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이 있을 적과 없을 적은 다르다. 아이들이 노는 모습을 바라볼 적과 돌볼 적은 다르다. 《사계절 생태놀이》라는 두툼한 ‘놀이책’을 2005년에 처음 만났다. 이무렵은 혼자서 시골에서 살 때라, 그러려니 하면서 훑고는 말았다. 아무래도 ‘책에 나오듯이’ 함께 놀 아이가 없었기 때문일까. 그렇지만, 아이가 없더라도 어른으로서 숲과 들과 멧골과 냇물에서 혼자 잘 놀면 되지. 꼭 놀이를 아이한테 보여주거나 가르치거나 물려주어야 하지는 않다. 누구한테나 보여주거나 가르치거나 물려주지 않아도 재미있는 놀이가 된다. 누구한테서 배우거나 듣거나 물려받지 않아도 새삼스레 새로운 놀이를 만들 수 있다. 가만히 보면, 놀이책을 옆에 놓고서 놀이를 배워야 하지는 않다. 스스로 놀면 되고, 스스로 놀이를 가꾸면서 살면 된다. 놀면서 살 때에 아름다운 나날이 되고, 놀면서 일할 적에 사랑스러운 꿈이 자란다. 놀이란 얼마나 좋은가. 봄과 여름과 가을과 겨울마다 다 다르게 누리는 놀이란 얼마나 기쁜가. 들과 숲과 바다와 냇가와 멧골마다 다 다르게 즐기는 놀이란 얼마나 아기자기한가. 4347.2.11.불.ㅎㄲㅅㄱ


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사계절 생태놀이 (합본)
붉나무 글.그림 / 길벗어린이 / 2005년 7월
36,000원 → 32,400원(10%할인) / 마일리지 1,800원(5% 적립)
양탄자배송
내일 밤 11시 잠들기전 배송
2014년 02월 11일에 저장



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볕바라기

 


나무와 풀과 꽃


곁에

이불과 기저귀와 치마


옆에

베개와 깔개와 인형
나란히

 

따사로운 볕
듬뿍 쐽니다.

 


4346.6.16.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입이 하나 늘다

 


  떠돌이 개는 아무래도 우리 집에서 눌러앉을 모양이다. 다른 데로 가지도 않는다. 가끔 집 둘레를 한 바퀴 어슬렁거리고, 마을도 한 바퀴 어슬렁거리는 듯한데, 이때에 먹이를 얻어먹는지 어쩌는지 알 길이 없다. 마을고양이는 갑작스레 나타는 개 한 마리 때문에 먹이가 줄고 쉼터도 빼앗긴다. 그동안 우리 집 평상이며 섬돌이며 옆밭이며 뒤꼍이며 마루 밑이며 모든 곳에 앉아서 해바라기를 할 뿐 아니라 아무 데나 똥을 누던 마을고양이는 떠돌이 개가 컹컹 짖는 소리에 꼼짝을 못 하고 내빼기만 한다. 그런데, 개는 쥐를 잡지 않으니, 마을고양이가 우리 집에 얼씬을 못하면 쥐가 우리 집에 몰리지는 않으려나.


  눌러앉으려는 떠돌이 개를 못 본 척할 수 없으니 끼니마다 먹이를 챙긴다. 그렇다고 하루 세 끼니를 주지는 않는다. 우리 식구가 하루 두 끼니 먹는 대로 떠돌이 개한테도 두 끼니를 준다. 국을 끓여 밥하고 비빈 뒤 소시지를 몇 점 썰어서 얹는다. 처음에는 밥이며 소시지를 모조리 비우더니, 이튿날부터는 소시지만 날름 집어먹는다. 쳇, 뭐 이런 놈 다 있나, 배불렀나 하고 여기며 그대로 둔다. 남은 밥그릇 비우지 않으면 다음 끼니를 줄 마음이 없다. 떠돌이 개는 처음에는 소시지만 집어먹지만, 한 시간쯤 뒤 밥을 살살 핥아먹는다. 아무렴, 몇 조각 먹는대서 배가 차겠니.


