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넋 58. 한국말에 없는 ‘소유격 조사’

― ‘-의’를 쓸 까닭이 없는 까닭



  흔히 쓰는 말이면서도 흔히 잊고 지나가는 말이 많습니다. 왜 그러한가 하면, 우리는 바람을 늘 마시는 목숨이면서도 늘 바람을 마시는 줄 잊고 지나가기 때문입니다. 바람을 늘 마시지만, 참말 바람을 1초라도 안 마시면 죽는다고 여기면서 늘 ‘바람 마시기(숨쉬기)’만 생각한다면 아무 일을 할 수 없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우리가 늘 쓰는 말을 굳이 더 헤아리지 않기 일쑤입니다. 아주 부드럽게 흐르는 바람이듯이 아주 부드럽게 흐르는 말입니다. 아이와 어른 모두 쉽게 바람을 마시듯이, 아이와 어른 누구나 쉽게 말을 합니다. 많이 배우거나 똑똑하거나 힘센 사람만 숨을 쉴 수 있지 않듯이, 적게 배우거나 조금 어리숙하거나 힘이 여린 사람도 얼마든지 말을 합니다.


  ‘소머리국밥’이라고 합니다. ‘콩나물해장국’이라 합니다. ‘된장찌개’라 합니다. ‘들꽃’이라 하고, ‘복숭아나무 열매’라 하며, ‘상추쌈’이라 합니다. ‘언니네 이발관’이요 ‘쌀집’이며 ‘전주식당’입니다. 한국사람은 한국말을 하면서 ‘-의’를 사이에 넣는 일이 아예 없다시피 합니다. ‘-의’를 넣는 말투는 그야말로 거의 찾아볼 수 없으며, 아예 없다고까지 할 만합니다.


  그런데 ‘남의집살이’나 ‘닭의장풀’ 같은 자리에는 ‘-의’가 들어갑니다. ‘-의’를 아예 안 쓰지는 않습니다. 다만, 이런 말을 쓰면서 ‘남집살이’나 ‘달개비’라는 말도 함께 씁니다. ‘-의’를 붙인 제법 오래된 낱말이 있어도 ‘-의’를 안 붙인 훨씬 오래된 낱말이 나란히 있습니다. ‘남의집살이’라는 낱말을 가만히 보면, ‘딴집살이·한집살이’ 같은 낱말이 떠오릅니다. 우리는 ‘나의집살이’라고 하지 않아요. 이와 맞물려 ‘너의집살이’라고도 하지 않습니다. ‘남의집살이’ 같은 말은 언제부터 왜 누구 입에서 먼저 튀어나왔을까 하고 헤아려 봅니다. 한국사람은 ‘딴집살이’처럼 말을 짓는 삶이었어요. 이 틀을 안 살피고 ‘-의’를 함부로 넣으려고 한 사람은 누구였을까요.


  한국말에는 ‘소유격 조사’가 없습니다. 왜 없을까요? 처음부터 없었기에 없습니다. 그러면 왜 한국말에는 처음부터 소유격 조사가 없을까요? 한국말에서는 쓸 일이 없으니까 없습니다. 그러면 오늘날에는 왜 소유격 조사를 쓸까요? 쓸 일이 있으니 쓴다고도 할 테지만, 쓸 일이 없으나 ‘학교 문법’이나 ‘사회 문법’으로 이를 받아들였기 때문에 쓴다고 하겠습니다. 서양 말법 틀에 따라 한국 말법을 억지로 짜맞추다가 소유격 조사가 생기고, 일본 말투가 자꾸 스며들면서 소유격 조사를 쓸 일이 불거집니다.


  한국말에서 소유격 조사를 쓸 일이 없으나 앞뒷말을 이으면서 ‘ㅅ(사이시옷)’을 쓰기도 하기에, ‘나뭇잎’이나 ‘나뭇가지’처럼 ‘ㅅ’을 넣습니다. 그런데 ‘나무토막·나무젓가락·나무집·나무뿌리·나무눈·나무꽃·나무껍질·나무때기·나무말미’처럼 ‘ㅅ’을 안 넣는 낱말이 무척 많습니다. 앞뒷말을 이으면서 ‘ㅅ’을 쓰기는 하되 ‘ㅅ’조차 그다지 안 쓰는 한국말입니다. 일본사람은 ‘나무껍질’을 ‘木の皮’로 적습니다. 이를 잘못 옮기면 “나무의 껍질”처럼 됩니다. 일본사람은 ‘나무꽃’을 ‘木の花’로 적어요. 이를 잘못 옮기면 “나무의 꽃”이 되고 맙니다.


  아이들은 학교를 다녀야 하면서 학교 문법을 배웁니다. 학교를 다니는 아이들이 ‘-의’를 소유격 조사로 여기면서 배웁니다. 어른들이 사회에서 일자리를 얻거나 책이나 신문을 읽거나 글을 쓰면서, 사회 문법에 따라 ‘-의’를 손쉽게 소유격 조사로 삼아서 퍼뜨립니다.


  예부터 한겨레는 ‘밥맛’이나 ‘된장맛’처럼 말했습니다. 그러나 요즈음은 “밥의 맛”이나 “된장의 맛”처럼 말법을 깨면서 쓰기 일쑤입니다. 한국말은 ‘들꽃’이나 ‘멧꽃’이나 ‘숲꽃’이지만, 한국 말법을 잊은 채 “들의 꽃·산의 꽃·숲의 꽃”처럼 잘못 쓰는 사람이 늘고, 이러한 말투가 올바른 줄 여기는 사람마저 나타납니다. 일본 영화 “茶の味”를 한국에서 “녹차의 맛”으로 옮겼는데, 일본 사람은 ‘の’를 넣더라도, 한국사람은 “녹차맛”이나 “차맛”으로 영화이름을 적어야 올바릅니다.


