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같은 영화 100판 : “영화평을 쓸 만한 영화라고 여기면, 적어도 100판을 느긋이 다시금 보면서 생각을 가다듬습니다. 몇 판쯤 슥 보기만 해서는 놓치는 대목이 많아요. 그렇다고 영화평이란 글을 책 한 자락으로 써낼 수는 없습니다만, 다섯 줄이나 열 줄로 영화평을 쓰더라도, 그 영화를 제대로 말할 수 있으려면 100판쯤 다시보기를 해야겠지요. 그러니까, 오늘날 누리그물(인터넷)에 넘치는 온갖 영화평은 다 허울스럽거나 겉훑기이지 싶어요. 영화평 한 자락을 쓰려고 그 영화를 적어도 다섯 판이나 열 판쯤 곰곰이 다시보기를 한 분은 몇이나 될까요? 거의 다 한 판만 보고서 쓰지 않나요? 책느낌글도 매한가지예요. 책을 한 판만 읽고서 쓴다면 그런 느낌글은 엉터리일 테지요. 책느낌글을 쓰려고 한다면, 적어도 대여섯 벌을 되읽을 노릇이고, 보름이나 달포쯤은 곁에 두고서 곰곰이 새길 노릇입니다. 그러나 영화평도 책느낌글도 다들 후다닥 써갈겨요. ‘쓴다’조차 아닌 ‘써갈긴다’입니다. 생각해 봐요. 100판을 다시보기를 할 만한 영화가 아니라면, 1판조차 안 볼 만한 영화이지 않을까요? 100판을 다시보기를 하고서 영화평을 쓸 만한 영화가 아니라면, 처음부터 아예 영화평을 쓸 값어치조차 없는 영화가 아닐까요?” 영화평 이야기가 나오면 나는 으레 이렇게 말한다. 적어도 100판을 볼 수 없는 영화라면, 굳이 1판조차 안 보아도 된다고 느낀다. 같은 영화를 왜 다시 보고 또 보느냐 묻는 분들이 있지만, 아름다운 영화는 다시 볼 적마다 새롭게 느끼고 배우는 대목이 늘 있어서, 100판 아닌 1000판 넘게 보게 마련이다. 언제 1000판을 보느냐고? 스무 해나 마흔 해에 걸쳐서 틈틈이 보면 그만큼 볼 수 있다. 책도 매한가지이다. ‘알라딘중고샵’에 되팔 책이 아닌, ‘우리 집 책시렁에 고이 건사할’ 책을 사서 읽고 새기고 누리는 이웃님이 늘기를 바랄 뿐이다. 2019.12.25.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

이 글은 “우리말 살리는 겨레모임”에서 내는 《우리말 우리얼》에 실으려고 썼지만, 누리집에도 걸쳐놓는다. 우리말이 왜 우리말인지 생각을 하고, 마음부터 가만히 쓰는 이웃님이, 오직 오롯이 사랑이라는 눈빛으로 말을 살피는 이웃님을 기다리면서 글을 여미어서 띄운다.

.

.

숲노래 살림말

우리말밑(우리말 어원)


벙어리


말소리를 내지 않거나 못 하는 사람을 두고 ‘벙어리’라 한다. ‘버우 + 어리’인 얼개인데, ‘버우’란 ‘바우(바위)’요, 듬직하게 가만히 선 커다란 숨결을 나타내는 낱말이다. 말소리를 내지 않거나 못 하면서 가만히 있다고 여기기에 ‘벙어리·바위’로 바라보는 셈인데, ‘벙·방’이 맞물리고, ‘버우·바위’가 맞물린다. ‘벙긋·방긋’은 소리를 내지 않고서 가만히 웃거나 움직이는 모습을 나타낸다. ‘방그레·벙그레·빙그레’도 매한가지요, ‘방실·벙실’도 마찬가지이다. ‘빙그르르’라는 말씨에서도 아직 소리가 깃들지는 않는다. 이러한 말씨를 곰곰이 짚으면 ‘벙어리·버우·바위·방긋·벙긋’은 “듬직하고 크고 넓게 소리가 없이 가만히 있는 결”을 빗대면서 ‘봉긋’으로 잇는다. ‘봉긋’은 ‘봉오리’로 잇는다. 아직 피어나지 않은, 또는 곧 피어나려고 하는 망울인 ‘봉오리’이다. 아직 피어나지 않았기에 곧 피어날 꽃망울이라면 ‘꽃봉오리’이다. ‘봉긋’은 ‘붕긋’하고 만나며, ‘봉우리’로 새롭게 잇는다. ‘붕긋’은 꽤 높게 솟거나 돋았다고 여기는 모습이요, ‘봉우리’는 ‘멧봉우리’라는 낱말처럼 땅에서 하늘 쪽으로 높이 솟거나 돋은 자리를 나타낸다. ‘봉우리·멧봉우리’는 으레 “바위가 가득하면서 높이 솟거나 돋은 자리”로 여긴다. 그러니까 ‘벙어리’는 ‘바위’를 비롯해서 ‘방긋·벙긋·봉긋·붕긋’에 ‘봉오리·봉우리’가 나란히 깃든 낱말이다. ‘봉’이라는 말씨는 ‘보다·봄’하고 잇는다. ‘보다(본다)’는 눈으로 느끼거나 마주하는 몸짓이다. 소리를 내는 느낌이나 결이 아닌 ‘보다·봄·봉’이니, ‘벙어리’인 사람은 눈으로 보고 몸짓으로 보면서 이야기를 펴고 생각을 나누며 마음을 잇는다. 봄에 피어나는 봉오리처럼, 봄부터 푸르게 물드는 봉우리처럼, 둥글둥글 살갑고 살뜰하여 사랑스레 돌아가며 돌보는 빙글빙글 방긋웃음처럼, ‘벙어리’라는 낱말 한 마디에는 예부터 이웃을 어떤 숨빛으로 만나면서 품고 어우러지려 했느냐 하는 수수께끼와 살림과 꿈이 녹아들었다고 여길 만하다. 그리고, ‘방그레 웃고 봉긋 돋는 봉오리에 푸르게 붕긋하는 봉우리’는 ‘밝’고 ‘반짝반짝·번쩍번쩍’한다. ‘버·바·밝·반짝·번쩍’으로 잇는 말씨인 ‘빛’에는 소리가 흐르거나 깃들지 않는다. 오직 ‘보다·봄’으로 잇는 결이다. 그래서 ‘벼락’이나 ‘별’도 소리가 아닌 눈으로 마주하고 느끼고 보게 마련이다. 빛나는 숨결을 ‘버·바·보·부·비’라는 말씨에 담은 셈이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낱말책 #숲노래말꽃 #숲노래사전 #우리말꽃

