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사진 (사진책도서관 2016.6.22.)

 ― 전남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사진책도서관 숲노래+한국말사전 배움터’



  2016년 6월호 〈전라도닷컴〉에 쓴 글이 있습니다. 이달에는 《은하철도 저 너머에》하고 《섬: 살이》 두 가지 책을 다루는 이야기를 썼습니다. 《은하철도 저 너머에》를 펴낸 너머 출판사로는 먼저 〈전라도닷컴〉을 한 부 보냈고, 《섬: 살이》를 펴낸 가지 출판사로도 〈전라도닷컴〉을 한 부 보내려 합니다. 나는 〈전라도닷컴〉을 두 부씩 받기에 한 부는 선물로 부칠 수 있는데, 이달에는 잡지사에서 석 부를 보내 주어서 두 부를 선물로 부칠 수 있습니다. 가지 출판사로 책을 부치려고 주소를 찾다가 도무지 찾을 수 없어서 도서관으로 가서 《섬: 살이》 간기를 찾아보기로 합니다.


  아이들은 빗길을 우산을 쓰고 걸으니 재미있어 합니다. 빗소리를 들으며 조용히 천천히 마을논을 빙 돌아서 도서관으로 갑니다. 집에서는 마냥 뛰놀기만 하는 작은아이인데, 도서관에 가면 한참 바깥에서 풀이랑 흙이랑 물을 다루며 놀다가 ‘책상맡’ 한 곳을 제 배움자리로 삼아서 척 앉습니다. 이제 아이들하고 도서관에 더 자주 더 오래 머무를 만하구나 하고 느낍니다.


  인천도서관발전진흥원에도 책을 부치려고 이모저모 챙기다가 2010년에 인천에서 쓴 작은 포스터를 새삼스레 들여다봅니다. 사진 여섯 장으로 네 가지 포스터를 작게 꾸몄는데, 이 가운데 두 군데 골목집이나 골목마을은 감쪽같이 사라졌습니다. 다른 골목집이나 골목마을도 어느 날 갑자기 감쪽같이 재개발로 사라질는지 모릅니다. 고작 2010년 모습이 2016년에도 없는 셈인데, 내 사진으로 옮겨 온 인천 골목집은 저마다 쉰 해나 일흔 해 즈음 그곳에서 고즈넉하게 삶자리를 이었습니다.


  인천을 떠나기 앞서 이런 사진으로 포스터를 꾸미기를 잘했는가 하고 돌아봅니다. 사진을 찍어 두기를 잘했는가 하고 돌아봅니다. 우리는 잊지 않으려고 사진을 찍을까요? 아니면 아름다움을 늘 되새기거나 돌아보려고 사진을 찍을까요? 곧 없어지겠구나 싶어서 안타깝거나 슬퍼서 사진을 찍을까요? 날마다 새로운 기쁨을 누리려고 사진을 찍을까요? ㅅㄴㄹ


(‘도서관 지킴이’ 되기 안내글 :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숲노래/최종규 - 도서관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재미난 책을 (사진책도서관 2016.6.7.)
 ― 전남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사진책도서관 숲노래+한국말사전 배움터’


  어떤 책이 재미날까요? 나한테 낯익은 사람이 쓴 책이 재미날까요? 사회에 널리 알려진 사람이 쓴 책이 재미날까요? 무엇이든 우리한테 가르쳐 주는 이야기가 있는 책이 재미날까요? 깔깔깔 웃음을 터뜨리는 책이 재미날까요?

  ‘재미난 책’을 바라보는 눈은 사람마다 다르리라 느낍니다. 나는 나대로 나한테 재미난 책을 바라볼 테고, 아이들은 아이들대로 재미난 책을 바라볼 테지요. 내 이웃님은 내 이웃님대로 그분한테 재미난 책을 바라볼 테고요. 그러니까 우리한테는 모든 책이 그 나름대로 재미나면서 아름다운 이야기를 들려줄 만하리라 느낍니다. 갓 태어난 책이든, 해묵은 책이든, 널리 읽힌 책이든, 거의 안 읽힌 책이든, 책마다 다 다른 숨결이 흐르면서 새로운 넋으로 거듭나도록 북돋우리라 생각합니다.

