곁책
최종규 지음, 숲노래 기획 / 스토리닷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

스스로 쓴 책을

스스로 말할 수 있어야 할 텐데

쑥스러워서 그만

한 해 동안 묵혔다


지난 2021년 여름에 태어난 

《곁책》 느낌글을

스스로 써 보았다.

너그러이 읽고 살피면서

이 책을 

곁에 품는 이웃님이 늘기를

꿈꾸어 본다.

.

.

숲노래 책들

― 풀꽃나무랑 숲이 곁책



《곁책》

 숲노래 밑틀

 최종규 글·사진

 스토리닷

 2021.7.7.



  좋거나 읽을 만한 책을 꼽아 달라고 묻는 이웃님이 있으면 “온누리에는 좋은 책도 읽을 만한 책도 없습니다. 우리가 무엇을 마주하면서 읽든 스스로 사랑이라는 마음이 되어 살림을 짓는 눈빛이 되어 숲을 생각하면 넉넉합니다.” 하고 이야기합니다. 저는 ‘좋은 책’이나 ‘읽을 만한 책’을 알려주지 못합니다. 제가 알려줄 만한 책이라면 ‘사랑스러운 책’이나 ‘아름다운 책’이나 ‘푸른 책’입니다.


  그동안 둘레에 이야기한 ‘사랑책·아름책·숲책’을 돌아보면서 《곁책》(숲노래·최종규, 스토리닷, 2021)을 써냈습니다. 책이름처럼 “곁에 두면서 스스로 마음을 사랑으로 되새기고 가꾸도록 길잡이로 삼을 책은 무엇일까?” 하고 생각하려는 줄거리를 담습니다. 《곁책》에서 다루는 책만 ‘곁책’일 수 없어요. 352쪽으로 조촐히 갈무리하느라 제가 곁에 두는 모든 책을 싣지는 않되, ‘이 책을 왜 곁책으로 삼느냐’ 하는 이야기를 펴려고 했습니다.


  우리는 모두 다른 눈빛으로 살아가는 사랑인 터라, 다 다른 곁님을 만나서 다 다른 아이를 낳아 보금자리를 짓습니다. 우리가 마음에 담을 곁책은 다 다르지 않을까요? 다 다르되 한결같이 만나면서 빛나는 대목이 있지 않을까요?


  살림을 가꾸는 살림님으로서 바라보면 됩니다. 아이하고 노는 어버이로서 살펴보면 됩니다. 풀꽃나무를 사랑하는 숲님으로서 헤아리면 됩니다.


  아이한테 기쁘게 물려줄 뿐 아니라, 아이 곁에서 소리내어 읽는 곁책으로 삼기를 바랍니다. 어깨동무하는 너그러운 품으로 온누리에 씨앗을 심는 상냥한 걸음걸이를 북돋우는 곁책으로 두기를 바랍니다. 배움책(교과서)이 아닌 곁책을 쥐기를 바라요. 돈책이나 이름책이나 힘책이 아닌, 사랑책하고 아름책하고 숲책을 곁책으로 가까이하기를 바라요.


  생각은, 마음에 일으키는 빛입니다. 말은, 마음에 빛을 일으키려는 생각을 짓는 소리입니다. 새롭게 나아가는 길을 스스로 밝히도록 이야기하는 곁책을 누구나 알아보기를 바라요. 맑게 노래하고 밝게 웃음짓는 오늘을 들려주는 곁책을 저마다 누리기를 바라요.


  종이에 얹어서 묶는 책이 있다면, 하늘을 덮는 구름이라는 책이 있습니다. 글씨로 옮겨서 엮는 책이 있다면, 제비하고 벌나비하고 풀벌레가 여미는 책이 있습니다. 우리가 펴는 이야기도 책이고, 우리가 보듬는 살림살이도 책입니다. 설거지하고 빨래하고 비질도 책읽기입니다. 아기한테 젖을 물리고, 기저귀를 갈아서 삶고 마당에 너는 집일도 책읽기입니다. 들길을 자전거로 가르며 저잣마실을 다녀오는 하루도 책쓰기입니다. 별빛도 햇빛도 꽃빛도 책처럼 읽고 글처럼 씁니다.


