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1.4.21. 최고의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어느새 몇 해 앞서 처음 손을 댄 일이 되고 만 “손질말 꾸러미(순화어 사전)”가 있습니다. 이제나 저제나 마무리를 지으려나 하면서 날마다 꾸준히 보태고 손질하고 여미다가 ‘최고(最高)·최고(最古)’라는 두 가지 한자말을 놓고서 이모저모 가다듬다가 그만 큰일이 벌어졌습니다. 제가 글을 쓰는 풀그림은 1998년에 나온 ‘새롬 데이타맨 프로’이고 여태 아무 말썽 없이 잘 굴러갔는데, 그만 ‘매크로 오류’로 몇 해치 일감에 벌레(버그)가 엄청나게 들어앉았습니다.


  엄청나게 들어앉은 벌레를 하나씩 솎자면 여섯∼여덟 달은 걸리지 싶습니다. 벌레처럼 들러붙은 ‘매크로 오류’를 날마다 조금씩 덜어내면서 “내가 생각해도 이 끔찍한 일을 바로잡으려고 하는 너도 대단하구나” 하고 혼잣말을 합니다. 그나마 ‘ㄱ’부터 ‘이’까지는 벌레가 안 붙었고, ‘익’부터 ‘힝’까지 붙었으니 천천히 나아가야겠지요.


  낱말책을 이루는 밑글(기본 파일)은 대단히 큽니다. 그래서 저는 hwp로 나오는 글자락이 아닌 txt로 나오는 글자락을 써요. 제가 쓰는 밑글을 hwp로 담으면 셈틀이 터질 만큼 부피가 큽니다. 그나마 오직 글·무늬(기호)만 담는 txt로 담으니 셈틀이 버티어 주지요. 가만 보면 제가 쓰는 셈틀은 txt 글이 부피를 적게 잡아먹어도 엄청나게 많아서 후덜덜하더군요. 셈틀을 바꿀 때가 한참 지나기는 했습니다. 낱말책을 쓰는 사람이 다룰 셈틀은 프로게이머가 다루는 셈틀이어야겠다고 느껴요.


  이러구러 ‘최’씨가 ‘최’씨를 했다고 생각하면서 벌레먹은 ‘최고(最高)·최고(最古)’를 솎아내면서 마음다스리기(명상)를 합니다.


  벌레를 잡으면서 짜증을 낼 수 없잖아요? 고요히 바라보면서 낱말 하나하나를 새삼스레 돌아봅니다. 벌레여, 곧 제비랑 참새랑 박새랑 동박새랑 뭇새가 너희를 모두 쪼아서 먹으리라.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1.4.25. 마실책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우리가 쓰는 모든 글은 ‘자서전’일 적에 아름답지 싶습니다. ‘자서전’ 아닌 ‘평전’을 때때로 쓸 수 있지만, ‘평전’보다는 ‘자서전’을 쓸 노릇이라고 생각해요. 그런데 ‘자서전·평전’은 우리말이 아닙니다. 한자말입니다. 한자말이라고 해서 나쁠 까닭이 없습니다. 우리가 예부터 우리 삶터에서 쓴 말이니 우리말이요, 삶터 아닌 임금터(권력층)에서 쓴 말이니 한자말일 뿐입니다.


  제가 어릴 적에 ‘자서전·평전’이란 낱말을 언제 처음 들었나 하고 떠올리니 여덟 살이나 아홉 살 즈음일 텐데, ‘위인전’을 읽고 느낌글(독후감)을 내라고 시킨 배움터에서 들려준 낱말이에요. 그런데 열세 살을 지나고 열네 살에 이르도록 ‘자서전·평전·위인전’ 같은 낱말이 똑똑히 어떻게 다른가를 가늠하지 못했습니다. 그닥 마음이 없던 탓도 있겠지만, 어린이 자리에서 늘 쓰는 말씨가 아닌, 먹물붙이 어른 자리에서나 쓰던 말씨를 어린이도 쓰라고 억누르는 말씨이니 어린이로서 제대로 알고 받아들이기가 어려울 만하다고 봅니다.


