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래는 내 삶


 꽁꽁 얼어붙던 물이 녹는다. 드디어 우리 집 씻는방에서 한 차례 씻고 나서 빨래를 한다. 밀린 모든 빨래를 다 하지는 않는다. 이듬날 일어나서 밤새 나올 아이 기저귀 빨래를 함께 하자고 생각한다. 밀린 설거지도 한다. 밀린 설거지를 하면서 흐뭇하다. 물이란 얼마나 사랑스럽고 알뜰하며 고마운가. 빨래를 하는 즐거움을 듬뿍 느끼면서 하루라도 빨래를 하지 않으면 손바닥에 가시가 돋겠다고 생각한다. 살림하는 집에서 물이란, 밥하기 빨래하기 설거지하기, 여기에 걸레를 빨아 방바닥을 훔치기, 아이 씻기기, 이렇게 곳곳에 아주 알뜰히 쓸 뿐 아니라, 이 여러 곳에 물을 쓰지 못하면 답답한 나머지 숨이 막힌다. 몇 바가지 물을 힘겹게 떠 와서 어렵게 쓰던 나날 얼마나 등허리가 휘며 고달팠던가.

 잔뜩 밀린 일을 얼추 마친 저녁나절, 며칠 앞서 겨우 장만한 《우주소년 아톰》 1권을 펼친다. 《우주소년 아톰》 첫머리는 〈아톰대사〉 이야기이다. 〈아톰대사〉를 읽으며 이 만화가 1960년대에 그린 만화가 맞을까 싶어 크게 놀란다. 이무렵에 이렇게 생각할 수 있던 사람이 얼마나 있었을까. 누가 있었을까. 제 앞가림과 밥그릇에 바쁜 나머지 제 삶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어찌 흐르는가를 잊던 나날이 아닌가. 오늘날이라고 크게 다를 구석이 없는데, 〈아톰대사〉에 나오는 사람들을 보면, 사람들이 지구별에서 끔찍하달 만큼 물질문명에 빠져들면서 그만 지구별은 꽝 하고 터졌고, 꽝 하고 터지기 앞서 사람들은 우주배를 만들어 ‘지구별과 같은 삶터’가 우주 다른 데에 있을까 꿈꾸며 떠난다. 이들 우주배를 타고 길을 떠난 사람들은 자그마치 이천 해씩이나 우주를 떠돈다. 이천 해나 우주를 우주배에 타고 ‘중력 없는 채’ 떠돌면서 몸은 아주 다르게 바뀌고, 무엇이든 우주배에서 만들어서 쓴다.

 아톰 만화가 이런 이야기였구나 하고 새삼 깨달으면서 한 가지가 궁금하다. 우주배를 타고 우주를 떠도는 사람들은 물을 어떻게 마실까. 물을 화학방정식으로 엮어서 만들려나. 우주배를 타고 우주를 떠돌 때에는 물이 없어도 살 수 있을까. 우주배를 타고 우주를 떠도는 사람한테는 중력이 없으면, 이들은 옷이 더러워질 일이 없어 옷을 안 갈아입고 살아가려나. 우주배에서는 옷을 어떻게 지어서 입지? 흙이 없어 농사를 지을 수 없을 텐데, 먹을거리는 어떻게 마련하려나? 아주 많은 사람들은 아이한테 엄마젖이 아닌 소젖이나 가루젖을 먹이는데, 흙이 없어 농사도 지을 수 없는 판에 짐승은 어떻게 먹여 키우고, 이들 짐승이 우주배에서 살아갈 수 있기는 할까?

 빨래기계가 있으면 빨래할 걱정이라든지 빨래하며 손바닥에 굳은살이 큼직하게 박혀 아프다든지 빨래할 겨를이 빠듯하다든지 하는 걱정을 하지 않는다. 아마, 빨래기계를 쓰는 동안 물을 얼마나 쓰는지조차 알 길이 없으리라. 빨래기계 아닌 손으로 빨래를 하기에 물을 얼마나 쓰는가를 헤아리고, 물이 얼마나 고마운지를 깨닫는다. 남이 해 주는 밥이 아니라 내가 차려서 식구들을 먹이는 밥인 만큼, 물을 얼마나 써야 하는지 생각하고, 물이 얼마나 아름다운가를 살핀다.

