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4.4.5.

오늘말. 키잡이


어린이는 앞장서서 걷기를 즐깁니다. 어디로 가야 하는지 모르더라도 둘레 여러 사람을 끌면서 조잘조잘 노래하면서 웃습니다. 아이 뒤에서 차근차근 따라가면서 곰곰이 생각합니다. 오늘은 어른인 몸이라서 뒤서며 가는데, 지난날 아이인 몸으로서 앞서갈 적에 얼마나 신나게 콩콩 뛰었는가 하고 되새깁니다. 첫단추란 첫길이면서 첫물이기도 하지만, 이제부터 곧게 뻗으려는 첫마음이기도 합니다. 첫밗이란 처음이자 새길이기도 하며, 오늘부터 고루 품으려는 첫꿈이기도 합니다. 맨앞에 있어야만 키잡이 노릇이지 않습니다. 꼭두가 아닌 꼬리여도, 옆이나 가운데여도, 키를 쥐면서 길잡이로 북돋웁니다. 앞뒤를 보며 걸어갑니다. 여러모로 둘러보면서 거닙니다. 움트는 잎을 바라보고, 싹트는 앉은꽃을 살핍니다. 어른한테서 배우는 아이일 때가 있고, 아이가 가르치는 어른일 때가 있어요. 먼저 알기에 가르치지 않습니다. 미리 익혔기에 횃불잡이로 서지는 않아요. 찬찬히 피어나는 꽃처럼 사랑으로 해돋이를 그리는 꿈이기에 우등불처럼 따뜻하게 안습니다. 아이가 손을 잡고서 우리를 데려가는 곳을 내다봐요. 어떤 첫씨앗이 깨어나는 새바람인지 지켜봐요.


ㅅㄴㄹ


세로·죽·두루·고루·곧게·곰곰이·길게·차곡차곡·차근차근·찬찬히·앞뒤·흐름·여러모로·이래저래·이럭저럭 ← 통시적(通時的)


끌다·이끌다·앞·앞장서다·앞서다·앞서가다·앞잡이·앞꽃·앞길·앞님·앞사람·앞지기·앞내기·앞어른·길잡이·가르치다·이슬떨이·해돋이·해뜸·먼저가다·먼저하다·미리가다·일찍·일찌감치·새물·새물결·새바람·새빛·새길·처음·첫물·첫사람·첫지기·첫길·첫단추·첫밗·맨앞·꼭두·키잡이·키·다스리다·데려가다·횃불·화톳불·우등불·장작불·큰불·싹트다·움트다·첫싹·첫씨앗 ← 선구(先驅), 선구자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4.4.5.

오늘말. 나날살이


겨울잠을 깬 개구리는 하나둘 풀밭으로 나오면서 하루를 노래합니다. 먼저 깨어나는 개구리가 있고, 느즈막이 일어나는 개구리가 있습니다. 모두 다른 발자국으로 오늘을 맞이합니다. 첫봄이 지나고 한봄으로 이으면, 어느새 못물이나 냇물이나 논에 올챙이가 헤엄쳐요. 사람이 지나가는 발소리를 느끼면 헤엄질을 멈추고, 사람이 떠나는 발결이라면 다시 헤엄칩니다. 잎이 돋고 꽃이 피는 나날입니다. 꽃봄을 맞이하면서 풀꽃글을 적어 봅니다. 꽃내음으로 피어날 삶꽃을 그리면서 나날살이를 가꾸자고 생각합니다. 나비는 어느 길을 따라서 날까요. 새는 길눈을 어떻게 밝혀서 바람을 탈까요. 둘레에서 흐르는 살림자국이란 늘 새록새록 살림노래요 살림얘기입니다. 이 삶을 적바림합니다. 살아온 길을 더듬으면서 살아갈 길을 헤아립니다. 어느 날에는 눈부시고, 어느 때에는 가라앉고, 어느 철에는 피어나는 고리를 들여다봅니다. 지난날은 아쉬울 수 있고 기쁠 수 있습니다. 새길은 설렐 수 있고 걱정스러울 수 있습니다. 한 걸음씩 내딛습니다. 길꽃을 쓰다듬으면서 한 발짝씩 나아갑니다. 살아가는 이야기를 품고, 살아낸 해적이를 다독입니다.


