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 사귀기 김영진 그림책 8
김영진 글.그림 / 길벗어린이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3.12.25.

그림책시렁 1330


《친구 사귀기》

 김영진

 길벗어린이

 2018.3.20.



  시골에는 아이가 없는 마을이 수두룩합니다. 땅뙈기는 서울보다 크지만, 어린이·푸름이는 얼마 안 되는 시골이 늡니다. 시골에서는 또래찾기를 안 할 만합니다. 또래가 있어도 꽤 먼 마을에 떨어지기 일쑤입니다. 지난날에는 서울이건 시골이건 어느 마을·골목이건 어린이가 넘실거렸어요. 어린이가 많던 지난날에는 아이어른 누구나 걸어서 다녔습니다. 어린이가 서울에 쏠린 오늘날에는 이제 거의 다 부릉부릉 내달리는 메마르고 싸늘한 수렁으로 바뀝니다. 《친구 사귀기》를 곰곰이 읽었습니다. ‘서울 + 아파트 + 자가용 사회 + 초등학교’라는 넷을 엮으면 이런 줄거리가 나오는군요. 어느 모로 보면 “거의 모든 어린이가 큰고장·서울에 쏠린 오늘날에 걸맞는 그림책”일 테지만, 막상 “어린이가 어린이답게 스스로 뛰놀고 꿈꾸면서 들숲바다를 품는 소꿉살림하고는 까마득하게 먼 쳇바퀴”로구나 싶습니다. 예전에는 가까이에서 얼굴을 보며 서로 마음에 드는 하루를 누리기에 ‘사귀다’라고 했다면, 이제는 얼굴을 자주 안 보거나 멀리 떨어졌더라도, 마음으로 아끼고 헤아리는 사이로 있기에 ‘사귀다’라 할 만합니다. 사람만 동무일 수 없습니다. 나비랑 새도 동무입니다. 돌과 빗물도 동무입니다. 눈을 넓게 뜨기를 바라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끝말잇기 김영진 그림책 17
김영진 지음 / 길벗어린이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3.12.25.

그림책시렁 1331


《끝말잇기》

 김영진

 길벗어린이

 2023.10.6.



  ‘김영진 그림책 17’으로 나온 《끝말잇기》를 보았습니다. 시골에서 살아가는 우리 집에서는 안 들여다보는 줄거리 가운데 하나입니다. 마당하고 뒤뜰이 있는 시골집에서 살아가는 하루는 늘 새롭고, 멧새하고 풀벌레가 노상 노래를 들려줍니다. 겨울이면 풀벌레가 흙으로 돌아가고서 바람이 새록새록 노래하지요. 두 아이를 돌보는 아버지로 살아가는데, 저는 아이들하고 끝말잇기를 한 적이 없습니다. 그저 우리말을 들려주고, 살림살이를 이야기합니다. 언제나 온갖 말로 서로 생각을 나누다 보니, 구태여 끝말잇기를 할 일이 없더군요. 다만, 제가 어릴 적에는 어머니하고 저잣마실을 하러 먼먼 길을 짐꾼으로 함께 걸어서 다녀오며 으레 끝말잇기라든지 여러 말놀이를 했어요. 그림책 《끝말잇기》에 나오는 낱말은 너무 서울스럽습니다. 잿집에서 살고, 쇳덩이를 몰다가, 이레끝에 겨우 뒷골을 오르고서 순댓국을 먹는 얼개이니, 이 틀에서 벗어나기 어렵겠지요. 그러나 따분합니다. 꼭대기까지 길(산책로)만 따라가야 할 뿐이고, 푸나무를 느낀다거나 푸나무랑 수다를 하지 못 하는 마음도 심심합니다. 서울에서는 어쩔 길이 없을까요? 서울 아이는 아빠랑 고작 이렇게 순댓국 사먹기로 마무리를 해도 즐거울까요? 풀빛을 등지며 뭘 배울까요?