  우리말로 하자면, ‘자서전 = 스스로 쓴 삶자취’요, ‘평전 = 남이 쓴 삶자취 / 내가 이웃을 보며 쓴 삶자취’입니다. ‘위인전 = 훌륭한 사람 삶자취 / 내가 훌륭한 사람을 기리며 쓴 삶자취’쯤 되겠지요.


  곰곰이 보면 ‘자서전·평전·위인전’은 모두 ‘삶자취를 줄거리로 삼아서 적은 글’입니다. 단출히 보자면 ‘삶글’이에요.


  한자말로 덮어씌우니 어렵게 받아들이기 쉬운 ‘자서전’입니다. 우리는 우리 삶을 수수하게 글로 옮기면 되어요. ‘자서전’을 쓴다는 말이란 ‘내가 스스로 사랑하는 이 삶을 즐겁게 글로 옮긴다’는 뜻입니다. 처음부터 ‘자서전’ 아닌 ‘삶글’을 쓴다고 여기면서 이렇게 낱말을 가누면 참으로 쉽겠지요.


  훌륭하다고 여기는 사람이 걸어온 자취를 쓰는 글이라면, 훌륭한 이를 기리는 뜻일 테니 ‘기림글’이라 할 만하고, 기릴 만한 훌륭한 사람은 반짝반짝 빛날 테며, 이 빛이란 아름답게 온누리를 적시는 만큼 꽃답다고 할 만하여, ‘꽃글’처럼 가리킬 만해요. 굳이 ‘꽃글’로 ‘평전·위인전’을 풀어내려는 뜻이라면, 어린이한테는 ‘기림글’보다는 ‘꽃글’이 부드럽고 쉬우면서 즐겁게 와닿을 만하거든요. “훌륭하게 살다가 가신 분이야”보다는 “꽃처럼 살다가 가신 분이야” 하고 이야기를 들려주면 어린이로서 한결 부드럽고 쉬우면서 마음으로 받아들일 만하지 않을까요?


  낱말을 이처럼 가누어서 쓸 적에 어른도 ‘높거나 거룩하거나 대단한 사람이라는 위인’보다는 ‘우리 곁에서 꽃처럼 눈부시고 아름답게 살아가는 모든 수수한 이웃이자 어버이요 동무 누구나 위인이로구나’ 하고 느낄 만하다고 생각합니다.


  말을 쉽게 쓰자는 뜻이란, 생각을 즐겁게 가누자는 뜻이요, 생각을 즐거이 가누면서 삶을 넉넉하고 꽃처럼 돌본다는 뜻입니다. 《쉬운 말이 평화》라는 책을 내놓은 지 이레쯤 되었으니, 이제 책집에 이 책을 여쭈어서 받아볼 수 있습니다. 나라 곳곳에 들꽃처럼 “쉽게 말하며 어깨동무하는 평화라는 씨앗”이 깃들기를 바라면서, 지난 4월 22일부터 25일까지 나흘을 쉬잖고 여러 고장을 돌고서 고흥에 돌아왔습니다. 고작 나흘 사이입니다만, 이동안 오디꽃이 많이 여물었어요. 올해에는 ‘살짝 여문 오디꽃’을 잔뜩 훑어 오디잎물(오디차)로 말리려 했는데, 그만 때를 놓쳤네요. 뭐, 이듬해에 다시 해보면 되겠지요.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1.4.19. 쉬운 말과 평화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숲노래 새책 《쉬운 말이 평화》가 태어났습니다. 펴낸곳에서 책을 보내셨다니, 고흥에 이 책이 닿을 날을 기다립니다. 새책을 받으면 반가이 챙겨서 여러 마을책집을 찾아가려고 생각합니다. 불날(20일)에 닿으면 물날(21일)에 광주를 거쳐 공주에 간 뒤, 공주 마을책집을 들러서 대전으로 건너간 뒤에 대전 마을책집을 들러 하루를 묵고는, 이튿날 포항 마을책집으로 찾아가고, 이다음날은 구미 마을책집으로 날아가려고 생각하는데, 이렇게 다니려고 버스길에 기찻길을 샅샅이 봅니다만, 이렇게 다 갈 수 있다면 매우 보람차지만 뻑적지근한 마실길일 텐데, 아무튼 책을 받아야 움직이겠지요. 불날에 안 오고 물날에 책이 닿으면 마실길을 줄여야겠고요.