  네 식구 밥을 차리다가, 새로 늘어난 입에 맞게 밥을 더 차려야 하니, 다섯 식구 밥차림이 된다. 손님이 찾아올 적에 수저 하나 더 얹으면 한 사람 더 먹는 셈이니 품이 더 들 일이란 없다. 떠돌이 개 한 마리한테 더 주는 밥도 손님한테 내주는 밥하고 똑같겠지.


  그나저나 너는 어디에서 이리로 왔니. 너는 어쩌다가 살 집을 잃고 떠돌이 되어 우리 마을에 깃들고, 우리 집에 눌러앉니. 4347.2.10.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아빠 육아일기)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BRINY 2014-02-11 12:20   좋아요 0 | URL
찡합니다.

숲노래 2014-02-11 12:28   좋아요 0 | URL
차츰 포근해지는 날씨에
이 개도 추위를 잘 견디면서
즐겁게 지내리라 믿어요.

그나저나 여름에는 그 복슬복슬 털로
더위를 타겠군요 @.@
 

산들보라 눈밭에서 한손에 종이인형

 


  눈밭을 천천히 걷는 산들보라한테 누나가 종이인형을 건넨다. 종이인형 손에 쥐고 잘 걸으라는 뜻일까. 어그적어그적 천천히 한 발 두 발 뗀다. 복복 눈밭에 신이 잠긴다. 웅덩이를 찰박찰박 밟을 적하고 눈밭을 복복 밟을 적에는 느낌이 다르다. 발에 와닿는 이야기가 다르고, 코끝으로 감기는 매서운 바람이 다르다. 걷고 걷고 다시 걷고 또 걸으면서 키가 자라고 몸이 튼튼하게 거듭난다. 한손에 종이인형을 쥐었으면, 다른 한손에는 무엇을 쥐겠니. 4347.2.10.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4)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후애(厚愛) 2014-02-10 17:12   좋아요 0 | URL
고흥에 눈이 많이 내렸네요..
산들보라 눈과 잘 어울려요~
귀엽당~^^

숲노래 2014-02-10 23:59   좋아요 0 | URL
살짝 내려서 곧 사라진 눈이었답니다~
그래도 잘 놀았지요~
 
두 사람이다 3 - 완결
강경옥 지음 / 작은책방(해든아침) / 2007년 7월
평점 :
절판


 

 

 

만화책 즐겨읽기 313

 


이녁은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가
― 두 사람이다 3
 강경옥 글·그림
 해든아침 펴냄, 2007.7.20.

 


  두 사람이 있습니다. 아름다운 꿈을 노래하는 사람 하나 있고, 아름다움도 꿈도 노래하지 못하는 사람 하나 있습니다. 아름다운 꿈을 노래하는 사람은 이웃한테 아름다운 꿈을 가만히 퍼뜨립니다. 아름다움도 꿈도 노래하지 못하는 사람은 이웃한테 아무것도 들려주지 못합니다.


  두 사람이 있습니다. 아름다운 꿈을 노래하면서 즐거운 사람 하나 있고, 아름다움도 꿈도 노래하지 못하면서 괴롭거나 외롭거나 슬픈 사람 하나 있습니다. 아름다운 꿈을 노래하는 사람은 언제나 웃음꽃을 피웁니다. 아름다움도 꿈도 노래하지 못하는 사람은 아무런 꽃을 피우지 못합니다.


  두 사람이 있습니다. 아름다운 꿈을 노래하며 웃음꽃을 피워 사랑을 깨우는 사람 하나 있고, 아름다움도 꿈도 노래하지 못하면서 꽃은커녕 어떠한 사랑도 속삭이지 못하는 사람 하나 있습니다. 사랑은 언제나 우리 가슴속에 있기에, 아름다운 꿈을 노래할 적마다 새로운 사랑이 샘솟습니다. 사랑은 늘 우리 마음속에 있으니, 스스로 아름다움도 꿈도 노래하지 않으면 어떠한 사랑도 태어나지 않습니다.