  일제강점기에 한국에 들어온 일본말과 일본 말투와 일본 한자말도 소유격 조사를 부채질했습니다. 일제강점기에 앞서까지 한국에서 여느 사람은 한자말을 쓸 일이 없었고, 지식인이 한자를 쓰더라도 ‘-의’를 사이에 넣어 말하는 일도 없었습니다. 그러나 정치와 사회와 교육이 모두 식민지가 되면서 ‘-의’를 곳곳에 넣는 글투와 말투가 퍼졌고, 해방이 된 뒤에도 이를 바로잡으려는 물결은 일지 않았습니다. 1980년대 끝무렵에 처음으로 ‘우리 글 바로쓰기’ 물결이 제법 일면서 ‘-의’를 바로잡자는 목소리가 나왔지만 이내 시들해졌어요. 요즈음은 초등학교이든 중·고등학교이든 대학교이든 사회이든 ‘-의’를 살뜰히 털면서 한국말다운 한국말을 쓰려고 생각을 가꾸는 사람이 매우 드뭅니다.


  바람맛을 몰라도 누구나 바람을 마실 수 있습니다. 바람내음을 몰라도 누구나 바람을 쐬면서 살 수 있습니다. 바람을 생각하면서 숨을 쉬는 사람이 참으로 드뭅니다.


  말맛을 몰라도 누구나 말을 할 수 있습니다. 말결을 몰라도 누구나 말을 나누면서 살 수 있습니다. 말을 생각하면서 말을 주고받거나 글을 쓰는 사람이 대단히 드뭅니다.


  ‘문체’나 ‘표현 방법’을 바꾸어야 ‘내 글투’가 되지 않습니다. 바람맛을 헤아리듯이 말맛을 헤아릴 수 있어야 ‘내 말씨’가 깨어납니다. 말마다 다른 숨결을 살피면서 읽을 때에, 사람마다 다른 넋인 줄 살피면서 읽습니다. 사람마다 다른 숨결로 살아가는 넋인 줄 살피면서 읽을 때에, 삶마다 다른 숨결이로구나 하고 살피면서 읽을 수 있고, 다 다른 사랑결과 생각결과 꿈결을 느낍니다.


  나라마다 ‘쓰는 말’이 다릅니다. 나라마다 ‘쓰는 말’이 똑같다면, 지구별에서 모든 사람이 한 가지 말만 쓸 테지만, 나라마다 ‘쓰는 말’이 다르고, 삶과 넋이 다르기에, 어디에서나 ‘다른 말’을 씁니다. 그래서, ‘관사가 없는 말’이 있고, ‘관사가 있는 말’이 있습니다. ‘관사도 성별을 갈라서 쓰는 말’이 있고, ‘관사를 쓰더라도 성별을 안 갈라서 쓰는 말’이 있습니다. 그리고, ‘소유격 조사를 쓰는 말’이 있을 테고 ‘소유격 조사가 없는 말’이 있어요. ‘토씨(조사)와 씨끝(어미)에 따라 달리 쓰는 말’이 있고, ‘토씨와 씨끝이 안 달라지는 말’이 있습니다. ‘과거분사와 현재진행형과 온갖 때매김(시제)’을 낱낱이 가리는 말이 있다면, 이를 하나도 안 가리는 말이 있습니다.


  한국사람은 한국말을 이 나라 삶과 넋에 따라서 살펴야 합니다. 영어에 ‘소유격 표현’이 있으니 한국말에도 ‘소유격 표현’이나 ‘소유격 조사’가 있어야 하지 않습니다. 한국말을 한국말대로 바라볼 수 있어야 한국말을 제대로 씁니다. 한국말을 한국말답게 배우고 가르쳐야 한국사람 누구나 한국사람답게 삶을 가꾸면서 사랑을 북돋우고 슬기롭게 꿈을 지을 수 있습니다. 4348.4.20.달.ㅎㄲㅅㄱ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넋 57. ‘말짓기’는 ‘삶짓기’

― 새로운 말을 짓지 못한다면



  우리가 쓰는 말을 제대로 살펴야 하는 까닭은, ‘말짓기’는 언제나 ‘삶짓기’이기 때문입니다. 말을 제대로 살리는 사람은 언제나 넋을 제대로 살리고, 넋을 제대로 살리는 사람은 언제나 삶을 제대로 살립니다. 이 대목을 읽어야, 말과 얽힌 수수께끼를 풉니다.


  한국사람은 한국사람으로서 토박이말만 써야 한다는 뜻이 아닙니다. 내가 쓰는 말을 내가 스스로 제대로 바라보면서 깨달아야 한다는 뜻입니다. 사람들이 흔히 ‘땡큐’라는 영어를 쓸 적에 무엇을 생각할까요? ‘내가 바로 이곳에서 영어를 쓰는구나’ 하고 생각할까요, 아니면 ‘내가 고맙다는 뜻을 나타내려고 하는구나’ 하고 생각할까요? 거의 모든 사람은 ‘고맙다’는 뜻을 나타내려고 ‘땡큐’라는 영어를 씁니다. 이런 영어를 쓰면서 영어라고 느끼는 사람은 대단히 드뭅니다. ‘감사합니다’라는 한자말을 쓰는 사람도 이와 같습니다. 한자말을 쓰는구나 하고 생각하면서 말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 테고, 그저 ‘고맙다’는 뜻을 나타내려고 ‘감사합니다’라는 말을 씁니다.


