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한 친구 정원 그림책
이치카와 사토미 지음, 윤정숙 옮김 / 봄의정원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3.11.11.

그림책시렁 1212


《영원한 친구》

 이치카와 사토미

 윤정숙 옮김

 봄의정원

 2019.9.19.



  어린이는 언제 어디에서나 놉니다. 놀기에 어린이요, 놀며 노래하기에 어린이입니다. 놀지 않으면 어린이가 아닙니다. 노래하지 않으면 어린이일 수 없어요. 둘레를 봐요. 요새 어린이는 어떤 얼굴에 몸짓인가요? 까르르 깔깔 하하호호 히히 웃고 노래하며 홀가분히 뛰고 달리는 어린이인가요? 입만 열었다 하면 온갖 사납고 고약한 ‘꼰대(어른 아닌 사람) 말씨’가 마구 튀어나오는 철없는 어린이인가요? 《영원한 친구》를 읽으며 애틋합니다. 그야말로 어린이를 어린이답게 상냥하며 사랑스레 그려냅니다. 좀 어려운 말로 “영원한 친구”로 이름을 붙였습니다만, “언제나 동무”인 어린이예요. 우리말 ‘동무’란 “돌볼 줄 알며, 모난 데 없는 동그라미처럼 둥글둥글 어우러지는 물빛으로 함께 나아가며 노래하는 사이”를 가리킵니다. 새싹이 돋듯 함께 자라나는 사이인 ‘동무’예요. 이따금 두 무리로 나누어 놀기도 하지만, 으레 짝을 바꾸면서 누구라도 활짝 웃으면서 신나는 자리를 이루는 어린이입니다. 그러나 ‘어른 아닌 꼰대’를 봐요. 어른 아닌 꼰대는 여러 무리로 갈린 채 서로 싸우고 빼앗고 마구 헐뜯습니다. 모두 아기로 태어나 어린이로 자랐을 텐데, 언제나 동무로 어울리며 웃고 사랑하는 마음은 어디로 사라졌을까요?


#いちかわさとみ #市川里美 #IchikawaSatomi #みんなともだち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겨울 이불
안녕달 지음 / 창비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3.11.11.

그림책시렁 1305


《겨울 이불》

 안녕달

 창비

 2023.1.9.



  예나 이제나 아이를 안 아끼는 어버이는 으레 때리거나 들볶거나 소리를 지릅니다. 예전에도 오늘날에도 길이나 배움터나 마을에서 ‘억눌리거나 짓밟히는 아이’를 수두룩하게 봅니다. 바깥마실을 하며 살짝 다리쉼을 하느라 해바라기를 하면서 책을 읽노라면, 시골 읍내 놀이터에서도 서울 한복판 잿마을(아파트 단지) 놀이터에서도, ‘아이를 데리고 놀이터에 억지로 끌려나왔다가 채 3∼5분이 지나지 않았’는데 아이한테 “야! 이제 가자! 안 가? 그럼 너 혼자 있어! 난 간다!” 하고 확 등돌리는 젊은 엄마아빠가 꽤 많더군요. 이 모습을 보며 늘 놀라지만, 곰곰이 보면 ‘요즈음 젊은 엄마아빠가 어린이로 자라던 무렵’에도 이녁 어버이가 똑같이 ‘같이 안 놀았겠구나’ 싶더군요. 《겨울 이불》을 읽었습니다. 어쩐지 따뜻하면서 살가이 하루를 보내는 작은마을 살림살이 같습니다. 오늘날 서울하고 시골을 보면 아이들은 쉴 곳도 놀 짬도 없고, 어른들마저 숨돌릴 곳이나 아이랑 어울릴 터전이 없기 일쑤인데, 그림책에서만큼은 별나라 같습니다. ‘좋게좋게’ 그리는 얼거리가 나쁠 일은 없으나 썩 매끄럽지는 않아요. 꼭 뭘 먹거나 어딜 가야 할까요? ‘놀이’란 맨손에 맨발에 맨몸으로 달리고 뛰고 나무타기를 하던 땀노래 아닌가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행이야
강미야 지음 / 학교앞거북이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3.11.11.

그림책시렁 1306


《다행이야》

 강미야

 학교앞거북이

 2023.9.1.