  살림하는 재미처럼 책을 읽는 재미를 누립니다. 사랑하는 재미처럼 책을 만나는 재미를 누립니다. 생각하고 살피며 헤아리는 재미처럼 책을 들추는 재미를 누립니다. 새롭게 꿈을 짓는 재미처럼 책을 새롭게 써서 내놓는 재미를 누립니다. ㅅㄴㄹ


(‘도서관 지킴이’ 되기 안내글 :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숲노래/최종규 . 도서관일기)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카스피 2016-06-20 18: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재미있는 책 유무를 떠나서 이제는 헌책방에서 사진속 책들(30~40년이상된 책들)을 보기 참 힘들더군요^^;;;

숲노래 2016-06-20 20:32   좋아요 0 | URL
말씀처럼 그렇지요.
그래도 가만히 살펴보면
헌책방에서 여러모로 재미나게 보이곤 해요 ^^;
 


 아이 그림 자리 (사진책도서관 2016.6.14.)

 ― 전남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사진책도서관 숲노래+한국말사전 배움터’



  큼지막한 한지에 큰아이가 그린 그림을 어디에 붙일까 하고 헤아려 봅니다. 햇빛이 너무 잘 들지 않으면서도 재미나게 그림을 바라볼 만한 데를 살핍니다. 그림순이가 즐겁게 그려서 베푼 그림이 있기에 도서관 한쪽을 살가이 꾸밀 수 있습니다. 사진책도서관이니 사진으로 꾸며도 즐겁지만, 아이들하고 살아가며 나오는 ‘더 못 입는 작은 옷’이라든지 ‘아이가 스스로 기쁨을 담아 빚은 그림’을 붙여서 꾸밀 적에 무척 즐겁습니다. 천천히 하나씩 차근차근 손질하고 가꾸는 동안 나부터 생각을 새롭게 추스릅니다. 책에 깃드는 이야기가 태어나는 자리란 언제나 살림이 피어나는 보금자리요, 책을 쓰고 엮는 마음이 자라는 자리도 언제나 살림이 사랑스레 자라나는 삶자리이지 싶습니다. 그리고 책을 읽으면서 생각을 북돋우는 자리도 언제나 살림을 오순도순 일구는 일자리요 놀이자리로구나 하고 느낍니다. ㅅㄴㄹ



(‘도서관 지킴이’ 되기 안내글 :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숲노래/최종규 - 도서관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전 짓기 (사진책도서관 2016.6.15.)

 ― 전남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사진책도서관 숲노래+한국말사전 배움터’



  철수와영희 출판사에서 책을 보내 주었습니다. 이제 막 새로 나온 책입니다. 그동안 새로운 책을 한 권씩 써낼 적마다 늘 반가우면서 기뻤는데, 이 도톰한 책은 새롭게 반가우면서 기쁩니다. 고등학교를 다닐 무렵부터 마음속으로 품은 ‘내가 쓰고 싶던 책’이기 때문입니다. 한국에는 아직 한국말사전다운 사전이 없다고 여긴 지 스물다섯 해 만에 이런 책을 내 손으로 쓸 수 있어서 더욱 기쁩니다.


  첫걸음처럼 선보이는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을 손에 쥐고 읽을 이웃님들이 넉넉하면서 사랑스러운 마음이 되어 말·넋·삶을 살찌우는 길에 밑돌이 될 수 있기를 빕니다. 책을 받자마자 먼저 ‘도서관 평생 지킴이’인 이웃님한테 책을 부치기로 합니다. 한평 지킴이와 두평 지킴이인 이웃님한테도 모두 책을 부치고 싶으나 모두한테 부치지는 못합니다. 너그러이 살펴 주실 테지요?


  도톰한 책을 봉투에 싸서 주소를 적고 테이프로 휘감습니다. 아이들하고 자전거를 타고 면소재지 우체국으로 가져가서 부칩니다. 책을 싸느라, 나르느라, 또 부치느라 품이나 돈이 퍽 많이 듭니다. 만만하지 않은 택배삯을 치르고 나서 곰곰이 생각합니다. 시골에서 책 한 권을 택배로 부치는 값이 ‘책값 가운데 1/5’이나 된다면, 다섯 권 부칠 값이면 한 사람한테 더 선물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내가 손수 봉투질을 해서 부치면 책 안쪽에 연필로 ‘아무개 님한테 드림’ 같은 글을 쓸 수 있는데, 이 글을 몇 줄 쓸 수 있는 값이 좀 비싸구나 싶어요. 다음에 이 책을 이웃님한테 선물할 적에는 인터넷책방 손을 빌어야겠다고 생각합니다. ㅅㄴㄹ


(‘도서관 지킴이’ 되기 안내글 :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숲노래/최종규 - 도서관일기)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85743479






