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빛 2023.1.9.

책하루, 책과 사귀다 156 몇 갈래 책



  우리가 장만해서 곁에 두는 책은 몇 갈래로 바라볼 만하다고 느껴요. 곧바로 읽을 책, 나중에 읽을 책, 두고두고 읽을 책, 꾸준히 되읽을 책, 틈틈이 읽을 책, 아이하고 읽을 책, 아이한테 물려줄 책, 이웃한테 건넬 책, 내가 나한테 사랑으로 베풀 책, 여기에 스스로 살아낸 하루를 스스로 갈무리하면서 스스로 쓴 책, 이렇게 말이지요. ‘인문책·문학책·예술책·자기계발서·치유도서·참고서’ 같은 허울을 내려놓아야 비로소 ‘책을 책대로 바라보는 눈썰미’를 누구나 스스로 틔울 만하리라 생각합니다. ‘사장·대표·씨이오’나 ‘유명인·연예인·작가’나 ‘대통령·정치인·군수·시장’ 같은 허울에 사로잡히면 그들도 우리도 마음으로 마주하면서 사랑으로 이야기꽃을 피우는 길이 가뭇없이 사라집니다. 하늘은 ‘하늘’일 뿐, ‘창공·허공·공중·스카이’가 아닙니다. 비는 비인데, ‘빗물·빗방울’이 아닌 ‘강수량·강우량’을 따진다면, 빗빛을 잃다가 놓칩니다. 줄거리를 읽고 이야기를 읽으며 이름빛하고 마음빛을 읽을 책입니다. 허울이나 껍데기나 겉모습이나 겉치레에 얽매일 책이 아닙니다. 눈을 감고서 마음을 보아야, 눈을 뜨고서 책을 읽을 수 있습니다. 눈을 틔워 별빛을 보아야, 눈을 밝혀 숨빛을 저마다 깨닫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책하루, 책과 사귀다 155 존재



  제가 생각하는 대단한 일은 숨쉬기예요. 늘 마시는 숨이 무엇인가 하고 돌아본 적이 있나요? 우리가 받아들이는 숨이란 하늘을 이루는 바람이고, 이 바람은 온누리를 가볍게 돌고돌아요. 우리는 숨쉬기를 하며 바람쉬기를 하고 하늘쉬기를 하는 삶이에요. 삶을 빛내는 숨결은, 언제나 흐르는 햇볕하고 별빛을 우리가 스스로 받아들이면서 피어나는 줄, 늘 하는 숨쉬기로 새롭게 알아차려요. 둘레에 “시간이 없다”고 말하는 분이 참 많아요. 네, 이 말마따나 참말로 “시간은 따로 없지”요. “시간이란 존재는 없다”고 해야 맞아요. 그리고 ‘존재’란 일본 한자말도 우리말에는 없어요. 우리말은 ‘있다·임(님)·이제(이때)·일·잇다(이야기)·이(사람)·이빨(나이)·입(옷)·이르다(말하다+닿다+날)·일다(물결)·이루다(짓다)·이다(짐+할거리)’입니다. 누구한테나 언제나 ‘이곳(여기)’이 있습니다. 따로 재거나 따질 때(시간)는 참말로 없습니다. ‘이곳 = 오늘’입니다. 스스로 바라보고 생각하며 나아가는 오늘(이곳)을 누리기에 “시간이 없어 못 할 일”이란 없어요. “시간이 없다는 생각에 안 하는 일”만 잔뜩 있어요. 이제는 ‘우리말에 없는 존재’도 ‘처음부터 아예 있지도 않던 시간’하고 함께 잊기로 해요. 나를 잃지 말고.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 숲노래 책넋 2022.12.30.