  어린이는 대단합니다. 어버이나 어른이 어린이를 돌보는 살림일 텐데, 어린이는 저보다 작은 뭇숨결을 돌보거나 아끼거나 품으려는 마음을 펴요. 어린이는 달팽이를 돌보고 싶습니다. 어린이는 개미에 거미를 보살피고 싶습니다. 어린이는 사마귀에 메뚜기에 잠자리를 풀어놓고 싶습니다. 어린이는 길고양이에 길개도 데려와서 품고 싶어요. 이 상냥하며 따사로운 마음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어진 사람인 어른다울까요? 이 곱고 착한 마음씨를 어떻게 쓰다듬을 줄 알 적에 어버이라고 여길 만할까요? 《다행이야》는 버림개(유기견)를 품는 줄거리를 들려줍니다. 오늘날에는 집에 개나 고양이를 품는 분이 많아요. 워낙 사람하고 안 살던 개나 고양이인 터라, 또 개나 고양이하고 함께 살더라도 집안으로 안 들이고서 마당에서 따로 살도록 ‘개집’을 놓고 ‘고양이 둥지’를 놓았는데, 요새는 ‘마당 없는 잿집(아파트)’에서 다들 살아가다 보니, 이를테면 ‘뒤가림(배변훈련)’을 시킵니다. 요샛사람은 개나 고양이가 뒤가림을 마땅히 해야 한다고 여기지만, 개나 고양이로서는 몹시 버거워요. 개도 고양이도 흙땅과 풀숲에서 조용히 뒤를 보던 숨결이거든요. ‘품기’만으로는 ‘함께살기’이지 않습니다. 우리는 어떤 집에 어떤 마을을 이루는가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둠 속에 혼자서 생각하는 분홍고래 21
콘스탄체 외르벡 닐센 지음, 외위빈 토르세테르 그림, 정철우 옮김 / 분홍고래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3.11.11.

그림책시렁 1307


《어둠 속에 혼자서》

 콘스탄체 외르벡 닐센 글

 외위빈 토르세테르 그림

 정철우 옮김

 분홍고래

 2022.3.22.



  어느 곳에서든, 어린이 곁에 어른이 있던 나날입니다. 어느 마을에서건, 어른이라면 어질게 어린이를 품고 돌보던 살림입니다. 나라(정부)가 있기 앞서까지 누구나 스스로 보금자리를 일구어 오순도순 집안을 일구면서 마을살이가 조촐했습니다. 나라가 선 뒤로 숱한 사내는 나라지기 곁으로 모여서 싸울아비 노릇을 했고, 어느새 온누리 어디나 어린이가 마음껏 뛰놀 터전이 줄어듭니다. 이제 어린이는 집하고 배움터(학교·학원) 사이를 쇳덩이(자동차·버스)에 실려 오가는 얼거리입니다. 호젓하게 골목이나 마을에서 뛰노는 아이가 감쪽같이 사라집니다. 잿더미(아파트 단지)에 조그맣게 세운 놀이터 바깥을 벗어날 수 없는 아이들이에요. 《어둠 속에 혼자서》는 아이가 ‘오름틀(승강기)’에 갇히면서 힘든 한때를 보내는 줄거리를 들려줍니다. 오름틀이 갑자기 멎는 바람에 아이는 깜짝 놀라고 무섭지만, 씩씩하게 견딘다지요. 곰곰이 보면 온누리 모든 아이들은 ‘집과 배움터 사이에 갇힌 사슬’에서도 씩씩하게 버팁니다. 마음이 까맣게 타들지만 좀처럼 속내를 털어놓지 못 하면서 맴돌이를 합니다. 새카맣게 타버린 아이들 마음을 누가 들여다볼까요? 우리는 언제쯤 마당이며 마을에서 쇳덩이(자동차)를 치울까요? 이 사슬을 누가 풀까요?


ㅅㄴㄹ


+


갑자기 깜깜해졌어요

→ 갑자기 깜깜해요

1


아이는 어둠 속에 혼자 있어요

→ 아이는 어둔 곳에 혼자 있어요

1


이미 집에 도착했어야 해요

→ 이미 집에 있어야 해요

→ 집에 일찍 닿아야 해요

11


아이가 어둠을 무서워하는 걸 알아요

→ 아이가 어두우면 무서운 줄 알아요

16


정적만 흐를 뿐이에요

→ 고요하기만 해요

→ 아뭇소리가 없어요

22


물의 흐름만 조심하면 괜찮아

→ 물흐름만 살피면 돼

→ 물줄기만 헤아리면 돼

35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빼앗긴 사람들 지양어린이의 세계 명작 그림책 50
아민 그레더 지음, 윤지원 옮김 / 지양어린이 / 2018년 2월
평점 :
품절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3.11.5.

그림책시렁 1304


《빼앗긴 사람들》

 아민 그레더

 윤지원 옮김

 지양어린이

 2018.2.5.