댓글(4)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Clou:Do 2016-06-17 10: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와. 사전을 손수 펴낸다는건 어떤 느낌일까요. 부럽고 대단하다 싶고 감사합니다. ㅎㅎ

숲노래 2016-06-17 10:55   좋아요 1 | URL
사전...이란 쉽게 내기 어려운 책이니
아무래도 쉽게 느끼기 어려운 뭔가가 있어요 ^^;;
그러나 이 사전이 나온 지
아직 며칠 안 되어서
아직은
˝그동안 고단했네. 이제 좀 쉬어야지.˝ 하는 생각만 듭니다 ^^;;;;

Clou:Do 2016-06-17 11: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러게요. 잘은 몰라도 상상이 갑니다. 달콤한 쉼을 누리세요.

숲노래 2016-06-17 16:13   좋아요 1 | URL
네, 독자님도 기자님도
모두 이 책을 장만해서 읽으시고는,
˝이야 멋지네!˝ 하고 웃음으로 노래하면서
즐겁고 새롭게 한국말을 생각하고
마음도 꿈도 사랑스레 살찌우실 수 있다면
그야말로 달콤하게 쉴 만하리라 하고 느껴요
^__^ 고맙습니다
 

시골도서관 풀내음

― 풀내음 맡는 흙에서 배우기



  마당에서 붓꽃이 노랗게 올라옵니다. 아이들은 날마다 오늘은 붓꽃이 몇 송이가 더 늘었나 하고 숫자를 셉니다. 어느 날 아침에 한 송이가 터진다 싶더니, 이내 두 송이가 더 벌어지고, 저녁에 새롭게 두 송이가 더 벌어집니다. 이튿날에도, 또 다음 날하고 다음다음 날에도 자꾸자꾸 더 벌어집니다.


  마당 한쪽에서 붓꽃이 봉오리를 열 즈음, 뒤꼍에서는 찔레꽃이 흐드러집니다. 찔레꽃이 달콤한 냄새를 퍼뜨리는 철에는 감나무에 올망졸망 감꽃이 달려요. 꽃내음을 맡으며 호미를 놀리다가 문득 생각합니다. 봄에서 여름으로 옮아 가는 철을 처음 겪지 않습니다. 해마다 겪지요. 그런데 해마다 겪고 만나고 누리고 맞이하는 이 오월꽃과 유월꽃이 더없이 싱그럽습니다. 해가 갈수록 한결 짙으면서 맑은 숨결로 우리한테 찾아오는구나 싶어요.


  우리 집에서 함께 사는 후박나무랑 초피나무를 살피다 보면, 반짝반짝 푸른 잎빛이 곱기 마련인데, 때때로 잔뜩 파인 잎이 보입니다. 어느새 애벌레가 이렇게 갉아먹었나 하고 갸우뚱하는데, 온통 푸른 잎물결 사이에서 푸른 빛깔 애벌레를 찾아내기란 만만하지 않습니다. 애벌레를 찾기도 만만하지 않고, 번데기를 찾기도 쉽지 않은데, 어느 날 갑작스레 나비가 쏘옥 하고 나타나요.


  우리 집 나무에 기대어 알을 낳고 애벌레로 자라다가 번데기로 잠을 잔 뒤에, 바야흐로 곱게 깨어난 나비를 바라보며 넌지시 물어요. “얘, 넌 언제 여기에서 깨어났니? 네 번데기는 어디에 있었니?”


  무늬가 몹시 고운 나비를 한참 바라보다가, 다카하시 겐이치로 님이 쓴 《은하철도 저 너머에》(너머,2016)라는 책을 읽습니다. 갓 깨어난 나비는 날개를 말리느라, 또 날갯짓에 힘을 주느라, 두 시간 가까이 마당에서 이리 걷다가 저리 날아오르려다가 톡 떨어지다가를 되풀이합니다.


  “조반니는 자신을 격려하듯 말했습니다. 지금, 내가 해야 할 일은 과거를 그리워하거나 아빠와 엄마를 추억하는 일이 아니야. 내가 어디에 있고 어디를 향하는지를 아는 일이야.” (179쪽)


  나비가 깨어날 수 있는 까닭은 ‘어제(지난날·과거)’가 아닌 ‘오늘(오늘날·현재)’을 생각하기 때문은 아닐까 하고 헤아려 봅니다. 앞으로 새롭게 살아갈 ‘모레(앞날·미래)’를 생각하고 온몸으로 꿈을 꾸기 때문에 ‘알→애벌레→번데기→나비’라는 놀라운 거듭나기를 보여주는 셈 아닌가 하고 헤아려 봅니다.


