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차별어(따돌림말) : 곰곰이 돌아보면 ‘따돌림말(차별어)’을 다루는 책이 나오면 나올수록 외려 따돌림말이 더 퍼진다고 느낀다. 따돌림(차별)을 다루는 글(동화·소설)이나 그림책이 나오면 나올수록 오히려 따돌림길(차별문화)이 더 퍼지는구나 싶다. 글이고 그림이고 따돌림짓을 없애자고 외치지만, 이런 외침말이 나올수록 더더욱 따돌림짓이 깊어지거나 드세다고 느낀다.


어째서 거꾸로 갈까? 더 곰곰이 생각하니, 우리 스스로 따돌림(차별)만 생각하기에 삶터(사회)에서도 책과 살림길(문화)에서도 이 따돌림(차별) 하나로 쳇바퀴를 도는구나 싶다. 마음에 사랑이 아닌 따돌림이라는 생각씨앗을 담으니 늘 새삼스레 따돌림을 우리 스스로 짓는 셈이랄까. 이 대목을 느낀 뒤부터 따짐글(비판)을 되도록 안 쓰기로 하지만, 따지는 글이 아니라 사랑으로 녹이는 이야기를 쓰려고 하지만, 막상 따돌림말(차별어)이 아닌 ‘사랑말’을 혀에 얹고 헤아리고 주고받고 생각하고 글이며 그림으로 펴는 길을 가는 이웃은 드물지 싶다.


하나같이 따돌림짓이 어떠한가를 낱낱이 그리면서 스스로 생채기랑 멍울을 더 후벼파고 더 퍼뜨리는 노릇이 된다고 느낀다. 오늘날 서울바라기(도시문명)을 따지거나 나무라는 일도 나쁘지는 않다.


그러나 《펠레의 새 옷》이나 《엄마의 생일 선물》 같은 엘사 베스코브 님 그림책을 생각해 보자. 《미스 럼피우스》나 《엠마》 같은 바바라 쿠니 님 그림책을 생각해 보자. 《가을 아이》나 《봄 아이》나 《여름 아이》나 《겨울 아이》 같은 이와사키 치히로 님 그림책을 생각해 보자. 《밀리의 특별한 모자》 같은 그림책을 생각해 보고, 《닭들이 이상해》나 《날아라 꼬마 지빠귀야》 같은 그림책을 돌아보자.


우리가 마음에 오롯이 사랑말을 담아서 살아내지 않고서야 따돌림말(차별어)이 사라질 일이 없다. ‘안 써야 할 차별어’를 모아서 들려주는 책이나 배움판(수업)이나 이야기꽃(강의)이 아닌, ‘즐겁게 쓸 사랑말과 아름말’을 갈무리해서 즐거이 웃고 춤추고 노래하면서 나누는 길을 갈 노릇이지 싶다. 여태까지 이 사랑길과 아름길을 안 갔다면, 오늘부터 이제라도 좀 가야지 싶다. 2021.5.21.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뭘까 : 때로는 아침부터 ‘비추천도서’ 이야기를 쓴다. 둘레에서 쓰는 말로는 ‘비추천’이지만, 나는 나름대로 ‘얄궂책·거짓책·말썽책·나쁜책·몹쓸책·손사래책’처럼 다르게 이름을 붙여 본다. 어느 책은 얄궂고, 거짓스럽고, 말썽을 일으키고, 그저 나쁘고, 몹쓸 이야기이며, 손사래를 칠 만하더라.


그러나 내 눈과 삶과 자리와 숲으로 볼 적에만 얄궂책일 수 있다. 모든 사람이 모든 책을 좋아할 수 있어도 좋겠는데, 나로서는 싸움연모(전쟁무기)를 안 좋아해도 싸움연모를 좋아해서 이러한 이야기를 다룬 책을 찾기도 한다. 아무리 말썽을 일으키고 응큼짓을 저질렀어도 이런 치를 믿거나 따르는 사람도 수두룩하다.


거짓을 담은 책이지만 정작 불티나게 팔리기도 하고, 나쁜짓을 일삼고도 그저 이름값으로 장사를 하는 책이 있다. ‘아름책’이 아닌 ‘얄궂책’이 판친다고 해서 나쁘다고는 여기지 않으나, 이런 삶터가 되는 탓에 글 한 줄을 놓고 ‘글치레·글멋·글꾸미기·글만들기’가 판친다. ‘등단’이란 이름으로 수수한 글지기를 억누르기도 한다. 겉멋질은 겉멋질일 뿐, 글이나 책이 아니다. 겉치레 글쓰기로는 그럴듯하게 꾸밈질이 될 뿐, 눈부시거나 피어나거나 아름다울 글하고는 동떨어진다.