- ‘알 수 없어. 모르겠어. 어디서부터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 거지? 누구에게 물어 볼 수조차 없어! 생각해, 생각해야 해.’ (18쪽)
- “재석이 너, 나를 좋아한다고 했지만, 사실은 나를 미워하는 거 아니니?” “무, 무슨 소리야? 그게.” “그러지 않고서야 오래 전부터 날 봐 왔다는 네가 날 좋아한다고 고백한 이 시점은, 혜리 일 세희 일 모두 포함해서 알게 되어서 오히려 상처뿐인 얘기들이잖아.” (28∼29쪽)

 


  두 사람입니다. 나는 이 사람이 될 수 있고, 저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 나는 아버지가 될 수 있고, 어머니가 될 수 있습니다. 나는 때리는 사람이 될 수 있고, 맞는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 나는 어른이 될 수 있고, 어린이가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도 저도 아닌 오롯한 ‘사람’이 될 수 있어요. 사람으로 살아가며 오직 한 가지 ‘사랑’을 노래할 수 있어요.


  어느 길로 가든 스스로 고릅니다. 어느 일을 하든 스스로 찾습니다. 내가 마음으로 바라기에 어느 한길을 갑니다. 내가 마음으로 부르기에 어느 일이 나한테 찾아옵니다.


  때리려는 사람은 왜 때리려 할까요. 맞은 사람이 어떤 마음인 줄 알고서 때릴까요. 맞은 사람이 나한테 달려들어 저도 때리려 하는 줄 생각하지 않고 무턱대고 때리기만 할까요.


  꽃은 누구한테나 꽃입니다. 꽃은 사람을 가리지 않습니다. 다만, 마음이 어두운 사람 앞에서는 꽃이 흐드러지지 못합니다. 꽃은 햇볕과 바람과 물과 흙만 먹고 살아가지 않아요. 꽃도 사랑을 받아먹으며 살아갑니다. 사랑을 못 받으면 가까스로 몇 송이 피어날는지 모르나, 제대로 빛나지 못합니다.


- ‘불행하게 만들고 싶지 않았어. 행복한 모습을 보고 싶었어. 나도 행복한 기억으로 남겨 주길 바랐어. 그 말대로 다가 아니었어. 미웠어도, 정말로 사랑했어. 그랬는데, 그랫는데, 나는 끔찍한 사랑의 기억일 뿐이야. 그게 슬퍼. 그게 슬퍼. 그래서 떠나지도 못해.’ (55쪽)
- “약해지지 마, 지나야. 넌 강한 아이야. 처음 볼 때부터 넌 순수하고 강한 애라고 느꼈었어. 명현이가 얘기하던 저주의 대상이 네가 된다 해도 너라면 괜찮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지금까지 온 것도 대단한 거야. 그런, 너의 강함이 부러울 정도로, 나는 영능력이 있어도, 지난 사랑의 망령조차 쫓지 못하는걸. 도망만 칠 뿐.” (60쪽)

 


  저마다 아름답게 꾸리는 삶입니다. 저마다 스스로 살아가고픈 대로 꾸리는 하루입니다. 더 아름다운 모습은 없고 덜 아름다운 모습도 없습니다. 영화 한 편이 백만 관객이 들어야 더 아름답지 않습니다. 천만 관객이 보아야 더 아름답지 않습니다. 구백만 관객이 보아도 아름답고, 구십만 관객이 보아도 아름답습니다. 구만 관객이나 구천 관객이 보아도 아름답지요.


  어느 책 하나를 백만 사람이 사서 읽으니 아름다운 책이지 않아요. 십만 사람이 사서 읽거나 만 사람, 때로는 천 사람이나 백 사람이 사서 읽어도 아름다운 책입니다. 아름다운 책은 언제나 아름답습니다. 왜냐하면, 들에 핀 꽃을 알아보는 사람이 다문 한 사람이라서 들꽃이 안 아름답지 않아요. 사람들 많이 오가는 서울 한복판에 심은 꽃을 백만 사람이 들여다본대서 이 꽃이 더 아름답지 않아요.