  한국사람이 ‘고맙다’라는 말을 가려서 쓸 줄 알아야 한국사람답습니다. 그러나, 영어나 한자말이나 일본말이나 중국말이나 네덜란드말이나 버마말 들을 빌어서 ‘고맙다’를 나타낼 수 있어요. 얼마든지 이렇게 말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말에 담는 넋’을 헤아리려는 몸짓이라면, 얼마든지 이렇게 해도 즐겁습니다.


  그런데, 글을 쓸 적에는 다릅니다. 글로 쓸 적에는 ‘다른 사람이 못 알아보는 글’이 있습니다. 이를테면, ‘산’이라고 하면 되는데 ‘산(山)’처럼 적는다든지, ‘시’라고 하면 되는데 ‘시(詩)’처럼 적는 사람이 있습니다. ‘숭상하다’나 ‘고대’를 쓰고 싶다면 그냥 이대로 쓰면 되는데, 굳이 ‘숭상崇尙’이나 ‘고대古代’처럼 글을 쓰는 사람이 있습니다. 영어에서도 이와 같아요. ‘봄seeing’이나 ‘컷(cut)’이나 ‘감성(heart)’이나 ‘선택할(셀렉트select)’처럼 적으면 여러모로 어지럽습니다. 따로 영어를 안 붙이고 글을 썼다면 그대로 지나갔을 테지만, 이렇게 한자나 영어를 붙이니 외려 헷갈리면서 글흐름이 가로막힙니다.


  한자나 영어를 뒤에 밝히면서 글을 쓰는 일은 ‘내가 한자나 영어를 쓴다는 생각’이 짙습니다. 그러니, 이웃하고 이야기를 나누지 못하고 말아요. ‘내가 나누려는 뜻’을 이웃한테 밝히려는 마음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말짓기는 언제나 삶짓기입니다. 먼 옛날에 누군가 ‘풀’이라는 낱말을 처음으로 지어서 쓴 사람은 이녁 삶을 지은 셈입니다. ‘하늘’이라는 낱말을 처음으로 짓고, ‘별’과 ‘해’와 ‘땅’이라는 낱말을 처음으로 지은 사람도 이와 같습니다. 말을 지으며 생각을 새로 짓고, 말과 생각을 함께 지으면서 삶을 새롭게 지어요.


  오늘날 사회에서 현대교육을 받는 사람은 어느 누구도 새말을 안 짓습니다. 오늘날 사회에서는 ‘학교에서 가르치는 말’만 받아들입니다. 사람들 스스로 ‘내 생각을 담을 새로운 말’을 떠올리거나 그리지 못합니다. 오늘날 사람들이 쓰는 ‘낱말 숫자’는 대단히 적습니다. 사전은 무척 두툼하지만, 사전에 실린 낱말 가운데 1/100이나 1/1000조차 제대로 쓰는 사람이 없습니다.


  사전과 말을 잘 헤아려야 합니다. ‘사전 한 권’에 실린 한국말은 먼 옛날부터 이 땅에서 살던 사람들 누구나 흔히 쓰던 말입니다. 사전에 실린 한자말과 영어를 뺀 모든 한국말은 먼 옛날부터 아이와 어른 모두 다 알던 말입니다. 그런데 이제 우리는 이 모든 말을 거의 다 잊습니다. 이러면서 받아들인 ‘새로운 말’은 한자말과 영어입니다.


  ‘보다’는 ‘바라보다·쳐다보다·들여다보다·살펴보다·넘겨보다·내다보다·마주보다·올려다보다·내려다보다·굽어보다’로 이어지고 ‘헤아려 보다(헤아려서 보다)’라든지 ‘생각해 보다(생각해서 보다)’처럼 깊거나 넓게 쓰임새를 넓힙니다. 이를 ‘관찰(觀察)’이라는 한자말로 꼭 나타내야 하는지를 살필 수 있어야 합니다. ‘고르다’는 ‘가리다·추리다·뽑다·솎다·집다·짚다·빼다’와 한동아리이면서 저마다 뜻과 느낌이 다릅니다. 이를 ‘선택(選擇)’이라는 한자말이나 ‘select’나 ‘choice’라는 영어로 꼭 나타내야 하는지를 살펴야 합니다.


  떨어지니까 ‘떨어지다’라 할 뿐인데, 왜 ‘추락(墜落)’이라는 한자말을 한국말에 끌어들여야 할까요? 밤이니까 ‘밤’이라 할 뿐인데, 왜 ‘나이트(night)’라는 영어를 한국말에 끌어들여야 할까요?


  ‘떨어지다’와 ‘추락’을 함께 쓸 수 있고, ‘밤’과 ‘나이트’를 나란히 쓸 수 있습니다. 이를 두고 ‘자유’와 ‘권리’라고도 할 만합니다. 자유와 권리를 마음껏 누리면서 온갖 외국말을 섞어서 써도 괜찮습니다. 그러면, 온갖 외국말을 한국말과 섞어서 쓰면서 ‘나한테 기쁘거나 반갑거나 즐겁거나 아름다운 일’은 무엇이 될는지 생각해 볼 노릇입니다. 어느 한 가지를 가리키는 말을 여러 외국말로 가리킬 수 있다면, 이때에 나한테 얼마나 도움이 될 만한지 생각할 노릇입니다. ‘숲’을 ‘森林’이나 ‘wood·forest’로 말할 수 있으면 ‘내 말’이 한결 넉넉할는지 생각해야 합니다.


