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하르트 그루노브 엮음, 『칼 바르트의 신학묵상』, 이신건·오성현·이길용·정용섭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0(초판 2쇄).
그러므로 두 번째 문장에서 “내가”라는 말은 확실히 교회의 동반자, 방관자를 뜻하거나 교회의 조력자만을 뜻하지 않습니다. 두 문장은 마태가 인용한 예수님의 마지막 말씀으로서 예수님이 제자들을 파송하시면서 주신 명령을 상기시킵니다. 그래서 두 문장은 예수님의 명령을 어떻게 수행할 것인지를 분명히 밝혀줍니다. 이제 시작되는 중간시기 동안에 예수님은 교회로부터 멀어지지 않고 교회와 함께하시기를 원하시며, 그렇게 하실 것이라는 말입니다.(125쪽)
→ 그러므로 두 번째 문장에서 “내가”라는 말은 확실히 교회의 동반자, 방관자를 뜻하거나 교회의 조력자만을 뜻하지 않습니다. 두 번째 문장은 마태가 인용한 예수님의 마지막 말씀으로서 예수님이 제자들을 파송하시면서 주신 명령을 상기시킵니다. 그래서 두 번째 문장은 예수님의 명령이 어떻게 수행될 것인지를 분명히 밝혀줍니다. 이제 시작되는 중간시기 동안에 예수님은 교회로부터 멀어지지 않고 교회와 함께하시기를 원하시며, 그렇게 하실 것이라는 말입니다.
독일어 원문: Und so kann «Ich» in der zweiten Stelle sicher nicht nur einen Begleiter, Zuschauer und gelegentichen Beistand ihrer Gemeinschaft bezeichnen, blickt sie doch als letztes vom Evangelisten angeführtes Wort Jesu zurück auf seinen den Jüngern gegebenen Befehl ihrer Sendung: offenbar um hervorzuheben, wie es zu dessen Ausführung kommen wird: indem nämlich Jesus selbst seiner Gemeinde in der ganzen nun anhebenden Zwischenzeit nicht fern, sondern unmittelbar gegenwärtig sein will und wird.
• 번역을 바로잡았다.
• blickt sie[=die zweite Stelle] [...] zurück auf seinen [...] Befehl
= 두 번째 문장은 그의 명령을 회상한다
• 두 번째 문장 = 마태복음 28:20
Denn siehe, ich bin bei euch alle Tage bis an der Welt Ende.
보라, 바로 내가 너희와 함께 있다. 날마다, 세상이 끝날 때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