2023.5.21.


숲노래 씨가 몇 해 앞서부터

문득 새로 지어서 쓰는 ‘아이곁’이란

투박한 우리말이 있다.


숲노래 씨는 대단하거나 놀라운 우리말이 아닌,

누구나 아무렇지 않고 스스럼이 없이

그저 스스로 늘 쉽게 지을 수 있는

말길을 틔우는 사전을 쓴다.


그래서 ‘육아’란 얄딱구리하고

일본스러운 한자말이 아닌,

‘아이사랑’을 드러낼 말을 쓰려고 한다.


그렇다.

우리는 ‘아이사랑’을 하면 된다.

‘나사랑’을 하면 된다.


‘아이사랑·나사랑’으로 나아가는

첫걸음은 바로 ‘아이곁’이다.

.

.

아이곁

아이를 돌본다면 ‘아이돌봄’이라 하면 된다. ‘아이돌봄’을 굳이 ‘아이(兒) + 기름(育)’이란 얼거리로 ‘육아’란 한자말을 써야 하지 않는다. 우리말은 “아이를 기른다 = 아이기름”으로, “아이를 돌본다 = 아이돌봄”으로 나타내면 된다. 즐겨 찾는다고 하기에 ‘즐겨찾기(즐겨 + 찾기)’이고, 새롭게 본다고 하기에 ‘새로보기(새로 + 보기)’이다. 책 하나를 돌려서 읽는다면 ‘돌려읽기(돌려 + 읽기)’이다. 책을 깊이 읽으니 ‘깊이읽기(깊이 + 읽기)’이다. 말짓기란 투박하고 수수하면서 쉽다. 아이 곁에서 아이하고 나란히 설 뿐 아니라, 아이를 어른하고 똑같은 ‘숨빛(생명)’으로 바라보려는 마음으로 사랑을 나누고 기쁘게 오늘을 지으려는 살림자락을 그저 투박하고 수수하고 쉽게 ‘아이곁(아이 + 곁)’으로 나타낸다.


+++


아이곁 (아이 + 곁) : 아이 곁에 있음. 또는 아이 곁에 있는 어른이나 어버이. 아이가 누릴 삶을 헤아리면서, 아이가 스스로 살림을 가꾸는 사람으로 자라나도록 곁에서 지켜보고 살펴보고 돌아보면서 차근차근 이끌거나 도우면서 함게 즐겁게 살아가려는 길을 나타내는 말. (= 아이사랑·아이돌봄··아이봄아이기름. ← 육아, 탁아, 양육, 육영, 훈육, 보육)


아이사랑 (아이 + 사랑) : 아이를 사랑함. 또는 아이를 사랑으로 마주하거나 맞이하거나 낳거나 함께하거나 보금자리를 일구는 길·하루·삶·숨결·눈빛·마음. 아이가 누릴 삶을 헤아리면서, 아이가 스스로 살림을 가꾸는 사람으로 자라나도록 곁에서 지켜보고 살펴보고 돌아보면서 차근차근 이끌거나 도우면서 함게 즐겁게 살아가려는 길을 나타내는 말. (= 아이곁·아이돌봄·아이봄·아이기름. ← 육아, 탁아, 양육, 육영, 훈육, 보육)