  숲을 ‘숲’이라 말할 수 있을 때에 ‘숲놀이·숲내음·숲집·숲바람·숲넋’이나 ‘사람숲·말숲·생각숲·이야기숲·책숲’처럼 새로운 말과 넋과 삶을 하나씩 짓습니다. 우리가 쓸 말은 ‘토박이말’이 아닌 ‘삶에서 바탕이 되는 말’이어야 합니다. 바탕을 읽고 느끼면서 생각을 뻗어야 합니다. 물이 흐르듯 말이 흐를 노릇이기에, 새롭게 나아가며 넓어지는 말과 넋과 삶이 되도록 할 노릇입니다. 샘물이 내가 되고, 내가 가람이 되며, 가람이 바다가 되도록 할 노릇입니다. 샘물에 설탕이나 소금을 섞는들 샘물이 넓어지지 않는 줄 알아차려야 합니다.


  삶을 노래하려면 ‘노래가 될 말’을 슬기롭게 살펴야 하고, 삶을 사랑하려면 ‘사랑할 말’을 제대로 살펴야 합니다. 아득히 먼 옛날부터, 이 땅에 사람이 처음 살던 때부터, 어버이와 어른은 아이한테 ‘아이가 스스로 삶을 새롭게 짓는 바탕이 될 말’을 물려주었습니다. ‘토박이말’이 아닌 ‘삶말’을 물려주어서, 이 삶말을 바탕으로 아이가 새로운 보금자리를 손수 일구도록 이끌었습니다. 말과 넋을 아이가 스스로 지어서 삶을 기쁜 마음으로 스스로 짓도록 가르쳤습니다. 4348.3.26.나무.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넋 54. ‘표준말’은 없다

― 사람답게 삶을 가꾸며 쓰는 말



  오늘날 ‘정부 맞춤법’은 ‘정부에서 펴낸 표준국어대사전’에 실린 낱말은 붙여서 쓰고, 여기에 안 실린 낱말은 띄어서 쓰도록 합니다. 다시 말하자면, 정부에서 ‘표준으로 삼는 한국말사전’에 안 실린 낱말은 ‘한국말이 아닌’ 셈입니다.


  ‘꿈터’라는 낱말은 정부에서 펴낸 표준국어대사전에 안 실립니다. 그러나 ‘꿈터’라는 낱말은 유치원이나 학원 이름에도 쓰고, 교회나 식당 이름에도 쓰며, 사진관에다가 수많은 가게에서 두루 씁니다. ‘온누리’라는 낱말도 정부에서 펴낸 표준국어대사전에 안 나옵니다. 그러나 ‘온누리’라는 낱말도 약국이나 교회나 학교나 출판사 이름으로도 쓰고, 수많은 곳에서 이 이름을 널리 씁니다.


  우리는 스스로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정부에서 국어학자가 새로운 낱말을 지어서 표준국어대사전이라고 하는 ‘한 가지 한국말사전’에 올림말로 실어야, 이 낱말만 ‘표준말’로 배워서 써야 할까요? 아니면, 생각을 북돋우고 마음을 살찌워서 ‘우리 생각과 마음을 나타낼 낱말’을 스스로 지으면서 기쁘게 써야 할까요?


  ‘꿈터’라는 낱말을 ‘꿈 터’처럼 띄어서 쓰기만 해야 한다면, ‘꿈노래’나 ‘꿈누리’ 같은 낱말도 못 씁니다. ‘온누리’라는 낱말을 ‘온 누리’처럼 띄어서 쓰기만 해야 한다면, ‘온사랑’이나 ‘온마음’ 같은 낱말도 못 씁니다.


  《아이들의 이름은 오늘입니다》(포이에마,2014)라는 책을 읽다가 171쪽에서 “지구 온난화, 굶주림에 관한 뉴스를 쉽게 접한다. 이런 소식을 들으면” 같은 글월을 보고 곰곰이 생각합니다. 이 글월에는 ‘뉴스(news)’와 ‘소식(消息)’이라는 낱말이 나오는데, 두 낱말은 모두 한국말이 아닙니다. ‘뉴스’를 한국말사전에서 찾아보면 ‘새 소식’으로 고쳐쓰라 나오고, ‘소식’을 한국말사전에서 찾아보면 ‘알림’으로 고쳐쓰라 나옵니다. 이러한 한국말사전을 헤아린다면, ‘뉴스 = 새 알림’인 꼴이지만, 이렇게 말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새 알림’이라는 말도 그리 알맞지 않습니다. 그러면, 이 글월은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까요? “굶주림 같은 얘기를 쉽게 듣는다. 이런 얘기를 들으면”으로 바라볼 수 있습니다. 한국사람은 예부터 ‘이야기’를 나누었고, ‘이야기’를 알렸으며, ‘이야기’를 들었어요. 영어는 ‘뉴스’이고, 한자말은 ‘소식’이며, 한국말은 ‘이야기(얘기)’입니다.


  한국에서는 학교나 사회에서 말을 제대로 안 가르칩니다. 교과서에서는 말을 제대로 못 짚습니다. 정부에서는 사람들 생각과 마음을 틀이나 굴레에 가두려고만 합니다. 이리하여, 한국에서 태어나서 사는 사람은 ‘한국말’뿐 아니라 ‘말’도 제대로 모르고, 옳게 생각할 줄 모릅니다.