 

적잖은 평론가·시인·작가·기자가 겉멋질 글쓰기를 내세우는데, 이 바람에 휩쓸리는 사람도 적잖다. 이런 글에서는 사랑이 묻어나지 않고, 삶이 흐르지 않으며, 살림하고 동떨어진다. 궂이 얄궂책 이야기를 쓰는 뜻은 이 하나라 할 만하다. 겉치레 이름값이 아닌 우리 사랑을 바라보면 좋겠다. 겉멋이 아닌 우리 살림을 읽으면 좋겠다. 겉껍데기를 글에 담지 말고, 잘나든 못나든 우리 삶을 고스란히 글로 옮기면 좋겠다.


누구나 글을 즐겁게 쓰면 된다. ‘이름올리기(등단)’를 해야 하지 않고, 등단작가 아니면 작가나 예술가로 안 치는 썩어문드러진 이 나라 글판을 갈아엎을 노릇이라고 여긴다.


글쓰는 아줌마 아저씨 할머니 할아버지 모두 ‘글님(작가)’이다. 누구나 글님이다. 언제나 글님이다. 아이도 글님, 할매도 글님이다. 이웃 글님 누구나도, 흉내나 따라하기가 아닌 이웃님 삶을 즐겁게 사랑하면서 고스란히 글빛으로 여미면 좋겠다. 2021.3.2.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아이들 눈 : 아이들은 매같은 눈이라기보다 사랑스런 눈으로 다 알아채지 싶다. 아이들이 보기에 스스로 즐겁거나 아름답다면 그 이야기를 질리지 않고 늘 재미있게 다시 듣고 싶다. 책이라면 그 책을 100벌도 200벌도 아닌 1000벌을 거뜬히 다시 읽으면서 늘 새롭고 좋다고 말한다. 어른 눈은 어떠한가? 어른은 ‘서평단’이나 ‘주례사 비평’에 얽매여 그만 ‘사랑눈’을 잊거나 잃어 가는구나 싶다. 어른 스스로도 100벌이나 200벌조차 아닌 1000벌을 되읽을 만한 책일 적에 즐거이 아름책이라는 이름을 붙여 주면 좋겠다. ‘베스트셀러·스테디셀러’가 아닌 ‘아름책’을. 2021.4.7.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종이나라 : ‘그림책심리코칭지도사’란 자격증이 있는 줄 처음으로 알고 깜짝 놀랐지만, 이내 마음을 다스린다. 빵을 굽고 밥을 짓는 살림마저 자격증으로 따지는 판이니, ‘그림책읽기’를 놓고도 자격증을 따질 만하겠지. 빨래하고 아이를 돌보는 자격증도 있겠지. 빨래집(세탁소)을 차리거나 돌봄집(유치원)을 열자면 이런 자격증이 있어야 하리라. 가만 보면,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리거나 빛꽃(사진)을 다룰 적에도 자격증(또는 졸업장이나 등단 경력)을 따진다. 뭐, 어디에서든 이모저모 따질 수 있을 테지만, 어떤 일을 할 적에 자격증이나 졸업장이나 경력을 내밀어야 한다면, 미친나라이지 싶다. 마음으로 읽고 사랑으로 나누며 살림으로 녹이면 될 그림책이요, 아이돌봄이요, 빨래요, 빵굽기에 밥짓기요, 글쓰기에 그림그리기에 빛꽃담기라고 생각한다. 자격을 매기고 졸업을 시키는 자리에는 어김없이 돈이 오갈 텐데, ‘자격·졸업은 어떤 돈으로도 주거나 받을 수 없’어야 아름나라에 사랑나라가 될 테지. 왜냐고? 마음에 무슨 자격을 매기는가? 사랑에 무슨 졸업이 있는가? 누구나 읽고 즐기며 나눌 그림책이자 글이자 빛꽃이자 살림이자 빵이자 밥이자 빨래이자 오늘이다. 자격증이나 졸업장이 있어야 사랑짝을 만나 아이를 낳지 않는다. 오직 사랑하는 마음이기에 사랑짝을 만나 아이를 낳고 돌본다. 오직 사랑하는 마음이기에 두 손에 그림책을 쥐고서 아이랑 나긋나긋 읽고 누린다. 미친 종이나라가 아름다이 사랑나라로 탈바꿈하기를 빈다. 2021.3.18.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중앙일보 김규항 : 어린이 인문만화잡지 《고래가 그랬어》를 펴내는 김규항 님이 〈중앙일보〉에 글을 쓴 지 여러 달 된다. 이분이 ‘왜 중앙일보에 글을?’이라는 궁금한 대목에 시원스레 글을 남겼는지는 잘 모르겠다. 얼추 스무 해쯤에 걸쳐 이분 글을 모조리 읽기는 했으나, ‘왜?’를 풀지 못했고, 이제 이분 글은 읽지 않는다. 지난해에 《혁명노트》란 책을 사서 읽으면서도 생각했다. ‘혁명을 말하는 분이 혁명을 할 가장 나즈막한 사람들 말씨가 아닌 가장 웃자리에 있는 이(기득권·권력가·자본가·작가) 말씨로 책을 새로 썼구나 하고.