  숲노래 새책 《쉬운 말이 평화》는 누리책집에 올랐습니다. 펴낸곳에서 써 주신 알림글(보도자료)을 죽 읽노라니 지난 2008∼2020년 사이에 편 이야기꽃을 간추린 걸음걸이가 휘리릭 스쳐 지나갑니다. 저로서는 책이름에 한자말 ‘평화’가 아닌 ‘사랑’이나 ‘숲’을 넣고 싶었어요. “쉬운 말이 사랑”이나 “쉬운 말이 숲”처럼 말예요. 그러나 이 이름을 쓰고 싶어도 자칫 이웃님(어린이·푸름이·어른 모두)이 우리말 이야기꽃에 흐르는 밑뜻을 제대로 못 읽을 수 있을는지 몰라 “쉬운 말이 평화”로 가닥을 잡았습니다. “쉬운 말로 함께하기”나 “쉬운 말로 함께살기”나 “쉬운 말로 노래꽃”이나 “쉬운 말로 손잡기”나 “쉬운 말로 어깨동무”처럼 스스럼없이 이야기할 수 있는 마을이자 삶터로 거듭나기를 빌어 마지 않습니다. 책 18쪽 한 토막을 옮깁니다. 이웃님이 《쉬운 말이 평화》라는 책을 그야말로 ‘사랑·숲·노래·어깨동무’로 맞아들여 주시면 좋겠습니다. 고맙습니다.


  말과 숲과 마을과 살림과 사람과 사랑이 어깨동무하는 ‘우리말 이야기꽃’을 조촐히 펴고 싶은 자리가 있다면 기꺼이 불러 주셔요. 요새는 zoom으로 이야기를 많이 한다지만, 저는 셈틀맡에 앉아서 수다를 떨기보다는 얼굴을 마주하면서 이야기를 한 다음, 이웃님한테 연필로 노래꽃(동시)을 적어서 드리는 이야기마당을 즐깁니다. 마을책집을 찾아서 나라 곳곳을 다니는 만큼, 즐겁게 날을 잡으시는 곳이 있으면 언제라도 날아갑니다. 이야기삯(강의비)은 숲노래 책을 사서 읽는 값으로 하면 되니 이 대목은 마음을 안 쓰시면 됩니다.



알아듣기 힘든 말을 왜 쓰는가 하면, 끼리끼리 뭉쳐서 울타리를 지키려는 뜻이 있기도 하지만, 이야기가 쉬운지 어려운지부터 제대로 모르는 탓이기도 해요. 어떤 이야기인지 바로 안다면 굳이 어려운 말을 안 써요. 잘 아는 이야기를 어려운 말로 일부러 쓴다면, 이때에는 ‘혼자만 알려는’, 어려운 말로 하자면 ‘지식 독점’을 하려는 셈이라 할 만합니다. 삶으로 녹이지 않았기 때문에 스스로 잘 모르는 말을 쓰고, 이런 말씨는 하나같이 일본 한자말이나 영어이곤 합니다. (18쪽)

  


알라딘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69582828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

인천에서 초등학교 길잡이로 일하는 이웃님하고

줌...으로 이야기꽃을 펴기로 했습니다.


아직 줌...을 안 써 보았고

지난주에 화상카메라를 시켜서 받았는데

아직 셈틀에 달지도 않고...


그래도 어떤 이야기를 펼칠까를

일곱 갈래로 짜 보았어요.

이 가운데 두 갈래 줄거리를

살짝 걸쳐 놓습니다.

.

.

.

이야기꽃 이름 : 우리말로 즐겁게 노래꽃

이야기벗(강사) : 숲노래(최종규)

.

첫마당 2021.5.10. 14:30∼16:30

새마당 2021.5.20. 14:30∼16:30



ㄱ. 첫마당 이야기꽃


1. 말·넋·삶·숲을 읽는 첫걸음


우리가 쓰는 모든 말은 우리 넋입니다. 우리 넋이란 우리 몸을 움직이는 빛이고, 이 빛은 마음에 생각이라는 씨앗이 움트면서 밝아요. 마음에 생각이라는 씨앗을 심기에 비로소 삶을 짓고서 하루를 누리는데, 이 모든 바탕은 마음에 드리운 생각을 몸으로 옮겨서 펼치는 바탕인 말로 움직입니다. 마음으로 말을 하기에 맑게 빛나는 몸으로 삶을 맞이한다고 할 만합니다.