+


어떤 아이는 순댓국이나 김치를 잘 먹을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아이가 순댓국이나 김치를 먹지는 않는다. 어른이어도 순댓국과 김치를 못 먹는 사람이 꽤 있다. 이 그림책을 읽은 어버이가 아이들한테 섣불리 순댓국이나 매운찌개나 김치를 먹이지 않기를 빈다. 적잖은 아이들은 매운것이 입에 닿으면 재채기를 하다가 사레가 걸린다든지 배앓이를 한다. 누구한테는 옛생각(추억)이 나는 순댓국일 수 있으나, ‘어른 눈길 옛생각’을 바탕으로 아이들한테 ‘먹을거리 이야기’를 함부로 들이밀지는 않아야 할 노릇이라고 본다.


ㅅㄴㄹ


+


운전 조심해서 와

→ 천천히 몰아서 와

→ 찬찬히 몰고 와

1


탁자 위를 보고 깜짝 놀랐어요

→ 자리를 보고 깜짝 놀랐어요

2


열 개가 껍질만 남아 있었거든요

→ 열 알이 껍질만 남았거든요

2


등산이 싫었어요. 힘들고 지루했거든요

→ 멧길이 싫어요. 힘들고 따분하거든요

→ 멧골타기가 싫어요. 힘들고 심심해요

3


아빠의 말에 그린이가 눈을 반짝였어요

→ 아빠 말에 그린이가 눈을 반짝여요

4


처음부터 그러면 반칙이야

→ 처음부터 그러면 나빠

→ 처음부터 그러면 얄궂어

4


산에 오르는 게 덜 힘들게 느껴졌어요

→ 멧길이 덜 힘들어요

→ 멧골타기가 그리 힘들지 않아요

4


정상까지 온 거야

→ 꼭두까지 왔어

→ 높이 올라왔어

10


엄마, 나 아빠랑 뒷산 정상에 왔어

→ 엄마, 나 아빠랑 뒷골 마루에 왔어

→ 엄마, 나 아빠랑 멧꼭대기에 왔어

11


별로 안 힘들었어

→ 그리 안 힘들었어

→ 안 힘들었어

11


순댓국 두 개 주세요

→ 순댓국 두 그릇이요

20


같이 먹으니 더 맛있었어요

→ 같이 먹으니 더 맛있어요

24


멀리 외출을 하던 날이었는데

→ 멀리 나간 날인데

→ 멀리 다녀온 날인데

24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안녕 빠이빠이 창문
노튼 저스터 지음, 크리스 라쉬카 그림, 유혜자 옮김 / 삐아제어린이 / 2006년 3월
평점 :
품절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3.12.25.

그림책시렁 1252


《안녕 빠이빠이 창문》

 노턴 저스터 글

 크리스 라쉬카 그림

 유혜자 옮김

 삐아제어린이

 2006.3.1.



  저마다 조촐하게 보금자리를 이루며 살아가던 무렵에는 어른 사이에서는 이웃으로 살고, 아이 사이에서는 동무로 어울렸습니다. 우리 삶터는 아주 빠르게 마을이 사라졌어요. 잿더미로 높다랗게 올려세운 겹집마다 ‘○○마을’ 같은 이름을 붙이지만, 정작 그곳에 마을인 적은 없습니다. 마을이라면 모든 집이 고르게 햇볕을 나누어 쬘 뿐 아니라, 아이들이 나무타기를 하고, 어른들이 마당에서 두레나 품앗이를 하면서 두런두런 이야기꽃을 피워요. 마을이 아니기에 담벼락이 단단하고, 부릉부릉 매캐하며, 어린이놀이가 감쪽같이 사라집니다. 《안녕 빠이빠이 창문》은 한껏 뛰놀며 자라고 싶은 아이가 어른들 사이에서 어떻게 하루를 보내는지 상냥하면서 포근하게 보여줍니다. 아이는 가리지 않고 가르지 않습니다. 아이는 나아가고 달려갑니다. 아이는 나이를 안 따집니다. 아이는 돈도 이름값도 얼굴도 몸매도 안 살핍니다. 아이는 오직 신나게 누리는 하루를 함께 어울릴 어른하고 동무를 헤아립니다. 우리는 서로 손을 흔들며 반기고 노래하는 보금자리에 마을인가요? 이제 아무도 손을 안 흔들고 안 쳐다보고 배움터(학교·학원) 뺑뺑이만 돌리는 쳇바퀴이지 않나요? 마을을 되찾고, 풀꽃나무를 품어야, 아이를 비로소 낳아 돌볼 만합니다.