  우리를 둘러싼 숨결은 모두 삶이니, 이 삶을 읽어 삶책이에요. ‘곁책’이라고 할 적에는 종이책만 가리키지 않습니다. 살림책도 아이책(아이를 돌본 삶)도 있으며, 바람책과 흙책도 있어요. 슬기로이 읽어 어질게 나누는 참한 어른으로 나아가는 길에 곁책 한 자락이 태어납니다. 우리 손과 발로 우리 오늘책을 지어 봐요.


ㄱ. 오늘 이곳에서 어른으로서 즐겁게 읽고 곁에 둔 다음, 앞으로 어른으로 자라날 어린이가 나중에 곁에 두어 길동무로 삼으며 생각에 새롭게 꽃날개를 달도록 북돋우는 책을 이야기합니다.


ㄴ. 여러 곁책을 ‘삶책(인문책)’, ‘숲책(환경책)’, ‘그림꽃책(만화책)’, ‘그림책’으로 갈라 30가지 책에 서른 가지 살림길을 돌아봅니다. 그리고 2017년부터 2021년까지 날마다 쓰는 ‘책하루(책일기)’ 가운데 110가지 남짓 뽑아서 오늘길을 짚습니다.


ㄷ. 시골과 숲과 서울과 큰고장(도시)이 사이좋게 어우러지는 길을 ‘곁책’에서 실마리를 찾아보려 합니다. 곁에 책을 두듯, 곁에 사랑어린 손길을 두고 슬기로운 눈길을 둡니다. 곁에 풀꽃나무를 두고, 곁에 어린이가 뛰놀 골목과 풀밭과 빈틈을 둡니다.


ㄹ. 오늘 한 벌 읽고서, 다음달에 두 벌 읽고, 철이 바뀌면 석 벌 읽고, 해가 바뀌면 넉 벌을 읽어, 다섯 해 뒤나 열 해 뒤에도 꾸준히 새롭게 새길 이야기를 곁책 한 자락에서 길어올립니다.


ㅁ. 

곁에 두는 사랑, 곁사랑입니다.

곁에서 그리는 님, 곁님입니다.

곁에서 푸른 숲, 곁숲입니다.

곁에서 정갈한 글, 곁글입니다.

곁에서 싱그러운 말, 곁말입니다.

곁에 두고 새기는 다짐, 곁다짐입니다.

곁짝과 곁살림을 지으며 읽는 곁책입니다.

우리는 모두 곁님이요 숲빛입니다.


《곁책》

숲노래 밑틀, 최종규 글·사진, 스토리닷, 2021.7.7. 18000원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며 숲집을 가꾸는 넋으로 마흔 몇 해 곁에 둔 책입니다

시골에서도 서울이나 큰고장이나 숲에서도 함께 오롯이 사랑으로 읽을 책입니다

“모든 책은 숲에서 왔고, 우리는 누구나 숲”이라고 노래하는 눈빛에 책입니다

알차거나 뜻깊은 책도 안 나쁘지만 아름다우며 착하고 푸른 책을 아이랑 읽어요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2년 5월 24일 화요일 19시,

인천 배다리 마을책집 〈나비날다〉에서

‘우리말 어원 이야기 강좌’를 폅니다.

인천 배다리에서는 5·6·7·8·9월,

이렇게 다섯 달에 걸쳐 다달이 폅니다.


우리말 어원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전국 어디에서나 하루이든 여러 달에 걸쳐

꾸준히 자리를 마련하든

즐겁게 찾아갈 수 있습니다.


이야기를 누리고 싶은 주제가 있다면

어느 주제이든 골라 주시면 됩니다.

큰 주제는 20가지를 꾸렸고

작은 주제는 14가지를 꾸려 봅니다.


삶말(생활용어)에서 찾고 배우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hbooklove@naver.com 이나

010.5341.7125. 로 물어보시면 됩니다.

고맙습니다.

.

.

우리말 참뜻찾기 이야기밭

― 우리말꽃 수다마당(우리말 어원풀이 이야기)


우리가 쓰는 말은 어떤 말밑(어원)이면서 어떤 흐름으로 이어서 오늘에 이르렀을까요? 우리는 우리말을 얼마나 알까요? 늘 쓰는 말이지만 늘 제대로 못 보거나 못 느끼는 채 살아가지는 않을까요?