ㅅㄴㄹ


삶·-살이·삶길·사는길·삶꽃·삶맛·삶멋·삶소리·살아갈 길·살아온 길·살다·살아가다·살아오다·살아내다·사람살이·사람살림·사람삶·사람사이·걸어온 길·새길·고리·걸음·길·길눈·길꽃·곬·돌·나날살이·나날살림·지난날·오늘·이승·하루·나날·날·날짜·발걸음·발길·발씨·자국·자취·발자국·발자취·발짝·발짓·발결·발소리·들빛글·들꽃글·풀빛글·풀꽃글·살림글·삶글·삶빛글·살림자국·살림얘기·살림노래·살림하루·삶자국·삶얘기·삶적이·얘기·이야기·해적이 ← 인생(人生), 인생길(人生-), 인생사, 인생여로, 인생행로, 인생행보, 인생기록, 인생회고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인생여로·인생행로



 파란만장한 인생행로 → 굽이치는 삶길 / 물결치는 발걸음

 장차 어떤 인생행로를 밟을지 → 앞으로 어떤 길을 밟을지 / 앞으로 어떻게 살지

 인생여로가 백팔십도로 급선회하고 있는 순간이었다 → 삶길이 확 바뀌는 때였다

 나의 인생여로는 내가 결정했다 → 내 하루는 내가 잡았다


인생행로(人生行路) : 사람이 살아가는 한평생을 나그넷길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인생여로 : x

인생길(人生-) : 사람으로 태어나서 세상을 살아가는 길

여로(旅路) : 여행하는 길. 또는 나그네가 가는 길 ≒ 객로·여도



  살아갈 길이라면 “살아갈 길·살아온 길”입니다. 간추려 ‘삶길’이라 할 만합니다. 살아갈 길이란 앞으로 나아갈 길이니 ‘앞길·앎삶’이라 할 만하고, ‘삶·-살이’이기도 해요. ‘삶길·사는길’이자 ‘삶꽃·삶맛·삶멋·삶소리’에  ‘살다·살아가다·살아오다·살아내다’요, ‘사람살이·사람살림·사람삶·사람사이’입니다. “걸어온 길”이며 ‘새길·고리·걸음’이고요. 수수하게 ‘길·길눈·길꽃·곬·돌’이나 ‘나날살이·나날살림·지난날’이라 할 만하고, ‘오늘·이승·하루·나날·날·날짜’나 ‘발걸음·발길·발씨·자국·자취’라 할 수 있습니다. ‘발자국·발자취·발짝·발짓·발결·발소리’라 해도 어울려요. ‘들빛글·들꽃글·풀빛글·풀꽃글’이나 ‘살림글·삶글·삶빛글’로도 나타내고, ‘살림자국·살림얘기·살림노래·살림하루’나 ‘삶자국·삶얘기·삶적이’나 ‘얘기·이야기·해적이’라 할 때도 있습니다. ㅅㄴㄹ



정상적인 인생행로를 가로막는 하나의 굴레이기도 하다

→ 제대로 살지 못하도록 가로막는 굴레이기도 하다

→ 제대로 못 살하도록 가로막는 굴레이기도 하다

→ 삶길을 제대로 못 가게 가로막는 굴레이기도 하다

《눈 밖에 나다》(국가인권위원회 엮음, 휴머니스트, 2003) 54쪽


세월이 흘러 나도 인생여로의 막바지에 이른 몸

→ 하루하루 흘러 나도 막바지에 이른 몸

→ 삶길이 흘러 나도 막바지에 이른 몸

→ 나이를 먹어 나도 막바지길에 이른 몸

《조선과 일본에 살다》(김시종/윤여일 옮김, 돌베개, 2016) 18쪽


앞으로의 인생행로에 길잡이가 되어 주었어

→ 앞으로 살아갈 길이 빛이 되어 주었어

→ 앞으로 살아갈 길이 불빛이 되어 주었어

→ 앞삶에 길잡이가 되어 주었어

→ 오늘을 밝혀 주었어

→ 하루를 비춰 주었어

《독립을 향한 열정의 기록, 백범일지》(강창훈, 책과함께어린이, 2018) 4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내선일체