누가 따로 가르쳐 주거나 누구한테서 배우는 삶이 아닙니다. 스스로 지켜보고 바라보고 살펴보는 사이에 가만히 받아들여서 알아차리고 느끼고 다시 헤아려서 깨닫는 삶이에요. 모든 말은 우리가 스스로 지은 이 삶에서 태어납니다. 말이 태어난 삶을 스스로 짓기에 누구나 살림꾼이자 말벗이요 삶지기예요.


먹고 입고 자는 살림인 밥옷집은 숲에서 비롯합니다. 모든 옷이며 밥이며 집은 숲이 있기에 얻어요. 삶에서 지은 삶말이고, 살림하며 나누는 살림말인데, 밑바탕은 언제나 숲이기에 모든 말은 ‘삶말 = 살림말 = 숲말’입니다. 그리고 이 숲말은 살림을 사랑과 슬기로 가꾸면서 자라나기에 ‘숲말 = 사랑말 = 슬기말’입니다.

.

도움책 :

《쉬운 말이 평화》(철수와영희,2021)

《이오덕 마음 읽기》(자연과생태,2019)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스토리닷,2017)

《우리말 글쓰기 사전》(스토리닷,2019)

《생각하는 글쓰기》(호미,2009)

《자전거와 함께 살기》(달팽이,2009)



2. 우리말이 노래가 되는 길 : 동시쓰기 + 시쓰기

.

먼먼 옛날부터 모든 어린이는 책이나 배움터가 아닌 놀이랑 소꿉이랑 심부름으로 삶을 배우면서 말을 익혔습니다. 이동안 어버이하고 어른은 노래를 불렀어요. 얼핏 ‘일노래·들노래·자장노래’로 가를 만한데, 이 노래는 모두 오늘날 ‘동시·시’입니다.


책에 글을 싣는(등단)다거나 손수 책을 내야(출간) 노래님(시인)이 되지 않아요. 어린이를 사랑으로 돌보는 마음이라면 누구나 노래님입니다. 책에 싣거나 책을 내려고 쓰는 글이나 노래가 아닌, 어린이하고 어깨동무하려고 즐겁게 부르는 노래입니다.


오늘날은 배움터가 널리 퍼진 만큼, 배움터에서는 길잡이(교사)가 이끌고 집에서는 어버이·어른이 같이하면서 노래를 부르고 이 노래를 글로 옮길 만해요.

.

도움책 :

《우리말 동시 사전》(스토리닷,2019)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스토리닷,2020)

.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1.4.15. 글월자루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글월자루(편지봉투)를 맡기려고 이레쯤 헤맸구나 싶습니다. 시골에서 살기에 누리그물을 뒤져서 맡깁니다. 그동안 글월자루를 맡기던 곳은 이제 없기도 해서 새롭게 살펴서 맡기려는데 들어오기(회원가입)를 안 하면 안 된다는데, 왜 안 되는가 했더니 ‘손전화 번호 확인을 카톡으로 하’더군요. 와이파이를 안 켜고 사는 사람으로서 영 몰랐어요. 이 대목을 닷새 만에 알아차리고서 겨우 ‘손전화 번호 확인’을 했더니, 이다음에는 틀(탬플릿)이 어긋난다면서 ‘그 일터 틀에 맞추어 ai파일’로 다시 보내라 하더군요. pdf도 아닌 ai로 하라니, ai를 다루는 풀그림을 받아서 짜야 하나 망설이다가, 한참 찾아보다가 손을 들었습니다. 다른 일터를 살핍니다. 여느 틀을 보내어도 ‘알아서’ 글월자루에 찍어 주는 곳에 새로 맡깁니다. 새로 나오는 책에 맞추어 글월자루를 새로 마련하려 했는데, 글월자루가 안 늦으면 좋겠습니다. 책하고 글월자루를 받으면 구미하고 포항으로 책집마실을 가려고 생각합니다. 마실길에 나서기 앞서 마감글은 다 끝내야겠고요.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