  큰아이는 ‘우리 집 나비’를 보다가 나비 그림책이나 나비 도감을 들고 나와서 어떤 이름인가를 알아보려고 애씁니다. 나무에서 떨어진 애벌레를 마당에서 보고는, 나뭇가지에 애벌레를 옮기고는 다시 그림책이나 도감을 펼쳐서 어떤 이름인가를 찾아내려고 용씁니다.


  풀밭에서 풀밥을 먹고 풀벌레가 살아요. 나무에 깃들어 나뭇잎을 먹으며 애벌레가 살아요. 사람은 풀도 먹고 나무 열매도 먹어요. 사람은 풀씨를 갈무리하고 가꾸어서 남새로 키우고, 나무를 집이나 마을 둘레에 심어서 숲정이를 짓습니다. 수백 해를 고이 돌본 나무는 먼 앞날에 이 보금자리에서 새롭게 태어나서 살아갈 ‘앞날 아이(미래 아이)’가 집을 지을 적에 기둥이 되고 도리가 되겠지요. 나무를 심어서 돌보는 동안, 오늘 우리는 그늘과 바람과 열매를 얻고, 먼 앞날 아이는 집을 얻어요.


  김준 님이 쓴 《섬: 살이》(가지,2016)를 읽습니다. 뒤꼍에서 호미 한 자루로 밭을 일구다가 커다란 돌을 캐내고는 등허리를 펴면서 읽습니다. 커다란 돌은 아이들이 딛고 뛰어내리는 놀잇감이 되다가는, 내가 밭일을 쉬며 앉아서 쉬는 ‘쉼돌’ 구실을 합니다. 아이들은 아버지를 도와서 씨앗을 함께 심기도 하고, 풀밭에 폭 엎드려서 무당벌레를 그림으로 그리기도 합니다.


  “어른이란 ‘한몫’을 하는 사람을 말한다. 한몫을 맡아서 할 만큼 자랐다는 의미이다 … 한몫은 다른 말로 ‘한짓’이다. ‘온짓’이라고도 한다. 품앗이를 할 때 보통은 일대일로 품을 교환하지만 일손이 부족하면 ‘반짓’도 필요하다.” (266쪽)


  사진이 아닌 두 눈으로 무당벌레를 바라보면서 그림을 그립니다. 그림책이나 도감에 나오는 모습이 아니라, 손바닥에 올려놓거나 민들레 꽃씨에 앉아서 짝짓기를 하는 노린재를 바라보면서 그림을 그려요.


  풀밭에 엎드리거나 앉으면서 풀내음을 맡지요. 호미로 밭을 갈면서 흙내음을 맡고, 흙결을 온몸으로 맞이해요. 아이들은 꽃삽으로 땅을 파며 흙놀이를 하다가 “아이 참!” 하면서 뭔가를 성가셔 합니다. 왜 그러한가 하고 지켜보니 모기 때문입니다. 그렇구나, 모기가 깨어날 철이지.


  그동안 미리 뽑아서 잘 말린 쑥하고 짚을 그러모아서 모깃불을 피웁니다. 올들어 첫 모깃불을 구경하는 아이들은 처음에는 시큰둥하게 여기는 듯했지만, 어느새 불가에 다가섭니다. 작은 모깃불을 둘러싸고 불씨랑 불티랑 불꽃이랑 불길을 바라보다가 “땔감!” 하면서 땔거리를 찾는다며 바지런을 떱니다.


  곧 대숲에서 대를 베어다가 짚보다 훨씬 오래 타는 땔거리를 마련하자고 생각합니다. 뒤꼍에서도 마당에서도 저녁마다 모깃불을 태운다면, 아이들은 이 모깃불을 둘러싸고 노래하며 춤추는 저녁놀이를 누릴 테지요. 이동안 나는 곁님하고 이야기꽃을 즐길 만하리라 느껴요. 해를 바라보면서 풀바람을 쐬는 흙일을 하고, 달을 바라보면서 모깃불 연기를 쐬는 저녁놀이를 하는 셈일까요.


  풀내음을 맡으며 풀한테서 배웁니다. 흙내음을 맡으면서 흙한테서 배웁니다. 철이 바뀌는 숲바람을 쐬면서 바람한테서, 또 숲한테서 배웁니다. 날마다 아침저녁으로 늘 새롭게 배우는 싱그러운 봄 끝자락이요 여름 첫머리입니다. 2016.5.18.물.ㅅㄴㄹ


(‘도서관 지킴이’ 되기 안내글 :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