  지구별에서 사는 사람은 모두 ‘다른 말’을 씁니다. 나라나 겨레가 달라서 ‘다른 말’을 쓰지 않습니다. 삶터가 달라서 다른 말을 씁니다. 한국이라는 나라만 들여다보아도, 크게 가르면 평안말과 강원말과 전라말과 경상말과 충청말과 함경말과 제주말이 모두 다릅니다. 서울말과 부산말과 광주말만 다르지 않습니다. 고장마다 말이 다릅니다. 오늘날에는 교과서와 학교와 신문과 책과 공공기관 때문에 고장마다 거의 비슷한 말을 주고받지만, 교과서와 학교와 신문과 책과 공공기관이 없던 옛날에는 고장마다 모두 다른 말을 썼습니다.


  지난날 이 나라에서 중앙권력을 누리던 이들이 ‘한국말’을 안 쓰고 ‘중국말’을 쓰면서 ‘중국글’을 쓴 까닭을 헤아려 볼 수 있어야 합니다. 고장마다 말이 대단히 크게 다르니까, 중앙권력을 누리며 다스리려는 이는 ‘같은 말(표준말)’을 써야 합니다. 그런데 권력자는 ‘여느 시골에서 여느 사람이 흙을 일구고 숲을 돌보면서 쓰던 말(한국말)’을 쓸 마음이 없습니다. 이런 여느 시골말(숲말)을 쓰려고 해도 고장말이 죄 다르니 어느 하나를 골라서 쓸 수도 없습니다. 이리하여, 중앙권력은 ‘북경말’로 대표할 중국말을 표준으로 삼았고, 이를 중국글(한자)로 나타내려 했습니다. 중앙권력이 중국말과 중국글을 받아들여서 쓰면서 차츰 한자말이 퍼졌지만, 여느 시골에서 지내는 사람은 ‘제 고장말(한말)’만 쓰면 될 뿐이었습니다. 시골사람은 손수 씨앗을 심고 들과 숲을 가꾸었으니, 굳이 중국말이나 중국글을 익힐 까닭이 없고, 들을 일조차 없습니다. 해방 뒤 새마을운동이 퍼지기 앞서까지 한국에서 여느 시골에서 살던 사람은 한자말을 거의 한 마디조차 안 썼어요.


  한국에서는 새마을운동 바람이 휘몰아친 뒤부터 아이들을 몽땅 학교에 보냈고, 학교에만 보냈을 뿐 아니라 도시로 보냈습니다. 초·중·고등학교를 모두 마치고 도시로 간 시골아이는 시골말을 버립니다. 도시에서 쓰는 말을 받아들입니다. 1960∼70년대 ‘도시말’은 ‘한자말을 바탕으로 하는 표준 권력말’입니다. 토씨만 한국말일 뿐, 알맹이는 오롯이 한자말인 셈이었어요. 이 흐름이 1980년대까지 이어졌는데, 사회에 민주 바람이 불면서 ‘토씨만 한국말’이던 껍데기를 차츰 걷어냈고, 요즈음은 ‘알맹이도 한국말’인 말을 두루 쓸 수 있으나, 중앙권력을 쥔 쪽에서는 다시 ‘알맹이는 영어’인 말을 퍼뜨립니다.


  정부에서 사람들한테 퍼뜨리려는 ‘표준말’이 무엇인지 제대로 바라볼 수 있어야 합니다. 표준말은 ‘사람들이 스스로 생각을 키우지 못하거나 짓지 못하도록 가로막는 말’입니다. 사람들이 스스로 생각을 못 키우거나 못 지으면 어떻게 될까요? ‘스스로 삶을 짓는 길’과 멀어집니다.


  우리는 ‘토박이 한국말’을 써야 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스스로 생각을 짓고 삶을 짓는 길로 나아가는’ ‘말다운 말’을 스스로 생각으로 지어서 써야 합니다. 권력말이나 표준말이 아니라 ‘내 말’을 써야 하고, 서로 어깨동무를 하면서 사랑을 꿈꾸는 ‘우리 말(우리가 함께 짓는 말)’을 써야 합니다.


  ‘참다운 이야기인 생각을 그려서 보이는 말’일 때에 ‘참말’이면서 ‘삶말’이고, 이러한 말만 오직 ‘말’이라 할 수 있습니다. 공문서를 쓰거나 의사소통을 하자면 표준말이나 맞춤법을 따르기도 해야 하지만, 우리 눈길은 언제나 ‘삶을 짓는 말’과 ‘생각을 짓는 말’을 바라보아야 합니다. 4348.4.6.달.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넋 59. 교과서에 ‘한자’를 넣을 까닭이 없다

― ‘입시공부’ 아닌 ‘넋 살찌우는 말’을 살펴야



  숲을 그릴 수 있으면 모든 말이 고운 숨결이 되리라 느낍니다. 숲을 그리지 못하면 어느 말을 쓰든 고운 넋이 못 되는구나 싶어요. 그러니까, 어른이 먼저 어떤 말을 써야 하고, 아이한테 어떤 말을 물려주어야 하는가를 슬기롭게 살핀다면, 어른과 아이 모두 슬기로우면서 고운 넋이 됩니다. 어른부터 스스로 어떤 말을 써야 하는지 깨닫지 않는다면, 어른과 아이 모두 어리석거나 바보스러운 말을 쓸 뿐 아니라, 넋과 삶 모두 어리석거나 바보스러운 길로 흐르고 맙니다.