 이원수, 예용해, 성내운, 한창기, 송건호, 임길택, 고정희, 박경리, 이오덕, 전우익, 권정생 같은 분들은 글을 쓸 때에 셈틀을 쓰지 않았으리라 본다. 올해에 이분들 뒤를 따라 흙으로 돌아간 리영희 님도 똑같지 않으랴 싶다. 셈틀은커녕 타자기조차 안 쓰는 삶이었으리라 본다. 그래도 이분들은 하나같이 글을 바지런히 퍽 많이 써 냈다. 손이 아닌 기계 힘을 빌어 글을 쓴다면 훨씬 빨리 더 많이 글을 쓰겠지. 그러나 기계 아닌 내 손에 맡기고 내 몸뚱이를 움직이며 글을 쓰는 맛은 크게 다르다. 틀림없이 손글은 기계글보다 덜 쓸밖에 없고 더디 쓸밖에 없다. 그러나 손빨래를 하고 손일로 밥차리기를 하듯, 손글씨로 글을 하나 내놓을 때에는 내 삶을 내가 다스리거나 추스르거나 북돋운다고 깊이 받아들일 수 있다. 기계를 쓴다 해서 이런 느낌이 아예 없다는 소리가 아니다. 손글 쓰기란 온몸과 온마음을 힘껏 바쳐야 비로소 할 수 있는 일이다. 나 스스로 한 사람이 되는 일이요, 나부터 한 사람으로 거듭나는 일이다.

 손을 써서 텃밭을 일구고 아이를 돌보며 살림을 꾸린다. 손으로 사랑하는 짝꿍 살결을 쓰다듬거나 퉁퉁 붓는 발과 다리를 주무른다. 손으로 빗자루를 들고, 손으로 물건을 나르며, 손으로 이마에 흐르는 땀을 훔친다. 나한테는 손빨래 같은 갖가지 집살림 일하기가 바로 책읽기이다. (4343.12.21.불.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칠십만 원, 육십만 원


 사흘 밤을 인천하고 서울에서 자면서 시골집으로 돌아오는 마실을 했다. 하루를 잤으나 허리와 다리와 허벅지와 등짝 어느 하나 성하지 않은데다가 뭉치거나 굳은 힘살이 풀리지조차 않는다. 집에는 물이 얼었다. 물이 얼었다기보다 땅속에서 물을 끌어올리는 양수기가 얼어터진 듯하다. 왜냐하면, 전깃줄을 꽂아 물꼭지를 올리면 양수기가 위잉 하고 돌아가는 소리가 나야 하는데, 아뭇소리가 안 났다. 바보처럼, 처음 집에 돌아오자마자 물이 얼었는가 그대로인가를 살폈어야 했는데, 그만 마음을 놓았다. 물이 언 줄 알았다면 씻는방 물꼭지를 그대로 두면서 한 방울씩 똑똑 떨어지는 물이라도 받을 만했는데.

 참 어림없이, 아니, 어처구니없이 사는구나 하고 생각한다. 양수기 고치거나 새로 하는 데에 드는 돈은 사십만 원이라 한다. 얼씨구나, 돈벌이가 형편없는 주제에, 아니 돈벌이가 마땅히 없는 주제에 돈은 잘도 솔솔술술 새어나가네.

 더욱이, 이번 서울마실과 인천마실을 하며 쓴 책값을 헤아리니 육십만 원이 살짝 웃돈다. 드디어 ‘우리 말 이야기’ 다룬 둘째 책이 나왔기에, 출판사에다가 글삯으로 30만 원을 넣어 주고, 나머지는 책으로 부쳐 달라 하면서, 이 삼십만 원으로는 데즈카 오사무 아톰 스물 몇 권에다가 초기 에스에프 대표작에다가 잔뜩 사들였다. 여기에, 쿠델카 사진책 십일만 원짜리랑 로버트 프랭크 사진책 육만오천 원짜리랑 아키라 사진책 십만 원짜리를 샀다. 옆지기는 뜨개 책으로만 이십만 원 가까이 썼다.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애 아빠는 혼자서 생각했다. 섣불리 옆지기한테 말을 섞지 못했다. 그러나 한 마디는 했다고 떠오른다. “인천에서 살 때에는 어림도 없을 책들을 시골로 와서 잔뜩 사네요.”

 그렇다. 인천에서 집삯 삼십오만 원에다가 도서관삯 삼십오만 원을 다달이 내며 살았다. 이렇게 세 해 반을 인천에서 ‘살아’ 냈다기보다 ‘버티어’ 냈다. 시골집에서는 집삯이든 도서관삯이든 내지 않는다. 그렇다고 다른 마땅한 벌이가 용하게 뚫린 삶은 아니다. 고작 ‘칠십만 원이 술술 새어나가지 않는다’는 생각으로, 그만 다달이 ‘칠십만 원에 가까운 돈을 책값으로 쏟아붓’지 않나 싶다.

 옆지기도 느낄 테지. 나도 느낄 테고, 아이도 느낄 테지. 이 나라에 우리처럼 살아가는 식구가 있으려나? 다른 나라에는 우리처럼 지내는 식구가 있을까?

 피식 웃음이 난다. 아이를 안고 무거운 가방 등에 짊어지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 시외버스에서 옆지기는 곯아떨어져 잠들었는데 아빠는 혼자 웃고 만다. 그래도, 어찌저찌 밥 안 굶고 잘만 사는걸. 우리는 우리 삶을 밝히는 좋은 책을 마음껏 만날 뿐 아니라, 우리 넋을 밝히는 좋은 이웃하고 살가이 마주하고 어깨동무하면서 지내는걸.