아기돌봄 (아기 + 돌보다 + ㅁ) : 아기를 돌보는 일. 아이가 누릴 삶을 헤아리면서, 아이가 스스로 살림을 가꾸는 사람으로 자라나도록 곁에서 지켜보고 살펴보고 돌아보면서 차근차근 이끌거나 도우면서 함께 즐겁게 살아가려는 길. (= 아기봄·아이곁·아이기름. ← 육아, 탁아, 양육, 육영, 훈육, 보육)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 요새 ‘놉’이란 말을 아는 분은 드물리라. 어린이나 젊은이라면 모를 테고, 책을 꽤 읽었으면 얼핏 스쳤을 수 있으나, 잊히는 낱말 가운데 하나이다. 요샛말로 한다면 ‘품팔이·날품팔이’쯤이요, 지난날 지난삶을 돌아본다면 ‘가난하고 땅이 없이 하루하루 품을 팔아야 겨우 입에 풀을 바를 수 있는 살림인 사람’을 가리킨다고 하겠다. 낱말책을 여미는 일을 하니 ‘놉’이라는 낱말은 알았되 딱히 쓸 일은 없었는데, 2011년에 전남 고흥 시골집에 깃들고 나서 ‘놉’이란 말을 마을 할배한테서 새삼스레 들었다. 마을 할배가 어릴 적하고 젊을 적에는 땅도 집도 없어서 이 집 저 집 빌붙으면서 ‘놉’을 오래도록 팔다가, “이제 이렇게 마을 귀퉁이에라도 집을 지어서 사오.” 하고 푸념이 섞였으나 숨을 다 돌린 듯이 말씀을 하시더라. 그렇다. 시골마을을 보면 귀퉁이나 기스락에는 언제나 가난집이게 마련이다. 시골에는 ‘이장’이 있고 ‘부녀회장’이 있다. ‘놉내기(놉을 팔거나 머슴으로 일한 사람)’ 가운데 ‘이장·부녀회장’으로 뽑혀서 일하는 사람이 있을까? 아예 없지는 않으나 아주 드물리라 본다. 시골 면장·읍장은 어떨까? 시골 군수는 어떨까? 시장이나 도지사 같은 사람은 어떨까? 까마득한 옛날일 수 있는, 1950∼60년대까지 놉내기로 살던 분들은 아직도 뒷전으로 밀린다. 그리고 놉내기를 따돌리면서 우쭐거리는 한줌 힘을 드날리던 분들이 고스란히 남은 시골마을은 차츰 늙어서 사라진다. 얼른 사라질 노릇이다. 이런 시골이라면 사라져야 마땅하다. 2023.4.5.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책과 어른과 꼬마 : 어린이는 스스로 빛나는 씨앗이고, 어른은 스스로 피어나는 씨앗이지 싶다. 푸르게 빛나는 씨앗도, 푸름이를 돌보는 씨앗도, 모두 즐겁게 삶을 사랑하는 말 한 마디를 마음에 심는 슬기로운 생각으로 오늘을 열면 좋겠다. 어느 책을 손에 쥐더라도 아름말을 길어올리면서 아름씨를 품는 눈길이 되고, 우리를 둘러싼 아름책을 하나둘 알아보면서 아름글을 새로짓는 마음으로 거듭나는 숨결이 되면 좋겠다. 우리 삶터·마을·나라·땅·숲을 비롯해 우리가 쓰는 말글까지 허벌나게 망가졌고 무너졌고 비틀거리고 눈물지으면서 아프다.


아무것이나 먹지 않으려는 마음이 되는 우리라면, 아무 말이나 쓰지 않으려는 마음이 될 우리여야 아름답겠지. 어느 것을 먹든 스스로 사랑이라는 마음이 될 우리라면, 어느 책을 읽든 스스로 사랑이라는 꽃씨를 심는 우리일 적에 즐겁겠지.


‘꾀·꾀다·꼬리·끝·꼴·꼴찌’로 잇닿는 말밑을 풀면서 ‘꽃·꼬마’로 매듭을 지었는데, 어린이를 따사로이 바라보면서 보살피려는 숨결을 담아 ‘꼬마’라는 낱말을 지었겠다고, 여리고 어리고 작은 목숨을 더 눈여겨보며 사랑하려는 숨빛을 얹어 상냥하면서 어질게 ‘꼬마’라는 이름을 붙였겠다고 느꼈다. 다만, 이렇게 말을 지은 오랜 눈빛을 잊은 어른이 너무나 확 줄어버리거나 사라졌을 뿐일 테고.


우리는 어떤 우리말을 쓰는 어른이자 사람일까? 우리는 “아무 우리말”이나 쓰는가, “생각하는 우리말”을 쓰는가, “사랑하는 우리말”을 쓰는가, “꿈씨앗을 심는 우리말”을 쓰는가, “힘잡이(권력자) 우리말”을 쓰는가, “낡은 일본말씨 우리말”을 쓰는가, “재패니쉬나 콩글리쉬 우리말”을 쓰는가? 2021.6.9.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