  초등학교에서 한자를 가르치든 영어를 가르치든 대수롭지 않습니다. 한자와 영어를 외국말로 옳고 바르면서 슬기롭고 아름답게 가르치면 됩니다. 그러나, 이 나라 정치권력은 초등학교에서 한자와 영어를 외국말로 똑똑히 가르치거나 제대로 가르칠 뜻이 아닙니다. 왜 그러한가 하면, 초등학교에서 한국말부터 옳거나 바르거나 슬기롭거나 아름답게 가르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초등학교뿐 아니라 중·고등학교에서도 한국말을 제대로 가르치는 얼거리가 없고, 교사는 교사대로 대학입시에 매달리느라 한국말은 뒷전으로 밀어두기 마련입니다.


  나라(정치권력)에서 교과서에 한자를 함께 쓰려고 하는 까닭은 아주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차근차근 생각해 볼 노릇입니다. 아이들이 ‘교과서만 들여다보도록 하는 입시교육’에 일찍부터 길들도록 하려는 뜻입니다. 아이들이 스스로 생각하는 힘(창조력)을 펼치지 못하도록 짓누르려는 뜻입니다.


  아이와 어른은 모두 ‘한자 하나’를 더 알거나 ‘알파벳 하나’를 더 알아야 지식이 늘지 않습니다. ‘한자말 하나’를 더 익히거나 ‘영어 하나’를 더 익혀야 생각이 자라지 않습니다. 지식을 늘리려면 지식을 늘릴 수 있도록 가르칠 노릇입니다. 생각을 키우려면 생각을 키울 수 있도록 이끌 노릇입니다.


  초등학교를 다니는 아이들은 ‘말’을 제대로 배울 수 있어야 합니다. 한국말사전을 달달 읊거나 교과서를 통째로 외워야 하는 아이들이 아닙니다. ‘살다’라는 낱말이 하나 있으면, 이 낱말로 ‘함께 살다’나 ‘모여 살다’를 그리고, ‘책삶’이나 ‘노래삶’이나 ‘숲삶’을 그리며, ‘마을살이’와 ‘꿈살이’와 ‘사랑살이’를 그릴 수 있도록 말을 슬기롭게 가르쳐야 합니다. ‘기쁘다’라는 낱말이 하나 있으면 ‘기쁘네·기쁘구나·기뻐·기쁘지·기쁘지롱·기쁘다네·기쁘구마·기쁘요·기쁘다’처럼 말끝을 바꾸면서 느낌을 바꾸는 결을 살가이 가르쳐야 합니다.


  가는 말이 고울 때에 오는 말이 고운 줄 가르치고, ‘말이라는 씨앗’을 심은 대로 넋이 자라고 삶이 피어나는 흐름을 가르치며, 모든 생각은 말로 짓는다는 얼거리를 가르칠 노릇입니다.


  학교 문턱에 처음 발을 내딛는 여덟 살 아이가 무엇을 보고 생각하면서 삶을 익혀야 하는가를 돌아보아야 합니다. 여덟 살 아이 마음에 어떤 숨결이 깃들도록 할 때에 이 아이가 아름답게 자라서 사랑스러운 꿈을 키울 만한가를 헤아려야 합니다. ‘학습 목표’가 아닌 ‘삶’을 살펴야 합니다. ‘학력 높이기’가 아닌 ‘꿈’을 보아야 합니다. 우리가 나아갈 곳은 ‘경제 성장’이 아니라 ‘삶을 사랑하면서 스스로 알차게 가꾸는 길’이어야 합니다.


  아이는 어른이 시키는 대로 따르는 톱니바퀴나 부속품이나 종(노예)이 아닙니다. 아이는 스스로 생각하고 손수 삶을 지을 줄 아는 철들고 슬기로운 사람으로 자라야 합니다. 이제 학교에서는 ‘교과서 지식을 머릿속에 들이밀어 입시지옥으로 내모는 짓’을 그만둘 노릇입니다. 초등학교부터 학교 텃밭을 일구고, 학교 운동장 둘레를 숲으로 가꾸면서, 아이들이 밭과 숲을 스스로 돌보는 손길을 키울 수 있어야 합니다. 고작 한자 몇 가지를 교과서에 넣느니 마느니 하면서 애먼 돈과 품과 겨를을 바칠 까닭이 없습니다. 초등학교에서 제대로 할 몫을 제대로 보아야 하고, 아이들이 참답게 배워서 참다운 사람으로 크는 길을 똑똑히 알아야 합니다.


  교과서에 한자를 밝혀서 알려주느냐 마느냐 하고 따지기 앞서, 교과서를 이룬 글이 아이 눈높이에 맞도록 쉽거나 바르거나 아름다운가를 따져야 합니다. 초등학교 교과서에조차 한자를 밝혀서 써야 할 만큼 그 한자말을 꼭 써야 하는가를 따져서, ‘한글로 적을 때에 곧바로 알아보면서, 이렇게 알아본 대로 생각을 밝히도록 이끄는 글’로 교과서를 고쳐쓰도록 마음을 기울일 노릇입니다. 교과서에 한자를 밝혀서 써야 한다면, 교과서 글(문장)이 엉망이라고 스스로 밝히는 셈이니까요.


  우리는 ‘삼월’을 ‘삼월’로 적고 이렇게 알면 될 뿐입니다. ‘三月’로 적고 이렇게 읽어야 할 까닭이 없습니다. 우리는 ‘글쓰기’를 ‘글쓰기’로 적고 이렇게 알면 됩니다. ‘作文’으로 적고 이렇게 읽어야 할 까닭이 없습니다. 시와 소설도 그저 ‘시’와 ‘소설’이지, ‘詩’나 ‘小說’로 적어야 할 까닭이 없습니다. ‘만화’와 ‘사진’을 ‘漫畵’와 ‘寫眞’으로 적을 줄 알기에 문화나 예술을 잘 알지 않습니다.