쉽게 쓰는 말은 사랑(평화·평등·공존·생명)입니다. 어린이부터 누구나 쉽게 쓰는 말에는, 우리가 먼먼 옛날부터 손수 짓고 나누면서 물려주고 가꾸던 숨결이 흐릅니다. 우리가 쓰는 가장 쉽고 수수한 낱말에 어떤 마음·숨길·넋·빛·삶이 사랑스레 깃들었을까요?


우리말을 바르게 쓰는 길도 안 나쁩니다만, 이보다는 우리말을 사랑스레 쓰고 아름답게 가꾸며 즐겁게 펴는 길을 노래할 적에 그야말로 빛나는 하루를 스스로 이루리라 생각합니다. 모든 말은 삶에서 비롯했기에, 우리가 어떤 삶이며 예부터 어떤 살림이었나 하고 읽을 적에, 글쓰기도 말하기도 새록새록 빛날 만해요. 그래서 “우리말 참뜻을 함께 나누고 익히면서 사랑스레 말하기”를 들려주고 듣는 이야기밭을 꾸립니다.



※ 인천 배다리 〈나비날다〉에서

5월 : 고치·고·곳·구두·꽃·곱·굽 (장소 이야기)

6월 : 글·그림·길·가다 (문학 이야기)

7월 : 말·마음·넋·얼·물 (정신 이야기)

8월 : 삶·사람·살림·사랑·숲 (환경 이야기)

9월 : 참·착하다·차다·찬·천 (진리 이야기)



※ 더 너른 이야기

(창조 이야기) : 집·짓·짐·마련·만듦

(생활 이야기) : 심다·씨·힘·실·신·씻다

(남녀 이야기) : 돌·달·딸·아들·알·갓·벗

(우주 이야기) : 하늘·한·해·함·할

(관계 이야기) : 나·너·왼·오·님·놈·남·우리

(생명 이야기) : 눈·싹·움·비·빛·빚

(노동 이야기) : 일·놀이·심부름·잇·이야기

(자연 이야기) : 풀·품·풀다·파란·불·붓

(사회 이야기) : 허울·헛·허튼·허름·헌·허전·허물

(치유 이야기) : 쉬다·쉽다·수월·숨·술술·살살

(이웃 이야기) : 새·틈·동무·동박새·옆·곁

(숫자 이야기) : 셈·하나·열·온·즈믄·골·잘·울

(미래 이야기) : 감·길·갈래·가운데·가시·갈다

(병원 이야기) : 살구·살·구슬·살갗·살다·살강·살살이꽃

(신체 이야기) : 보다·보·봄·보리·지·잣·젖·자랑



※ 낱낱 곁들이

― ‘고래’는 왜 고래일까?

― ‘수박’은 왜 수박일까?

― 왜 ‘우람’하다고 하지?

― ‘이름’은 무슨 뜻일까?

― ‘옷’은 왜 옷일까?

― ‘생각’이란 뭘까?

― ‘배우다·익히다’는 뭘까?

― 봄여름가을겨울 네 ‘철’은?

― 새하늬마높(동서남북) 밑뜻은?

― ‘좋다’와 ‘사랑’은 왜 다르지?

― ‘아이’랑 ‘어른’은 뭘까?

― ‘너무’는 뭘까?

― ‘터무니’가 없다니?

― ‘쏠’은 뭘까?



이야기 : 숲노래(최종규)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 그림은

'숲노래 지은책'에 올려놓습니다


+ + +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2.5.15. 옭매듭 책묶기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새책집을 다닐 적에는 ‘책묶기’를 구경도 못 했고, 배울 일이 없었습니다. 헌책집을 다니다가 ‘책묶기’를 늘 보았고, 차근차근 배웠습니다. 저한테는 모든 헌책집지기가 스승입니다. 다 다른 헌책집지기는 저마다 손길과 아귀힘과 키와 가게에 맞게 책묶기가 살짝살짝 달라요. 마땅하지요. 키가 큰 사람하고 작은 사람이 똑같이 묶을 수 없고, 똑같은 뭉치를 나를 수 없습니다.


  제가 쓰는 ‘옭매듭 책묶기’는 “서울 용산 뿌리서점 + 서울 노량진 진호서점 + 인천 배다리 아벨서점 + 서울 이문동 신고서점 + 서울 연신내 문화당서점 + 서울 홍제동 대양서점” 지기님한테서 물려받은 손길을 제 몸하고 키에 맞게 살짝 가다듬었습니다.


