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빛 / 숲노래 책읽기 2023.12.7.

책하루, 책과 사귀다 192 출마모금회



  고흥읍 나래터(우체국)에 가는 날에는 〈광주일보〉하고 〈무등일보〉를 슬슬 넘기면서 이레나 보름 사이에 어떤 이야기가 실렸나 돌아봅니다. 2023년 12월 첫머리에는 ‘출판기념회 아닌 출마모금회’를 다루는 머릿글이 있군요. 어느 길잡이(대학교수)는 ‘정치신인’은 ‘출마모금회’를 해야 한다고 감싸는 말을 늘어놓습니다. 길잡이도 벼슬꾼도 책을 얼마나 안 읽느냐를 스스로 밝히는 셈입니다. 뒷글(대필작가)이 넘치는 ‘국회의원·지자체장·교육감 후보 자서전’을 내어 책수다(북콘서트)를 열어서, 책 한 자락에 백만 원도 오백만 원도 천만 원도 받는다지요. 책값은 ‘이바지(정치후원금)’에 안 들어간다는군요. 일꾼이나 심부름꾼으로 나서야 할 분들이 ‘스스로 새길을 펴려는 뜻을 다루는 책’은 안 쓰면서 ‘돈(선거비용) 긁어모으기’에 나선다면 따끔히 나무랄 일이 아닐까요? 웃돈을 책값(선거비용 정치후원)으로 내는 이들은 그이가 벼슬을 거머쥐면 고스란히 돌려받겠지요. 대놓고 벌이는 짬짜미입니다. 어느 모로 보면, 책 한 자락을 징검다리로 삼아서 돈을 버니까 ‘책 쓰임새’를 넓힌 꼴일까요? 출마모금회를 꾀하는 무리나, 이런 자리에 가서 돈을 바치는 분이나, 책을 안 읽습니다. 책조차 안 읽는데 벼슬과 돈을 쥡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빛 / 숲노래 책읽기

책하루, 책과 사귀다 191 처음 쓴 글



  ‘처음 쓴 글’ 그대로 책을 낸 적은 없습니다. 먼저 꾸러미(수첩)나 글판(편집기)에 쓰는 글조차 숱하게 뜯어고치고 손질하고 가다듬고 되읽고 나서야 누리집에 띄웁니다. 누리집에 안 띄운 채 그러모아서 책으로 낼 적조차 ‘처음 쓴 글’에서 적어도 ‘100벌은 고쳐쓴 글’이게 마련입니다. 글쓴이로서 적어도 ‘온벌고침(100벌 고쳐쓰기)’인 글꾸러미를 펴냄터에 넘기더라도, 엮는이(편집자)가 살펴보고서 줄이거나 고쳐 달라고 말씀하기 일쑤요, 기꺼이 줄이거나 고칠 뿐 아니라, 통째로 새로쓰기를 하기도 합니다. 여덟 해째 통째로 새로쓰기를 했지만 또 새로쓰기를 하는 글꾸러미도 있습니다. ‘처음 쓴 글’이든 ‘통째로 새로쓴 글’이든, 글쓴이 마음과 엮는이 마음과 읽는이(독자) 마음은 다릅니다. 어느 분은 제가 차마 보여주고 싶지 않은 ‘처음 쓴 글’이 훨씬 낫다고 합니다. 어느 분은 ‘그렇게 숱하게 고쳐쓴 줄 몰랐다’고 합니다. 어느 분은 ‘100벌 고쳐쓴 글’이 아직 못마땅하다고 합니다. 어느 쪽이 옳을 수 없습니다. 다 다른 눈길일 뿐이에요. 제가 쓴 책을 사랑해 줄 수 있지만 싫어하거나 꺼릴 수 있어요. 제 책을 사랑하는 이웃님한테는 “고맙습니다” 하고 여쭙고, 싫어하는 분한테는 “잘못했습니다” 하고 여쭙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 숲노래 책읽기

