, 저부터 어른으로 살아갈 마음이고, 이웃님 누구나 부디 ‘어른’으로 서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우리는 ‘철든 사람 = 어른 = 착하고 참한 사람’이라는 얼거리를 읽어낼 노릇입니다. ‘나이만 먹은 사람 = 꼰대 = 늙은이’라는 굴레도 알아볼 노릇입니다. 꼰대 아닌 어른으로 서야 비로소 어린이 곁에서 사랑을 노래하면서 물려주는 씨앗 한 톨을 심습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3.7.11. 늘빛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은 ‘비슷한말 = 다른말’이라는 얼거리를 이웃님이 헤아리기를 바라면서 엮은 밑꾸러미(기초어사전)입니다. 이 꾸러미에 ‘늘·노상·언제나’가 어떻게 비슷하되 다른가를 풀이해 놓기도 했는데, 오늘은 ‘늘’이라는 낱말이 어떤 뿌리(어원)인지를 가볍게 밝히는 글자락 하나를 추스릅니다. 이러면서 ‘늘사랑·늘빛·늘살림’이라는 낱말을 새롭게 쓰는 길을 풀어냅니다.


  숲노래 씨 모둠꾸러미(종합사전)는 언제 나올는 지 모릅니다만, 서두르지는 않아요. ‘늘어지게’ 하지는 않으나, ‘늘’ 여미면서 천천히 ‘늘어’가는 살림입니다. 말살림도 숲살림도 노래살림도 하루하루 새롭게 추스르기에 저절로 빛나면서 퍼질 만하리라 생각합니다.


  서로서로 생각을 스스로 밝히고 가꿀 수 있기를 바랍니다. 놈(권력자)이 퍼뜨리는 말에 휘둘리거나 휩쓸리는 하루가 아닌, 우리 스스로 살림을 지으면서 언제나 사랑으로 빛나는 마음으로 말 한 마디를 여미고 나눌 수 있기를 바라요. ‘사랑’을 하려면 ‘사랑’을 알아야 하고, 사랑을 마음에 몸으로도 알아야 할 뿐 아니라, ‘사랑’이라고 소리를 내는 이 낱말도 무슨 뜻이자 결인지 제대로 알아야 합니다.


  국립국어원 낱말책이나 ‘네이버·구글 검색’으로는 ‘사랑’을 알 길이 없습니다. 우리는 이 대목을 알까요? 아마 아직 모르지 않나요? ‘사랑’을 알려면, 스스로 사랑이라는 씨앗을 마음에 심고 품어서 말밭을 가꾸고 살림밭을 일구는 이야기책을, 우리 스스로 차근차근 찾고 챙겨서 읽고 하루를 노래하면 됩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3.7.2. 어느 만큼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일손은 어느 만큼 건사할 수 있는가 하고 돌아보면, 하루하루 즐겁게 여밀 만큼 다루는구나 싶습니다. 살림을 돌보고, 일을 하고, 아이들하고 놀고, 온집안이 모여서 이야기하고, 풀꽃나무랑 해바람비를 바라보고, 별빛을 느끼고, 빨래를 하고, 글을 쓰고, 책을 읽고, 책숲을 건사합니다.


  쟁이듯 그러모은 꾸러미랑 책을 차곡차곡 제자리에 놓으면서 생각합니다. 이 책살림은 언제나 곁에서 기다립니다. 기다리고 지켜보고 바라봅니다. 숲노래 씨 손길이며 눈길을 기다리면서 받기도 하지만, 고라니랑 꿩이 둘레에서 지나가면서 노래하는 소리에 귀를 기울이기도 합니다. “책한테 무슨 귀가 있어서 새노래를 듣느냐?”고 나무라는 분이 있을 텐데, 책은 우리 발자국 소리를 느끼고 알아듣습니다. 우리가 손을 뻗어 사그락사그락 한 쪽씩 넘기는 손길을 느끼고 기뻐합니다.


  밥을 먹으며 손에 쥐는 수저도 매한가지예요. 밥그릇이며 솥도 똑같습니다. 모두 우리 손길하고 숨결을 느낍니다. 돌이랑 물한테 숨결이 없다고 여기나요? 풀한테는 눈코귀입이 없고 소랑 돼지랑 닭한테만 눈코귀입이 있다고 여기지는 않나요? 낫으로 슥슥 그을 적에 아파하는 풀은 없지만, 부릉부릉 시끄럽게 울리며 밀어대는 짓에는 모든 풀이 아파서 눈물을 흘립니다.


  말이란, 마음을 담은 소리이자 물결입니다. 말 한 마디에도 숨결이 서립니다. 아무 말이란 없어요. ‘아무’가 아닌 ‘우리 마음’을 담는 말입니다. 말을 아무렇게나 읊는 사람이라면 ‘스스로 마음을 아무렇게나 팽개쳤다’는 뜻입니다. 말씨 하나로도 마음을 얼마든지 느끼고 읽습니다. 그래서 책이란, 사르르 펼쳐서 첫 줄부터 끝 줄까지 훑으면서도 읽지만, 가만히 손바닥으로 쓰다듬으면서도 읽습니다.


  눈속임을 하는 책은 슬쩍 보거나 만지기만 해도 알 수 있습니다. 사랑을 담은 책도 슬쩍 보거나 만지기만 해도 알 수 있어요. 눈가림을 하는 책은 한 쪽씩 읽으면서도 훤히 느끼고, 사랑을 펴는 책은 한 쪽씩 읽으면서 눈물웃음으로 밝게 느낍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3.6.26. -랑 -하고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마감글 하나를 드디어 매듭을 지어서 보냅니다. 담가 놓은 빨래를 곧 해야겠습니다. 바삐 마칠 일은 했으니, 아침까지 내린 빗물이 고였을 책숲으로 가서 빗물을 치워야지요.


  지난밤하고 새벽에 문득 ‘-랑’이라는 토씨에 ‘-하고’라는 토씨를 새삼스레 돌아보았습니다. 이름씨(명사)나 움직씨(동사)나 그림씨(형용사)만 말밑(어원)을 살피지 않습니다. 토씨에도 말밑이 있습니다. 그렇지만 여태 우리말 토씨가 어떤 말밑인지 살핀 일은 아예 없다시피 했다고 느껴요.


  토씨 ‘-랑’은 ‘라’가 말밑이고, ‘-하고’는 ‘하다’가 말밑입니다. 이 실마리를 갈무리하고 보니 하루가 훅 지나가더군요. 으레 ‘-랑·-하고’를 입말(구어)에서 쓰고 ‘-과·-와’를 글말(구어)에서 쓴다고 가르지만, 오랜 우리말은 ‘글씨가 없이 말씨만 있’어요. 글하고 말을 갈라야 할 까닭이 없습니다. 그저 말을 마주하고 바라볼 적에 삶을 마주하고 바라볼 수 있어요. 말이랑 삶을 하나로 마주하고 바라볼 수 있으면, 누구나 스스로 사랑에 숲에 살림에 빛을 품고 나누는 실마리를 열 수 있습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