  지난 2022년 5월 2일에 대구 마을책집 〈북셀러 호재〉에 들른 날, 호재지기님한테 ‘옭매듭 책묶기’를 보여주었는데, 마침 이때 그림으로 찍혔어요. 책묶기를 그동안 허벌나게 해왔는데 책묶기를 찍혀서 건사한 그림은 처음입니다. 고맙습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

다가오는 2022년 5월 1일 16시에

경북 포항 〈달팽이책방〉에서

책수다 동시수다 글수다 살림수다 ……

이야기판을 꾸립니다.


즐겁게 홀가분히 사뿐사뿐

나들이 오셔서 봄날 한낮과 저녁을

함께 누려요.

.

.

너랑 나랑 함께 노래

동시전시 (아이하고 어버이가 짓는 삶노래)

- 곳 : 포항 〈달팽이책방〉

- 때 : 2022.5.1.∼5.28.

- 책수다 : 2022.5.1.16시∼

.

.

즐겁게 뛰놀고픈 아이를 사랑하면서,

어른으로서 스스로 노래하려고,

마음을 살며시 옮긴 열여섯 줄로,

함께 이야기하고픈 살림빛을.

.

.

우리 집 아이들이 제법 자라서 이제 어린이가 아닌 푸름이(청소년)라 할 터라도 애써 노래꽃(동시)만 쓰는 뜻이 있어요. 저는 ‘어른시’는 안 쓸 생각입니다. 어린이하고 어깨동무하는 노래만 쓸 생각입니다. 어릴 적부터 스스로 얼마나 짙푸르게 싱그러우면서 해맑은 숨결인가 하고 스스로 느끼는 시골아이에 서울아이로 자라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그리고 시골어른하고 서울어른 누구나 ‘몸은 어른’이더라도 ‘마음은 늘 하늘빛인 아이다움’을 나란히 품으면서 살아가는 이웃이라고 여기는 마음입니다.


함께 노래꽃(동시)을 쓰고 읽으면서, 우리가 스스로 “노래하는 꽃”으로 오늘을 살아가 보시면 어떨까요?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는 삶이지만, 굳이 더 쉽게 쓸 생각도, 구태여 어렵게 쓸 뜻도 없습니다. 우리 살림새를 고스란히 담아낸 오랜 낱말 하나에 제 삶과 살림과 사랑을, 스스로 푸른사람으로 꿈꾸자는 마음을 실어서 새롭게 짓는 낱말 하나를 가만히 곁에 놓고서 글을 쓰고 노래를 할 생각입니다.


착한노래를 바라는지 모릅니다. 마음노래가 날아오르기를 바라는지 모릅니다. 어디에서나 풀숲노래가 흐르기를 바라는지 모릅니다. 다만, 남한테 바라고 싶지 않아요. 이 노래꽃이 언제나 저한테부터 먼저 푸르게 숲노래로 깃들면서 스스로 숲말을 쓰고 숲길을 걸으며 숲빛으로 속삭이는 하루이기를 꿈으로 그립니다. 고맙습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

MBTI를 처음으로 해보다.

뭘 이리 자잘한 얘기를 묻고서

사람을 열여섯 갈래로 나누나

아리송하지만,

곁님이 

‘오늘날 사람들은 생각이 없잖아?’

하고 말하기에

백예순이나 천육백이 아닌

열여섯 갈래로 마음결을

가를 수도 있겠다고 느꼈다.


INFJ-A 라고 나온다.


열여섯 가지 가운데 가장 드물고

돌이로서는 더욱 드물다고 한다.


뭐,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는 사람이란

우리나라에 열손가락으로 꼽을 수 있나?

아니 다섯손가락으로 겨우 꼽지 않을까?

0.8퍼센트가 아닌 0.0008퍼센트가 아니라서

놀랐다.


자기주장 97퍼센트 : 신중 3퍼센트...

에서 웃었다.

100퍼센트가 아니잖아?


직관 에너지 88퍼센트 : 현실주의 12퍼센트...

에서 갸우뚱했다.

뭐, 아이를 돌보면서 살림을 꾸리니까

돈(현실)을 생각 안 할 수 없으니

몇 퍼센트 있을 만한데

2퍼센트 아닌 12퍼센트나 있다고?


ㅅㄴㄹ

#MBTI #INFJ-A #INFJA

#숲노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