나는 《고래가 그랬어》를 처음에 정기구독으로 보았지만, 끊은 지 오래된다. 만화나 글이 ‘삶을 숲으로 짓는 놀이로 나아갈 어린이’하고 도무지 안 맞는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외치는 목소리로는 ‘진보 좌파’일는지 모르나, 진보나 보수 가운데 누가 옳다고 느끼지 않는다. 좌파나 우파 가운데 누가 옳을 수도 없다. 옳다면 ‘옳게’ 사는 사람이 옳지 않을까? 바르다면 ‘바르게’ 사는 사람이 바르지 않을까? 왼쪽을 찍기에 바를 수 없고, 오른쪽을 찍기에 틀릴 수 없다. 생각도 넋도 말도 삶도 사랑도 바르거나 옳다면 그이가 바르거나 옳을 뿐이다.


열한 살에 접어든 작은아이가 엊저녁에 “어머니, 아침에 일어나면 있잖아, 우리 집 후박나무로 해가 막 비추려고 할 때, 그때 해를 봐. 그 아침에 솟는 해를 보면 좋아.” 하고 이야기하더라. 《고래가 그랬어》가 ‘나쁜’ 잡지라고 생각한 적은 없다. 다만 ‘알맹이는 없다’고 생각한다. ‘알맹이’란 뭔가? ‘알맹이 = 씨알’이다. ‘씨알 = 열매에 깃든 숨결’이다. ‘열매에 깃든 숨결 = 숲을 이루려는 사랑’이다. 《고래가 그랬어》는 ‘제도권학교를 다니며 입시지옥에 멍이 들려는 어린이를 달래려는 글이나 만화’는 있지만, 정작 ‘어린이 스스로 삶을 지어 푸르게 노래하는 꿈을 품고서 사랑으로 나아가는 길’은 아직 없다고 느낀다.


김규항 님이 〈중앙일보〉에 꾸준히 글을 실을 수 있는 바탕도 이러하지 않을까? 뭐, 한두 꼭지쯤은 쓸 수 있을는지 모른다. 아니, 〈중앙일보〉만이 아니라 ㅈㅈㄷ에 글을 써도 좋다.


다만, 글을 쓰려면, 적어도 톨스토이나 시튼이나 로라 잉걸스 와일더나 아스트리드 린드그렌이나 이와사키 치히로나 윌리엄 스타이그나 엘사 베스코브나 완다 가그처럼 글을 쓸 노릇 아닐까? 이런 분들처럼 글을 쓰지 않겠다면, 한낱 돈과 이름을 팔려고 〈중앙일보〉에 글을 쓰는구나 하고 느낄밖에. 2021.2.12.

.

.

.

이 글을 적어 놓고서 한 달을 보냈는데, 그사이(2021.2.26.)에 〈신동아〉하고 만나 90분 동안 이야기했다고 한다. 김규항 님은 ‘마르크스 + 페미니즘 + 생태주의’를 좋아한다고 밝힌다. 그렇구나. 스스로 좋아하는 길이 있으니 그 길에 맞추어 걸어갈 뿐이로구나. 그러면 그 길은 어디로 나아갈까? ‘마르크스·페미니즘·생태주의’가 나쁘다고는 여기지 않으나, 이쪽하고 저쪽을 가르는 울타리나 담벼락이 되기에 좋을 뿐 아니라, 이러한 이름을 허울처럼 내세워서 장사하는 사람이 수두룩하다.


굳이 세 가지를 살피는 길을 헤아린다면, 나는 ‘숲·살림·사랑’ 이렇게 세 가지를 꼽는다. ‘마르크스·계급·인민’이란 이름으로 사람을 바라볼 수도 있을 텐데, 이제는 좀 ‘사람을 사람으로’ 바라보면 좋겠다. ‘페미니즘이 아닌 살림하는 사람을’ 마주하면 좋겠다. ‘생태주의가 아닌 오롯이 숲을 숲으로’ 품으면 좋겠다. 살림을 하지 않고 숲을 품지 않는 곳에는 아무런 사랑이 없으니, ‘마르크스·계급·인민’한테서도 사랑을 찾아볼 수 없다고 느낀다. 아무튼, 잘 가시라, 그 길을. 2021.3.17.

.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