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3.4.3. 젖다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우리말 ‘자리’를 언제 곰곰이 생각했는가 하고 되새기면, ‘곳·데·자리·터’가 비슷하면서 다른 낱말이라고 느끼던 무렵입니다. 처음은 아마 열 살 무렵이고, 열여덟 살 즈음 얼핏 다시 생각하다가 잊은 뒤, 스물다섯 살에 새롭게 짚어 보았고, 서른아홉 살에 가만히 가누다가 마흔여덟 살에 이르러 갈무리를 마칩니다. ‘자리’를 알려면 ‘자’를 알아야 했고, ‘자다’를 알아야 했으며, ‘잠그다·잠기다’를 알아야 했는데, 돌고돌아 ‘자주·자꾸’에 ‘잦다·젖다’를 지나 ‘잣·젓’까지 알아야 매듭을 짓는구나 하고 느낍니다. 아기를 살리는 밥은 ‘젖’이라는 ‘물’입니다. 따로 ‘자리’랑 ‘젖’을 놓고 보면 둘은 그저 동떨어질 뿐이지만, 말밑을 하나씩 짚으면 둘은 만날 수밖에 없습니다. ‘사람’은 ‘살’을 입고서 ‘살아’가는데, ‘사랑’이 아니고서는 아이를 못 낳습니다. 참 수수께끼이지 않을까요? 그러나 사랑은 ‘사르는’ 불꽃이지 않아요. ‘살리는’ 길일 적에 사랑이요 사람입니다. 사람이 사람다우려면 모든 말하고 마음하고 몸짓은 ‘산들바람’처럼 ‘산뜻’할 노릇이면서 ‘생생·싱싱·시원’할 노릇인데, ‘시원’이나 ‘시골’은 ‘심다·심·힘’으로 맞물립니다. ‘심다·심’은 ‘기르다·기운·기름’하고 비슷하면서 다르지요. ‘기르다’는 ‘자라다·잠·잠기다·자리·젖’하고 비슷한 결이 있으나 다릅니다. 하나를 보아야 하나를 알 수 있되, 하나만 보아서는 하나조차 알 길이 없습니다. 그래서 모든 말은 다 다르면서 하나이고, 수수께끼이면서 실마리이자, 노래이면서 놀이입니다. 이 얼거리를 알아차릴 수 있다면, 순이돌이(남녀)는 겉몸이 다른 하나인 숨빛인 사랑인 줄 깨달을 테고, 모든 사람은 저마다 다르게 새로운 하늘빛(하느님)인 줄 눈뜰 만합니다. 종교·교육은 사람들이 저마다 스스로 눈뜨는 길을 가로막는 굴레입니다. 굴레는 바퀴 사이에 이어서 굴리면 부드러이 굴러가는 바탕이지만, 아무렇게나 끼우면 못 굴러가게 가로막는 틀입니다. 틀은, 사랑으로 세우면 새롭게 틔우는 튼튼한 자리이되, 억지로 붙잡으면 꽉 막힌 고약한 고린내일 뿐입니다. 좋음하고 나쁨은 있을 수 없습니다. 좋음하고 나쁨을 가르려 하면서 “저놈은 나빠. 이쪽이 좋아.”하고 갈라치기를 하는 모든 짓은 우리가 저마다 스스로 사랑스러운 사람인 줄 못 보도록 억누르는 고약한 우두머리 뒷짓입니다. 왜 “쉬운 말”이 모든 사람을 깨울까요? 아이들은 어버이한테서 “쉬운 말”을 듣고 자라면서 눈을 뜨고 마음을 가꾸거든요. 아이들한테 “어려운 말”을 집어넣어 자꾸자꾸 졸업장을 들이밀려는 이들은 ‘어른’이 아닌 ‘늙은 권력자’입니다. ‘쉽다 = 수수하다 = 숲’입니다. ‘쉬운말’은 ‘숲말’이고, ‘숲말’은 ‘사람말·사랑말’입니다. 쉬운 말을 안 쓰는 이들은 스스로 사람답지 않게 갇히면서, 이웃도 사람빛을 잃고 나란히 갇힌 종(노예)으로 나뒹굴기를 바라는 괘씸한 짓일 뿐입니다. 다만, 스스로 종인 줄 잊은 채 이웃을 종살이에 가두는 짓을 하더라도 나쁜놈은 아닙니다. ‘나쁜놈’이 아닌 ‘철이 들지 않아 눈을 뜨지 않은 몸’일 뿐입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3.3.30. 시골버스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아이들이 무럭무럭 자라 주기에 곧잘 짐꾼 노릇을 합니다. 저잣마실을 할 적에 짐을 나누어 들어요. 두 아이가 어릴 적에는 아이살림까지 짊어진 채 저잣마실을 다녔으니 요새는 무척 홀가분합니다. 이러구러 오늘 낮에 15시 시골버스를 타고서 저잣마실을 다녀오려 했는데, 오늘 따라 시골버스가 ‘일찍’ 지나갑니다. 여느 때에는 12∼18분쯤 가볍게 늦는데, 고작 7분 늦게 들어오는 바람에 눈앞에서 놓쳐요. 그러려니 하다가, 마당에 누워서 책을 읽다가, 밀린 일을 좀 할까 싶어 ‘격세지감·적반하장·적대적·간헐천·업계·루저’ 같은 말씨를 더 손질하다가 ‘백래시’라는 영어를 굳이 왜 쓰는가 하고 돌아보다가 ‘백허그’라는 뜬금없는 말씨를 우리말로 풀어내고 뜻풀이를 붙이다가, ‘건전’이란 한자말을 차곡차곡 가다듬다가 “어라, 17시 버스를 타려 했는데 그만 19시를 지나 20시에 가깝네.” 하고 깨닫습니다. 뭐, 이곳은 시골이니 이튿날 저잣마실을 다녀오면 될 테지요. 벌써 해는 지고 별이 돋으려고 합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3.3.21. 내 자리는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하나를 차분히 매듭짓고서 이다음에 더 꾸리자고 여기면 될 텐데, ‘자리’라는 낱말 하나랑 얽힌 수수께끼를 매듭짓는 일을 한 해 넘게 가만히 지켜봅니다. 그래도 어제까지 7/10은 매듭을 지었고, 3/10만 채우면 됩니다. ‘자리’라는 낱말하고 얽힌 여러 우리말을 짚고 헤아리다가, 어제는 ‘나락·별별·천장’ 같은 한자말을 더 손보는 길을 갈무리했고, ‘노동운동’ 같은 일본말씨를 어떻게 어린이한테 쉽게 들려줄 만한가 하고 생각해 보았습니다. 몇몇 어른한테 익숙하더라도 고치거나 풀어낼 말씨는 거침없이 손질할 노릇입니다. ‘운동·시민단체’ 같은 일본말씨가 안 나쁘지만, 이제는 이런 일본 한자말이 아닌 ‘어린이랑 어깨동무하는 쉬운 우리말’로 이 삶과 살림과 사랑을 그려서 나눌 줄 알아야지 싶어요. 그래서 ‘인문·인문책·인문학’ 같은 일본말씨도 되도록 줄이거나 걷어내면서 어린이 곁에서 새로 나눌 만한 ‘삶·살림’을 이야기할 노릇이라고 봅니다.