  어떤 분은 아이들이 ‘思慮’를 모른다고 걱정하지만, 어른도 ‘사려’가 무슨 뜻인지 제대로 모릅니다. 한자를 밝힌대서 이 한자말을 알 수 있지 않습니다. 한자말 ‘사려’는 “깊게 생각함”을 뜻합니다. 그러니까, 처음부터 “깊게 생각하다”라 말해야 누구나 알아들을 만하지, ‘사려(思慮)하다’처럼 적어야 알아들을 만하지 않습니다.


  시는 그저 ‘시’입니다. 시를 ‘시’로 적으면서, 시란 ‘삶을 노래하는 이야기’라고 가르쳐서, 아이들이 초등학교에서 ‘삶을 노래하는 이야기’를 ‘시’라는 글짜임에 맞추어서 즐겁게 쓸 수 있도록 이끌 때에 참답고 아름다운 교육입니다.


  아이들이 앞으로 걸어갈 아름다운 길을 생각해야 합니다. 어른들이 꾸려서 아이들한테 베풀 교과서는 어른들 스스로 삶을 아름답게 지으면서 깨달은 슬기를 담은 책이어야 합니다. ‘한자를 밝혀서 적느냐’는 둥 ‘영어로도 함께 적느냐’는 둥 이런 철없는 소리는 그치고, ‘삶을 이루는 바탕이 될 생각을 짓는 말’을 어떻게 알차면서 알뜰히 다스려서 가르칠 때에 아름다울까 하는 대목을 생각해야 합니다.


  한국말을 슬기롭게 제대로 배워야 영어나 중국말도 슬기롭게 제대로 배울 수 있습니다. 한국말부터 슬기롭게 제대로 쓸 줄 모르면, 외국말을 아무리 잘 배운다고 하더라도 통역이나 번역을 못 합니다. 한국말을 슬기롭게 제대로 가르칠 수 있도록 교과서를 바로잡으면, 아이들은 스스로 어떤 외국말이든 슬기롭게 제대로 배우는 아름다운 사람으로 자랍니다. 4348.3.31.불.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민들레처럼 2015-04-15 11:28   좋아요 0 | URL
맞아요. 번역된 글 보면 바로 알겠더라구요. 우리말을 모르고 뒤쳐놓아 읽어도 무슨 말인지 한참 생각해요.

숲노래 2015-04-15 16:47   좋아요 0 | URL
한국말을 제대로 모르는 채
외국책을 옮기려 하면
참말... 뭔 소리인지 알 길이 없기 마련이에요...
그렇지요...
 


말넋 53. 생각을 담는 그릇, 마음을 가꾸는 연장

― 슬기롭고 사랑스러우며 아름답게



  누구나 스스로 깨닫고 스스로 첫걸음을 내딛을 수 있어야 스스로 배웁니다. 스스로 첫걸음을 내딛지 못하면 스스로 배울 수 없습니다. 우리가 쓰는 말을 돌아보아도 이를 환하게 깨달을 만합니다. 아이는 말을 늘 스스로 배웁니다. 옆에서 어른이 말을 가르친다고도 할 터이나, 아이는 늘 스스로 말을 배웁니다. 옆에서 어른이 아무리 재잘거리거나 수다를 떨더라도, 아이 스스로 이 말을 받아들이려고 할 때에 비로소 말을 배웁니다.


  갓난아기는 ‘맘마’라든지 ‘엄마’라는 짧은 말마디부터 뗍니다. 입술을 터뜨려서 말을 터뜨립니다. 이윽고 ‘아빠’라든지 ‘까까’라든지 ‘어’라든지 ‘으’라든지 외마디소리를 하나하나 쓰면서 새로운 말로 나아갑니다. 아이는 말을 배우겠다는 뜻을 스스로 느끼면서 하나씩 배우고, 둘레 어른이 여느 때에 늘 쓰는 말을 귀여겨들은 뒤 입술을 달싹이면서 하나씩 흉내를 내요. 흉내가 시늉이 되고 시늉이 흉내가 되다가 어느새 버릇으로 굳습니다. 세 살 버릇이 여든 간다는 말처럼, 세 살 아기가 둘레 어른한테서 귀여겨듣고 익힌 말이 여든 살까지 곧게 흐릅니다.


  스스로 배워서 스스로 삽니다. 스스로 받아들인 말로 스스로 삶을 짓습니다. 이리하여, 열 살이 되거나 스무 살이 되어도, 말은 늘 스스로 배웁니다. 스스로 새로운 낱말을 받아들이고, 스스로 새로운 말투를 맞아들입니다.


  어려운 말은 없고, 쉬운 말도 없습니다. 한국사람한테 영어가 어렵지 않으며, 한국사람한테 한국말이 어렵지 않습니다. 배우려고 하는 사람은 모든 말을 다 배웁니다. 영어이든 독일말이든 프랑스말이든, 내가 스스로 배우려고 할 때에 배울 수 있습니다. 역사이든 철학이든 학문이든, 우리는 늘 스스로 배우려고 마음을 먹을 때에 하나하나 배웁니다. 내가 스스로 배우려 하지 않으면 어떤 말도 못 배워요. 그러니까, 내가 마음속으로 ‘한국말을 제대로 배우자!’ 하는 다짐을 또렷하게 새기지 않는다면, 내가 한국사람이라 하더라도 한국말을 못 배웁니다. 어릴 적부터 버릇이 되거나 길들거나 물든 대로 아무 말이나 그냥 쓰는 삶이 됩니다.