  사랑을 이길 수 있는 힘은 없습니다. 사랑을 꺾는 힘은 없습니다. 드센 힘을 물리치는 사랑이 있고, 모진 힘을 견디거나 흘려보내는 사랑이 있습니다만, 어떤 힘도 어떤 사랑을 다치게 하지 못합니다.


- ‘한가한 듯한 일요일 오후, 향긋한 커피향. 세상에 아무 일도 일어난 것 같지 않은 오후. 절대 그런 일은 안 벌어질 것 같은.’ (128쪽)


  강경옥 님 만화책 《두 사람이다》(해든아침,2007) 셋째 권을 읽으면서 생각합니다. 우리는 저마다 어떤 곳에서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 삶을 일구는가를 돌아봅니다. 나는 나대로 어떤 보금자리를 가꾸면서 어떤 사람으로 살아가는가를 헤아립니다.


  텔레비전에 나오는 연속극 대본을 쓰면 얼마나 즐거울까요. 만화를 그리는 작가로 살아가면 얼마나 즐거울까요. 방송작가로 일하면 돈을 잘 벌 만할까요. 오늘날 웬만한 집마다 텔레비전 한 대쯤은 있을 뿐 아니라, 이제 손전화로 얼마든지 방송을 들여다보니, 방송작가로 일하면 돈을 잘 벌고 이름값도 높일 만할까요. 예나 이제나 한국에서는 만화가를 낮추어 보거나 얕잡아 보는 흐름이 사라지지 않았으니, 한국에서 만화를 그리는 사람은 밥벌이가 어려울까요. 만화가로 살아가는 나날은 고단하거나 힘들기만 할까요.

 


- “꿈속에서 뱀이 외치던 소리가 있었어. 왜 나냐고, 왜 나냐고. 왜 승천을 하루 앞둔 자기에게 이런 일이 일어나냐는 거란 생각이 들어. 나도 그런 생각 했어. 왜 나냐고, 왜 내가 저주의 대상이냐고. 하지만 어째서 자기는 예외일 수 있는 걸까? 이 세상 불행에서 언제까지나 자신만이 예외일 수는 없는 거 아닐까. 하지만 결국 저주를 만든 것이 인간의 의지였다면, 행복 역시 인간의 의지라고 생각해. 난 행복해지겠다고 믿고 이겨낼 거야. 난 유진 오빠도 행복하기를 바라니까.” (198∼199쪽)


  마음속으로 아름다운 꿈을 그리는 사람은 언제나 아름답게 삶을 가꿉니다. 마음속으로 고운 사랑을 그리는 사람은 언제나 곱게 사랑을 빛냅니다. 마음속으로 착한 이야기를 그리는 사람은 언제나 착하게 이야기꽃을 피웁니다.


  그리고, 마음속에 아무것도 없으면 아무것도 이루지 못합니다. 마음속에 궂은 생각이 또아리를 틀면, 이 궂은 생각대로 삶이 바뀌어요. 마음속에 못난 생각이 스멀스멀 기어들면, 이 못난 생각대로 삶이 흔들립니다.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가요? 어떤 사람이 될 때에 아름다울까요? 어떤 사람으로 살아갈 때에 사랑스러울까요? 나는 어떤 사람으로 살아가면서 빙그레 웃음짓는가요?


  내 곁에 나를 사랑할 두 사람을 둘 수 있습니다. 나 스스로 내 이웃과 동무와 살붙이를 애틋하게 사랑하며 살아갈 수 있습니다. 내 둘레에 나를 아끼고 좋아할 두 사람을 둘 수 있습니다. 나 스스로 내 이웃과 동무와 살붙이를 따사롭게 아끼고 좋아하면서 살아갈 수 있습니다. 4347.2.10.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시골에서 만화책 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