#TheHelloGoodbyeWindow #NortonJuster #ChrisRaschka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눈에 펼쳐보는 세계 지도 그림책 한눈에 펼쳐보는 그림책
최선웅 글.지도, 이병용 그림 / 진선아이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3.12.25.

그림책시렁 1329


《한눈에 펼쳐보는 세계 지도 그림책》

 최선웅 글

 이병용 그림

 진선아이

 2011.9.22./2023.3.15.



  푸른별은 온누리로 치면 안 크다고 여길 수 있지만, 걸어서 다닌다면 꽤 넓다고 여길 만합니다. 푸른별을 두루 걸어서 다니노라면, 나라를 가르는 금이 덧없도록 한마을이라고 느끼게 마련입니다. 전남 고흥에서 서울로 바깥일을 다녀올 적에는 길에서 일곱 시간쯤 가볍게 보냅니다. 시골은 어디나 읍내가 작아요. 논밭하고 멧자락하고 바다가 넓습니다. 시골하고 서울 사이도 큰고장은 여럿이되, 시골이며 멧자락이 훨씬 넓어요. 서울은 빈터나 풀밭을 찾기 어려울 만큼 빽빽하게 잿더미이지만, 우리나라로 쳐도 들숲바다가 훨씬 넓게 품고 달랩니다. 《한눈에 펼쳐보는 세계 지도 그림책》을 작은아이하고 여러 달 동안 들여다보았습니다. 어린이가 볼 만한 길그림책이 제법 나오는 듯싶으면서도 정작 나라하고 겨레마다 어떻게 다르게 살림을 짓는가 하는 얼거리를 제대로 보여주지는 못 한다고 느껴요. 다들 ‘익숙하다’고 여기는 틀로 여러 나라를 짚어요. 이른바 ‘문화·사회·정치·경제’를 ‘마을’이나 ‘시골’이나 ‘들숲바다’를 바탕으로 헤아리지 않더군요. 온나라 길그림책은 “푸른별을 죽죽 가른 금”이 얼마나 덧없는지 얼마나 보여줄 수 있을까요? 길그림에만 금이 있을 뿐, 고을 사이도 사람 사이도 쩍쩍 가를 수 없어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꽁꽁꽁 피자 그림책이 참 좋아 69
윤정주 지음 / 책읽는곰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3.12.19.

그림책시렁 1327


《꽁꽁꽁 피자》

 윤정주

 책읽는곰

 2020.7.17.



  큰고장에 나오면 얼핏설핏 놀랍니다. “와, 서울에서는 밭이 없고 논을 몰라도 다 배불리 먹는구나!” 같은 말이 절로 나와요. 그렇지만 시골에서 나고자란 어린이랑 푸름이를 만나서 얘기하다 보면, 시골내기조차 논이나 밭을 거의 모르거나 아예 모릅니다. 적잖은 시골 어린이는 ‘벼’라는 낱말조차 모르고, 시골 푸름이인데 ‘볍씨’라는 낱말마저 모르기 일쑤입니다. 논밭도 모르고 벼랑 볍씨를 몰라도 다들 밥을 먹습니다. 아니, 요새는 ‘밥’이 아닌 ‘급식’을 먹느라 ‘도시락’이란 낱말은 그릇국수 이름인 줄 여기는 아이들조차 수두룩해요. 《꽁꽁꽁 피자》를 몇 해 앞서 읽고서 조용히 내려놓은 적 있습니다. 문득 다시 읽었으나 또 내려놓았습니다. 꽁꽁꽁이라고 나오는 그림책이 몽땅 서울내기한테 맞춘 줄거리이기는 하지만, 이렇게 철이 없고 날을 모르고 달을 등지고 해를 잊은 채 쳇바퀴를 도는 얼거리라면, 어린이는 킥킥 하하 웃고 나서 무엇이 남을까요. 서울이며 서울곁은 스스로 빛(전기)을 뽑아내지도 못 하기에 먼먼 시골에서 끌어당깁니다. 온나라가 빛줄(송전선)이 빼곡합니다. 둘레를 헤아리는 마음부터 꽁꽁 얼었고, 풀꽃나무에 들숲바다를 품는 마음은 아예 꽁 걸어잠갔습니다. 이 아이들은 앞으로 어떻게 자랄까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