  말은 어떤 그릇일까요? 말은 생각을 담는 그릇입니다. 내가 쓰는 말은 어떤 그릇일까요? 내가 쓰는 말은 내 생각을 담은 그릇입니다. 어떤 낱말이나 말투를 쓰든, 이 낱말과 말투는 모두 내 생각을 드러냅니다. 그리고, 이 낱말과 말투에 내 마음결을 고스란히 드러내요.


  어떤 사람은 겉으로 보기에만 그럴듯한 말을 합니다. 그렇다면, 이녁은 겉보기에 그럴듯한 생각이라는 뜻입니다. 어떤 사람은 몹시 투박한 말을 쓰는데, 이 투박한 말이 참으로 사랑스럽습니다. 그렇다면, 이녁은 겉보기에는 투박하더라도 생각은 참으로 사랑스럽다는 뜻입니다.


  무슨 소리인가 하면, 이 낱말을 쓰기에 옳고, 저 낱말을 쓰기에 그르다는 뜻이 아닙니다. 어느 낱말을 쓰든, 어떤 마음결인가 하는 대목을 읽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먼저, 내 마음결을 슬기로우면서 사랑스럽고 아름답게 추스를 수 있어야 합니다. 마음결과 마음밭과 마음속과 마음자리를 튼튼히 세우고 씩씩하게 가꿀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마음바탕’을 야무지게 짓고 나서, 이러한 마음바탕에 말을 씨앗처럼 심습니다.


  이리하여, 말은 생각을 담는 그릇이면서, 생각을 가꾸는 연장이 됩니다. 내가 마음에 심는 말 한 마디는 ‘내 생각을 새롭게 가꾸는 빛이나 숨결이나 물결’처럼 흐릅니다. 내 말 한 마디는 내 마음에 바람처럼 드리우면서 햇살처럼 퍼집니다. 바야흐로 이때부터 ‘어떤 말을 어떤 자리에 어떻게 쓰느냐’ 하는 대목을 살핍니다. 마음바탕이 제대로 선 뒤에 비로소 ‘어떤 말을 쓸 때에 내 마음을 한결 슬기롭고 사랑스러우며 아름답게 가꾸느냐’ 하는 대목을 살필 수 있습니다.


  생각을 담는 그릇이기에 함부로 다룰 수 없습니다. 생각을 가꾸는 연장이니 엉터리로 다룰 수 없습니다. 내 생각그릇인 말을 함부로 굴릴 수 없습니다. 내 생각을 밝히거나 가꾸는 연장인 만큼, 더 즐겁고 기쁘게 다루려 하기 마련입니다.


  이제 나는 ‘나 혼자만 아는’ 말을 쓸 수 없습니다. 생각과 마음이 얽힌 수수께끼를 안다면, 아무 말이나 아무렇게나 쓸 수 없습니다. ‘이웃과 함께 나눌’ 말을 헤아려서 쓸 때에 아름다운 줄 알아차립니다. ‘동무와 사이좋게 주고받을’ 말을 골라서 쓸 때에 사랑스러운 줄 알아봅니다. ‘내가 스스로 마음을 가꾸면서 둘레 이웃과 동무 모두한테 따스하게 드리울’ 말을 지어서 쓸 때에 슬기로운 줄 알아냅니다.


  사람으로서 쓰는 말을 돌아봅니다. 온누리를 지은 수많은 사람들 땀방울과 웃음과 노래를 생각하면서, 내가 기쁘게 쓸 말을 돌아봅니다. 참말 아무 낱말이나 서툴게 쓸 수 없습니다. 참으로 아무 말투나 섣불리 쓸 수 없습니다. 번역 말투나 일본 말투를 쓴다고 해서 ‘나쁜’ 일은 아니나 ‘즐거운’ 일이 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중국 한자말이나 일본 한자말을 쓰기에 ‘그릇된’ 일은 아니나 ‘기쁜’ 삶이 되기 힘들 수 있습니다. 이 대목을 제대로 바라보면서 읽고 느끼면 됩니다. 즐거움으로 나아가도록 북돋우는 말결을 생각합니다. 기쁨으로 거듭나도록 이끄는 말삶을 생각하고 자꾸 생각합니다.


  말 한 마디를 제대로 바라보면서, 삶 한 자락을 제대로 바라봅니다. 말 한 마디를 제대로 갈고닦으면서, 넋과 얼을 제대로 갈고닦습니다. 말 한 마디를 슬기롭게 다스리면서, 꿈과 이야기와 사랑을 슬기롭게 다스립니다.


  ‘생각을 가꾸는 연장’은 ‘아무렇게나’ 쓸 수 없습니다. 이 연장(말과 글)은 제대로 써야 합니다. 슬기롭게 써야 합니다. 아름답고 사랑스럽게 써야 합니다. 한국사람이기에 한국말을 ‘잘’ 해야 하지 않습니다. 한국사람으로서 한국말을 ‘슬기롭고 아름다우며 사랑스럽게’ 쓸 줄 아는 한편, 사람으로서 ‘삶말’을 슬기롭고 아름다우며 사랑스럽게 쓸 줄 알면 됩니다. 삶말을 쓰는 사람이 삶을 짓고 넋을 지으며 말을 짓습니다. ‘말삶’을 읽는 사람이 삶을 읽고 넋을 읽으며 말을 읽습니다. 4348.3.7.흙.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