 내선일체를 강요하는 사회였다 → 일본따라지를 시키는 나라였다

 내선일체의 교육에 순응하면서 → 일본앞잡이로 배우고 길들면서

 이들은 각처에서 내선일체를 주입시켰다 → 이들은 곳곳에서 일본바라기를 욱여넣었다


내선일체(內鮮一體) : 일본과 조선은 한 몸이라는 뜻으로, 일제 강점기 때 일본이 조선인의 정신을 말살하고 조선을 착취하기 위하여 만들어 낸 구호



  일본하고 조선이 한몸이라고 억지로 내세우던 지난날 발자취가 있습니다. 이는 ‘일본바라기·일본사랑’을 시키거나 밀어댄 셈이고, “일본에 붙다·일본을 돕다·일본을 거들다”를 하라고 다그친 굴레입니다. 이러한 굴레는 ‘일본따라지·일본허수아비’로 세우고, ‘일본노리개·일본앞잡이’로 부리려는 꿍꿍이였습니다. ㅅㄴㄹ



‘내선일체’를 부르짖으면서 독립운동투사를 질서 파괴자로 매도하였고

→ ‘일본사랑’을 부르짖으면서 나라너울지기를 몹쓸놈으로 깎아내렸고

→ ‘일본바라기’를 부르짖으면서 들불지기가 나라를 망가뜨린다고 뜯었고 

《우리 기쁜 만남의 그날까지》(노웅희, 청년사, 1990) 18쪽


이른바 내선일체를 오히려 자부로 여기고 있었습니다

→ 일본바라기를 오히려 자랑하였습니다

→ 일본따라지를 오히려 뽐냈습니다

《조선과 일본에 살다》(김시종/윤여일 옮김, 돌베개, 2016) 1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해방 解放


 노예 해방 → 빗장풀기 / 종을 놓다 / 굴레풀기

 약소민족의 해방 → 여린겨레 해뜸

 과중한 업무에서 해방이 된 홀가분한 마음 → 무거운 짐에서 벗어난 마음

 감옥 생활에서 해방되어 자유를 찾았다 → 사슬살이에서 풀려 나래를 편다

 완고한 아버지에게서 해방되었다는 즐거움으로 → 갑갑한 아버지한테서 나오며 즐거워

 비인간적인 중압에서 인간을 해방하여 → 끔찍히 눌린 사람을 빼내어

 일본의 항복으로 우리는 해방을 맞았다 → 일본이 물러나며 우리는 아침을 맞았다

 일제로부터 해방되다 → 일제한테서 홀로서다


  ‘해방(解放)’은 “1. 구속이나 억압, 부담 따위에서 벗어나게 함 2. [역사] 1945년 8월 15일에 우리나라가 일본 제국주의의 강점에서 벗어난 일”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가두지 않다·안 가두다·가슴펴다·묶지 않다·안 묶다’나 ‘날갯짓·나래짓·날개펴다·나래펴다·어깨펴다’나 ‘너른마당·너른뜰·너른뜨락·너른터·너른판’으로 손봅니다. ‘넘나들다·녹다·녹이다·놓다·놓아주다’나 ‘열다·열리다·열어젖히다’나 ‘트다·트이다·틔우다’로 손보고, ‘풀다·풀리다·풀려내다·풀어내다·풀어놓다·풀어주다’나 ‘가볍다·호젓하다·홀가분하다·후련하다’로 손봅니다. ‘다독이다·다독꽃·다독빛·달래다·달램꽃’이나 ‘마당·한마당·한마루·한잔치·한꽃터·한뜰·한뜨락’으로 손볼 만하고, ‘해돋이·해뜸·아침맞이·열린터’나 ‘벗다·벗기다·벗어나다·보내다·헤어나다’나 ‘빗장열기·빗장풀기·빼내다·적시다’로 손볼 수 있어요. ‘혼넋·혼얼·홀넋·홀얼·혼자서다·홀로서다’나 ‘살림너울·살림물결·살림바다’나 ‘삶너울·삶물결·삶바다·삶꽃너울·삶꽃바다’로 손보고, ‘스스로·스스로길·스스로가다·스스로서다’나 ‘저절로길·저절로가다’나 ‘건지다·꺼내다·끄집어내다·펴다·펼치다’로 손봅니다. ‘시원하다·앓던 이가 빠지다·어깨가 가볍다·짐을 벗다’나 ‘알다·알아내다·알아차리다’로 손볼 수 있고, ‘온빛·초·촛불·촛불물결·촛불너울·촛불모임·촛불바다’로 손보며, ‘일다·일어나다·일어서다’로 손봅니다. ‘나가다·나오다·들고일어서다·떨치다’나 ‘들너울·들물결·너울·물결·물결치다·바다’나 ‘박차다·물리치다·이기다·딛고서다’로 손보아도 됩니다.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해방’을 넷 더 싣는데 다 털어냅니다. ㅅㄴㄹ