  낯설기에 남입니다. 내(나)가 아닌 떠돌이를 나그네라고 합니다. 한우리에 깃들어도 다 다른 나인 남이 모여요. 한우리 바깥이어도 나 아닌 남이요, 둘은 서로 다투거나 싸워야 할 까닭이 없어요. 들을 봐요. 어느 풀꽃도 안 싸웁니다. 다 다른 풀꽃은 뿌리를 서로 얽으며 흙을 단단히 쥡니다. 조그맣고 여린 풀꽃이지만, 뿌리를 서로 얽기에 어떤 돌개바람이나 회오리바람이 쳐도 흙을 붙잡고서 들이 푸르게 잇는 밑바탕을 이룹니다. 또한 풀꽃은 저마다 다른 철과 날에 줄기를 올려 꽃을 피우지요. 《빼앗긴 사람들》은 팔레스타인하고 이스라엘이 얽힌 기나긴 삶 가운데 요 온해(100년) 사이를 들려줍니다. ‘더 옛날부터 살던’ 사람을 따진다면, 그곳은 팔레스타인 사람들만 살아야 맞습니다. ‘더 오랫동안 살던’ 사람을 살핀다면, 거기는 팔레스타인 터전이 맞습니다. 함께 살아갈 ‘두 겨레 한 나라’를 일굴 만했으나, 총칼을 쥔 이들은 힘으로 짓밟았어요. 다만, 어느 쪽에서 우격다짐으로 마구 죽이고 거꾸러뜨린대서 똑같은 짓을 한다면 그만 불수렁에 갇혀요. 지난날 윤봉길 님이나 안중근 님은 ‘싸울아비·우두머리’만 노렸습니다. 힘(권력)을 거머쥔 이들은 순이돌이(평민)를 허수아비로 몰아세웁니다. 우리는 나인가요 남인가요?


#GliStranieri #ArminGreder

이방인 낯선 남


+


《빼앗긴 사람들》(아민 그레더/윤지원 옮김, 지양어린이, 2018)


살아온 이야기를 잊지 않기 위해서

→ 살아온 이야기를 잊지 않으려고

→ 살아온 이야기를 잊지 않도록

→ 살아온 이야기를 잊지 않게끔

3


몰아치는 폭풍을 뚫고 한 무리의 낯선 사람들이 찾아왔어요

→ 몰아치는 바람을 뚫고 낯선 사람들이 찾아왔어요

→ 돌개바람을 뚫고 낯선 무리가 찾아왔어요

4


먼 옛날 이곳은 우리의 땅이었소

→ 먼 옛날 이곳은 우리 땅이었소

9


이리저리 떠돌면서 고생을 많이 했소

→ 이리저리 떠돌면서 힘들었소

→ 이리저리 떠돌면서 고단했소

9


이 땅에서 편히 살고 싶소

→ 이 땅에서 고이 살고 싶소

→ 이 땅서 아늑히 살고 싶소

9


낯선 사람들은 먼저 묘지를 만들고 신께 무릎 꿇고 기도했어요

→ 낯선 사람들은 먼저 무덤을 파고 님한테 무릎 끓고 빌어요

→ 낯선 사람들은 무덤부터 세우고 님한테 무릎 끓고 비손해요

12


대대로 이 땅에서 살았던 많은 사람들이 죽고

→ 예부터 이 땅에서 살던 숱한 사람들이 죽고

→ 두고두고 이 땅에서 살던 사람들이 잔뜩 죽고

13


땅을 차지한 사람들은 점점 잘살게 됐어요

→ 땅을 차지한 사람들은 차츰 잘살아요

14


잘살게 되면서 사람 수도 늘어났어요

→ 잘살면서 사람도 늘어나요

15


건물을 더 많이 짓는 것은 당연한 일 아니겠소

→ 집을 더 많이 지어야 하지 않겠소

→ 집을 더 지을 수밖에 없지 않겠소

15


쫓겨난 사람들은 항의했지만, 아무도 들어주지 않았어요

→ 쫓겨난 사람들은 따졌지만, 아무도 들어주지 않았어요

16


이 담장은 우리를 지키기 위한 것입니다

→ 이 담은 우리를 지켜줍니다

→ 이 담벼락은 우리를 지킵니다

23


담장은 점점 높아졌어요

→ 담을 더 높이 쌓아요

→ 담벼락을 더 올려요

24


지금의 담장도 언젠가 사라진다는 것을

→ 이 담벼락도 언젠가 사라지는 줄

30


저들도 그 사실을 곧 알게 되리라는 것을

→ 저들도 곧 안다고

30


사랑의 꽃을 증오의 불꽃으로 바꿔 버리는 마술을 부려 왔습니다

→ 사랑꽃을 미움불꽃으로 바꿔 버리는 짓을 부려 왔습니다

31


너와 나를 편가르고, 선과 악의 굴레를 덧씌워 미움과 전쟁으로 몰고가는, 그들은 과연 누구일까요

→ 너와 나를 가르고, 착하고 나쁘다는 굴레를 덧씌워 미움과 싸움으로 몰고가는, 그들은 누구일까요

31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