 양수기 값 사십만 원에 벌벌 떨밖에 없고, 올겨울 기름값으로 얼마나 나가야 하나 걱정스러울밖에 없다. 다만, 좋다. 세 식구에다가 네 식구가 될 이듬해 우리 살림살이는 한결 쪼들릴 텐데, 그래도 좋다. 이 책들을 하나하나 보듬으며 오늘 하루도 좋다. 그나저나 등허리가 몹시 결리다. 큰일이다. 하루 더 자고 나서는 좀 나아져야 할 텐데. 얼음길에 빨래하러 또 물 길으러 멧중턱 이오덕학교까지 오르내리자면 죽어나겠다. (4343.12.18.흙.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여러 날 인천마실을 하는 요 며칠. 책값으로도 또 꽤나 돈이 나가고, 책값 아닌 돈으로도 여러모로 돈이 나가다. 그러나, 네 식구 다 함께 오랜만에 인천 배다리에 들러 여러 사람들을 마주하고 이야기를 나누며 생각을 주고받는다. 글은 한 줄 끄적일 겨를조차 없으나, 이렇게 보내는 하루하루도 나와 옆지기랑 첫째랑 뱃속 둘째 모두 너그러이 받아들여 주리라 믿어 본다. 

 고마운 사람과 고마운 생각을 나누며 고마운 삶을 즐겁게 받아 안는다. 사들이는 책을 읽으면서도 좋은 마음을 북돋우지만, 마주하는 사람들 얼굴로도 흐뭇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알라딘서재에서는 [알림글 쓰기]가 퍽 까다롭다. 아니, 내가 제대로 헤아리지 못하니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 모를 뿐이겠지. 

 어쨌거나, 오늘부터 [리뷰]와 [페이퍼] 자리에 '헌책방에서만 만나는 책' 이야기를 다시 쓰기로 했다. 느낌글을 쓸 때에 으레 '꽤 길게' 쓰곤 해서 정작 소개하거나 알리지 못하는 책이 몹시 많은데, 앞으로는 길게 쓸 글은 길게 쓰되, 짧게 써도 즐거운 책이야기는 단출하게 적바림하면서 조금 더 널리 책삶을 펼칠 수 있도록 해 보고자 한다. 

 새책방에서 살 수는 없으나, 아직 자취가 남았다든지, 새로운 판으로 다시 나왔다면 [리뷰] 자리에 글을 올리고, 아예 자취가 사라졌거나, 헌책방 아니고는 만날 수 없다면 [페이퍼] 자리에 글을 올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요 책에서 맨 끝에 '日' 밑에 있는 한자를 아는 분 있으면,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山に生かされた日○... 늘 이런 대목에서 걸리고 마네요... 뭐라고 읽어야 할까요...

ㅠ.ㅜ 

옥편에서 찾고 또 찾아도 늘 잊고 다시 잊어버리고 마네요... 

에구궁....


댓글(5)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ChinPei 2010-12-13 17:22   좋아요 0 | URL
그 한자는 일본에 독특한 한자로서 앞에 붙은 한자를 되풀이하는 겁니다.
생략한자라고 할까요.
그러니까 그 제목은 "山に生かされた日日(야마니 이카사레타 히비"라고 됩니다. 우리나라에는 없는 한자지요. 뜻은 마침 "나날". "날"의 복수형. ^^
참고하십시오. ^^

ChinPei 2010-12-13 17:43   좋아요 0 | URL
人(ひと:히토 = 사람) + 생략한자
--- 人人(히토비토) = 사람들

我(われ:와레 = 우리) + 생략한자
--- 我我(와레와레) = 우리들

個(こ:코 = 개인, 각자 등) + 생략한자
--- 個個(코코 : "코고"가 아님) = 개개(개개인 등)

一(いち:이치 = 일, 하나) + 생략한자
--- 一一(이치이치) = 일일히, 하나하나, (많은 걸)하나씩

숲노래 2010-12-13 18:15   좋아요 0 | URL
아아, 그렇게 쓰면 되는군요
고맙습니다.
그러면, 이 말은 일본어 문자표에서 찾아야 나오겠네요~~

덧붙여 주신 풀이말 또한 고맙습니다~

글샘 2010-12-13 17:25   좋아요 0 | URL
조거는 한자가 아니구요...
같은 글자를 반복할 때... 그러니깐 "이나 같은 뜻으로 쓰던 글자입니다.
옛날에 한문 서적에서도 볼 수 있구요. 세로쓰기 한글책에서도 볼 수 있던 글자.
한자는 똑같은 글자를 연달아 내려쓰기를 싫어했답니다.
그래서 같은 페이지에 같은 자가 있으면 조금 다른 글자로 쓰곤 했는데,
연달아있으면 저 글자를 썼죠. 일본어에선 아직도 쓴답니다.

숲노래 2010-12-13 18:20   좋아요 0 | URL
오오, 말씀 잘 들었습니다.
고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