  ‘밸런타인데이’는 일본에서 퍼뜨린 장삿길입니다. 이런 뿌리를 알거나 짚는 사람은 몇이나 될까요? 뿌리를 알거나 짚은 뒤에는 이름을 곰곰이 생각해서 고쳐쓰고, 그날도 다시금 바라보자고 여기는 사람은 얼마나 있을까요?


  이제 몇 가지를 더 추스르고서 셈틀을 끌 생각입니다. 오늘 저녁에는 ‘자위·노른자위·무자위·잣다’에 ‘자국·자취’에 ‘잘·잘못·절·절하다’를 거쳐 ‘장사·장난·재미’를 지나 ‘잣나무·젖·잦다·젖다’로 마무리를 짓자고, 이제는 다음 낱말로 건너가자고 생각합니다. 열두띠하고 얽힌 열두 짐승을 가리키는 이름 이야기는, 그야말로 다음 꾸러미(사전)에서 짚고 풀어내어 싣자고 생각합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책두레 #북펀드
#시금치출판사 #도도가 있었다


54째 두레벗이 된다.
아직 마감이 제법 있으니
책두레를 하는 동무님을
100을 만날 수 있기를 빌어 본다.
#숲노래 #숲노래책읽기

https://www.aladin.co.kr/m/bookfund/view.aspx?pid=1852

이곳으로 가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3.3.11. 요로원야화기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예전에도 ‘을유문고’를 보기는 쉽지 않았습니다. 한겨레싸움(한국전쟁)을 마친 뒤에 나온 을유문고는 제법 만날 수 있으나, 한겨레싸움이 터지기 앞서 나온 을유문고는 아주 드문 책입니다. 이제 막 수렁에서 벗어난 때이기도 하고, 온나라가 뒤죽박죽 다툼질이 끊이지 않던 1949년에 나온 작은 《乙酉文庫 2 要路院夜話記 外 十一篇》을 서울 길음 헌책집 〈문화서점〉에서 만났습니다. 묵직한 등짐에 이 작고 얇으며 바스라지는 책을 고이 품으면서 시외버스에 탔고, 서울에서 고흥으로 돌아가는 길에 살살 넘겼습니다. 1949년 그무렵 사람들은 어떤 마음으로 ‘그때로서는 반들반들했을 새책’인 이 작은책을 손에 쥐고 펼쳤을까요? 이 작은책은 어떻게 싸움판에서 살아남고, 서슬퍼런 나날을 견디다가, 오늘날까지 이어올 수 있었을까요?


  남겨 놓기에 모두 글(기록)이나 책(자료)이 되지는 않습니다. 손길을 탈 뿐 아니라, 살림하는 마음이 깃들어야 비로소 글이며 책이 됩니다. 읽히기에 글일 수 없습니다. 널리 읽힌다고 하더라도, 숲빛으로 푸르게 일렁이는 사랑을 어린이 곁에서 어린이 눈망울로 나눌 수수하며 상냥한 말씨로 가다듬지 않았으면, 무늬는 글일 테지만 속살로는 허울이라고 느낍니다. 오늘 이 나라에는 ‘글 아닌 허울’이 수두룩하게 넘치지 않나요? ‘글 아닌 허울’을 읽고서 ‘책을 읽었다’고 여기는 마음이 끔찍하도록 가득하지 않나요?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