책하루, 책과 사귀다 154 주례사비평



  저는 모름지기 스스로 값을 치러서 산 책이나, 책집·책숲(도서관)에 가서 읽은 책을 놓고만 느낌글을 씁니다. 사든 받든 ‘읽은 책’만 느낌글을 쓰고, 느낌글 한 자락을 쓰려면 적어도 열 벌을 되읽고서 씁니다. ‘갓 나온 책을 바로 느낌글로 쓰는 일은 아예 없’습니다. 되읽고서 삭일 때까지 기다려요. 어느 책은 첫벌읽기부터 열벌읽기에 이르도록 따사로운 숨빛이 깨어난다고 느끼고, 어느 책은 내내 ‘좋게만 봐주시오’ 같은 목소리를 느낍니다. 적잖은 분들은 ‘주례사비평(마냥 좋게만 말하기)’을 바랍니다. 큰 펴냄터는 ‘서평단’을 꾸리고, ‘첫판에 50∼500자락에 이르는 책을 뿌리’기도 합니다. “기껏 책을 보내주었데 왜 악평을 하느냐?” 하고 따지는 분도 있습니다. 이런 분한테는 “비평을 바라며 책을 보내셨습니까, 아니면 주례사비평을 바라며 책을 보내셨습니까? 비평을 바란다면 책을 보내시고, 주례사비평을 바란다면 책을 보내지 마십시오.” 하고 점잖게 여쭈었습니다. ‘스스로 일구고 지은 살림빛을 나누려는 뜻’으로 글쓰기·책쓰기를 했다면 저절로 빛납니다. ‘스스로 내세우는 자랑’이 티끌만큼이라도 깃들면 ‘티가 납’니다. 티내려는 글·책이 아닌, 빛씨앗을 나누고 심는 넋으로 글·책을 짓기를 빕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 숲노래 책넋 2022.12.27.

책하루, 책과 사귀다 153 책상은 책상이다



  서울대 앞 〈책상은 책상이다 2〉이란 이름인 헌책집에 1994년에 처음 찾아간 날, 책집지기님이 열아홉 살 젊은이한테 《책상은 책상이다》를 건네었습니다. “오늘 있는 책은 허름한 판밖에 없지만 속은 멀쩡하니까 읽어 보게.” 하더군요. 이날 헌책집지기님이 건넨 책을 읽고서 한동안 이 책에 사로잡혔습니다. “그래, 책상은 책상이야. 사람은 사람이야. 사랑은 사랑이야. 바보는 바보야. 그저 그뿐이야. 높지도 않고 낮지도 않아. 같지도 않고 다르지도 않아. 마음을 보려고 해야 마음을 볼 수 있어. 마음을 안 보려 하면 끝끝내 마음을 못 볼 테지.” 하는 생각을 혼자 전철길에서 가다듬으며 되읽었습니다. 아름다운 책을 만나면 “아름책입니다.” 하고 서글서글 말합니다. 거짓스런 책을 만나면 “거짓책(비추천도서)입니다.” 하고 말합니다. 저는 아름책도 거짓책도 읽습니다. 아름책에서는 아름빛을 읽으면서 배우고, 거짓책에서는 거짓빛을 느끼면서 배웁니다. 이렇게 살아가니 아름답고, 저렇게 살려 하니 거짓스럽습니다. 삶은 두갈랫길(양자택일)이 아닙니다. 아름빛을 보고 싶다면 아름길로 갈 뿐이고, 거짓수렁에 잠기고 싶으니 거짓길로 빠져요. 낱말책(사전)을 쓰니까, 안 가리고 모든 책을 읽되, 참거짓을 헤아리고 짚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 숲노래 책넋 2022.12.27.

책하루, 책과 사귀다 152 비추천도서



  푸른배움터를 다니던 열일곱 살 무렵부터 ‘책느낌글’을 썼습니다. 오로지 스스로 읽고 느낀 대로 썼어요. 열일곱 살 푸름이가 글님이나 펴냄터를 알 턱이 없고, 그저 글빛에 흐르는 숨결을 하나하나 새기면서 나 스스로 어떻게 느끼고 삭여서 새롭게 바라보려 하느냐는 이야기를 여미었습니다. 아름책은 아름책이라 말했고, 거짓책(비추천도서)은 거짓책이라 말했어요. 제 책느낌글을 읽은 동무는 “야, 굳이 비추천도서라고 해야 하니?” 하고 묻습니다. “그럼 너는 네가 시험 볼 적에 늘 틀리는 문제를 네가 왜 틀리는지 내가 뻔히 아는데 모르는 척하고 안 짚어 주기를 바라니?” “아니, 그럼 안 되지. 알려줘야지.” “그래, 똑같아. 아름다운 책은 아름답다고 말해야겠지? 그럼 비추천인 책은 비추천이라고, 거짓책이라고 말해야지. 이뿐이야. 달리 아무 마음은 없어.” 손잡이랑 자리(안장)를 안 맞춘 채 자전거를 타면 등허리가 휘고 목이 아프며 넘어지기 좋습니다. 이웃이 자전거를 즐겁게 타기를 바라기에, ‘자전거 매무새’를 하나하나 짚어 줍니다. 우리가 읽는 책도, 글님이나 펴냄터에서 장삿속에 거짓말에 겉치레에 눈속임에 얕은꾀를 잔뜩 버무렸다면, 그저 이 대목을 낱낱이 짚으면서 “거짓책은 거짓책입니다”라 밝힙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