해방(亥方) : [민속] 이십사방위의 하나. 정북(正北)에서 서로 30도 각도를 중심으로 한 15도 각도 안의 방향이다 ≒ 해

해방(海方) : 다른 나라를 이르는 말 = 해외

해방(海防) : 바다로부터의 침입이나 피해 따위를 미리 막아 지킴

해방(海防) : [지명] ‘하이퐁’의 음역어



해방 운동을 재정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 홀로서기에 들어가는 돈을 댄다

→ 들꽃너울에 쓸 돈을 뒷받침한다

→ 들물결을 돈으로 도와준다

→ 혼자 서려는 곳에 돈을 보내 준다

《인권운동》(린다 H.존스/안재웅 옮김, 종로서적, 1988) 16쪽


사진은 세계를 보는 안목을 높여 주고 정신의 해방감을 준다

→ 빛꽃은 온누리를 보는 눈을 높여 주고 마음을 달래 준다

→ 빛그림은 둘레를 보는 눈길을 높여 주고 마음을 풀어 준다

《나의 아름다운 창》(신현림, 창작과비평사, 1998) 6쪽


정치적 해방만을 바라는 사람들에겐 영혼의 해방을 되새기고

→ 나라가 풀리기만을 바라는 사람한텐 넋풀이를 되새기고

→ 사슬을 벗기만을 바라는 사람한텐 마음풀이를 되새기고

→ 나라가 홀로서기를 바라는 사람한테는 넋부터 되새기고

→ 나라를 바꾸고자 하는 사람한테는 마음을 바꾸라 되새기고

《비급 좌파》(김규항, 야간비행, 2001) 187쪽


자라나는 새싹들을 입시지옥에서 해방시키자는 명목으로

→ 자라나는 새싹을 배움불굿에서 풀어내자는 뜻으로

→ 자라나는 새싹을 배움수렁에서 건져내자면서

《한국경제 아직 늦지 않았다》(정운찬, 나무와숲, 2007) 433쪽


이제야 해방됐다

→ 이제야 풀렸다

→ 이제야 풀려났다

《모야시몬 1》(이시카와 마사유키/김완 옮김, 시리얼, 2015) 186쪽


자신의 힘을 처음으로 해방하는 걸 테죠

→ 제 힘을 처음으로 풀어놓았을 테죠

→ 제 힘을 처음으로 열었을 테죠

→ 제 힘을 처음으로 끄집어냈을 테죠

→ 제 힘을 처음으로 펼쳤을 테죠

《드래곤볼 슈퍼 8》(토요타로·토리야마 아키라/유유리 옮김, 서울문화사, 2019) 51쪽


자궁에서 해방된 또 다른 시작일 텐데

→ 아기집서 풀려난 또 다른 처음일 텐데

《푸른 돌밭》(최정, 한티재, 2019) 45쪽


그렇게 되면 스태미나가 바닥날 때까지란 시간 제약에서 해방될 테죠

→ 그러면 기운이 바닥날 때까지란 틀에서 벗어날 테죠

→ 그러면 힘이 바닥날 때까지란 굴레에서 풀릴 테죠

《드래곤볼 슈퍼 16》(토요타로·토리야마 아키라/유유리 옮김, 서울문화사, 2021)

 103쪽


해방 80여 년이 되는 지금까지 친일파는 국민의 공분을 사고 있습니다

→ 너울길 여든 해가 되는 오늘까지 일본바라기는 손가락질을 받습니다

《선생님, 친일파가 뭐예요?》(김삼웅, 철수와영희, 2023) 6쪽


식민지 해방은 곧 책의 해방이었다고 했다

→ 재갈에서 풀리니 곧 책도 풀렸다고 했다

→ 고삐가 풀리니 곧 책도 풀려났다고 했다

《서점의 시대》(강성호, 나무연필, 2023) 9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