책하루, 책과 사귀다 190 든



  네가 하든 내가 하든 하루를 짓는 길입니다. 우리가 하든 너희가 아든 사랑을 담아 살피니 아름다워요. 작은 책이든 큰 책이든, 값싼 판이든 비싼 판이든, 헌책이든 새책이든, 손수 장만하든 빌리든, 읽고 배워서 새롭게 펴는 마음이라면 모두 푸르게 마음을 가다듬는 책길을 밝히는구나 싶어요. 시골이든 서울이든 마당이 있는 보금자리로 살림집을 추슬러서 느긋이 풀꽃나무를 품기에 어깨동무하는 이웃으로 지냅니다. 들이든 숲이든 바다이든 사람만 살아가지 않습니다. 새이든 풀벌레이든 벌나비이든 숲짐승이든 모두 동무삼으면서 마음으로 생각을 나눕니다. 어제이든 오늘이든 모레이든 우리 삶이자 하루예요. 순이로 살든 돌이로 살든 저마다 사람빛을 밝히는 웃음노래로 춤사위를 펴고, 눈물노래로 다독일 줄 알기에 사랑스레 만나 짝꿍을 이룹니다. 어느 말을 혀에 얹든 사랑을 헤아리면서 푸른숲을 그리면 별빛으로 반짝입니다. 고단하든 지치든 아프든 괴롭든 가싯길이나 자갈길을 헤치고 나오면 꽃길이 나와요. 먹든 굶든 대수롭지 않습니다. 아무튼 우리는 스스로 든든하게 서고 튼튼하게 가꾸는 마음으로 이곳에서 만나고 헤어지면서 이야기를 지어요. 마음에 들든 안 들든 가리지 말고 사랑인가 아닌가를 살피며 아침해를 바라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 숲노래 책읽기

책하루, 책과 사귀다 189 고르는



  마을책집으로 책마실을 자주 나서지만, ‘고르기’는 하지 않습니다. 저는 책을 골라서 사지 않습니다. 저는 책을 읽고서 삽니다. 어느 마을책집으로 가든, 늘 이 마을책집에 있는 책을 살펴서 장만했을 뿐입니다. 저는 책집에 미리 여쭈어 어느 책을 갖다 놓아 주기를 바라지 않습니다. 문득 어느 책이 떠오른다 하더라도 그 책이 마을책집에 있으면 그자리에서 장만하고, 없으면 잊거나 다른 마을책집에 가서 장만합니다. 책집마실을 할 적에 ‘고르기(선택)·시키기(주문)’를 아예 안 하는데요, 책집마실은 “두고두고 되읽을 책을 찾아서 품으려는 길”입니다. 책집에 서서 읽고서 마음을 울리면 ‘글쓴이가 못마땅하건 말건 따질 일이 없’습니다. 마음을 안 울리는 책이라면 ‘글쓴이를 좋아했고 꾸준히 챙겨 읽었’어도 굳이 장만하지 않아요. 손수 사랑을 담기에 한결 즐거이 우리 몸에 들어올 만하다고 생각합니다. 밥도 바람도 물도 책도 글도 이야기도 매한가지입니다. 누가 “그런 책을 왜 읽어?” 하고 따지면 “후줄그레한 책을 읽어서 잘못했습니다. 다만 저는 낱말책을 쓰는 터라, 모든 사람들이 쓰는 온갖 말을 살피려면 모든 책을 사랑해야 해서요.” 하고 절을 합니다. 고르고 싶지 않아요. 읽고 새기고 새길을 지을 뿐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책하루, 책과 사귀다 188 책값 1억 6500만 원



  지난 2021년에 나왔다고 하는 《대한민국을 지배하는 혼맥지도》라는 책이 있다고 합니다. 글쓴이 신학림 씨는 김만배 씨한테서 ‘1억 6500만 원’을 받고서 이 책을 팔았다고 밝히는데, 책이 참말로 나왔는지부터 알 길이 없습니다. 국립중앙도서관에도 없고, 누리책집이건 헌책집이건 아예 뜨지를 않아요. 〈한겨레〉 글바치는 김만배 씨한테서 9억 원을 받았다고 하니, ‘책값 1억 6500만 원’은 푼돈(?) 같아 보입니다. 책집하고 책숲에조차 안 들어가는 책에 이렇게 돈을 받았는데, 더구나 ‘대통령 선거를 며칠 앞둔 날’ 돈을 받고서 〈뉴스타파〉에 글(인터뷰 기사)을 실었군요. 책으로 같잖게 장난을 치고 뒷돈이 오가고 춤추는 글판입니다. 신학림 씨는 ‘조중동 이너써클’을 갈무리해서 나무랐다지만, 막상 이녁 스스로도 ‘먹물판 이너써클’로 돈잔치를 벌인 창피한 민낯입니다. 조중동만 손가락질한대서 이 나라가 깨끗하게 바뀌지 않습니다. 먼저 스스로 깨끗하게 살아야지요. 나라지기를 맡은 이가 모지리처럼 굴기에, 이녁도 모지리처럼 살아도 되지 않습니다. 휜 붓으로는 등도 손도 눈도 마음도 휘어버립니다. 곧게 쥐는 붓으로 곧게 살림을 지을 적에 비로소 스스로도 곧고, 푸른숲을 짓는 씨앗을 글 한 자락으로 심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

.

.

제발, 창피한 줄 압시다.

"세금 납부 아직 못 해"가 아닌 "세금 낼 마음이 아예 없었"겠지요.

뒷돈이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