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델과 어니스트 북극곰 그래픽노블 시리즈 7
레이먼드 브리그스 지음, 장미란 옮김 / 북극곰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3.20.

만화책시렁 722


《에델과 어니스트》

 레이먼드 브릭스

 장미란 옮김

 북극곰

 2022.3.30.



  우리 엄마아빠는 어떤 어린날을 보냈을까 궁금해서 물어보면 거의 암말을 안 했습니다. 또 묻고 자꾸 묻고 다시 물어도 거의 고개를 저을 뿐이더군요. 이러다가 이제는 아예 안 묻지만, 다른 어느 이야기보다 ‘어버이’란 이름으로 살림을 하기 앞서 어떤 ‘아이’로서 하루를 누렸는지 들려주는 이야기가 바로 사랑씨앗이라고 느낍니다. 어린날에 즐겁게 뛰놀았을 수 있고, 어린날에 죽어라 일만 했을 수 있습니다. 어린날에 가시내라서 배움터에 얼씬조차 못 했을 수 있고, 어린날부터 돈을 벌어서 집안을 먹여살려야 했을 수 있어요. 이 모든 발걸음은 자취(역사)요 이야기(문학)입니다. 《에델과 어니스트》는 그림님 어버이가 보낸 젊은날 모습을 풀어냅니다. 두 분이 어떻게 만나서 어떻게 한집을 이루고서 어떻게 아이를 낳으며 늘그막에 이르다가, 바야흐로 몸을 내려놓고서 흙으로 돌아갔는지 옮기는 얼거리입니다. 여러모로 보면, 그림님은 푸른날부터 어버이 곁에 거의 없다가, 젊은날에는 어버이 곁을 떠났고, 띄엄띄엄 만났구나 싶어요. 가까이에서 살든 먼발치에 있든, 늘 마음으로 마주했다면 사뭇 다르게 그렸을 텐데 싶습니다. 그림님 스스로 “나이를 먹은 자리”에 서면서 비로소 두 분 이야기를 옮기는데, 너무 ‘남’으로 구경하듯 그렸다고 느낍니다. 아버지 곁에서 해바라기를 하고, 어머니 곁에서 부엌일을 하고, 곁님하고 넷이 두런두런 말을 섞으며 거니는 나날을 그리려고 했다면, “우리 엄마아빠”가 어떤 숨빛으로 이 별에 태어났는지 반짝반짝 붓이 춤췄을 텐데요.


ㅍㄹㄴ


“아이를 다시 시골로 내려보내서 다행이에요. 아쉽게도 곰인형을 놓고 갔네. 이것 봐요.” “어머나, 보세요. 도로시 퍼킨스 장미는 아직 피어 있어요. 살아남았어요.” (54쪽)


“대체 세상이 어찌 되려는 건지.” “당신의 노동당은 모든 사람이 평등하다고 믿는 줄 알았는데요?” “그럼! 물론 그렇지만, 맙소사!” “결혼하고 아이도 낳을 나이죠. 직장도 다니고, 차도 몰고, 군대도 다녀올 나이예요. 전쟁에서 전투기도 몰고요.” “그래요, 하지만, 맙소사! 내가 하는 일도 과연 할 수 있을까!” “그런 일은 하고 싶지 않겠죠. 의원이 되겠다잖아요. 많이 배운 사람이니까.” “그래, 나는 못 배웠다 이거요?” (72쪽)


#Ethel&Ernest #RaymondBriggs


+


《에델과 어니스트》(레이먼드 브릭스/장미란 옮김, 북극곰, 2022)


런던 주위에 외곽 순환 도로와 그린벨트를 만들 거래요

→ 런던 둘레로 돌잇길과 푸른터를 놓는대요

→ 런던 바깥으로 에움길과 푸른띠를 둔대요

54쪽


그럼 우회도로를 우회해서 가겠죠

→ 그럼 돌잇길을 돌아서 가겠죠

→ 그럼 돌고돌아서 가겠죠

63쪽


그렇게 말하기도 하지만, 정확한 병명은 조현병이에요

→ 그렇게 말하기도 하지만, 넋나갔다고 해요

→ 그렇게 말하기도 하지만, 얼을 잃었다고 해요

84쪽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이요비 2
시오무라 유우 지음, 박소현 옮김 / 레진코믹스(레진엔터테인먼트) / 2017년 8월
평점 :
절판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3.20.

만화책시렁 717


《스이요비 2》

 시오무라 유우

 박소현 옮김

 레진코믹스

 2017.8.24.



  웃으면 풀어요. 안 웃으면 묶어요. 울면서 풀지요. 안 우니 옭아매고요. 웃는 마음이란, 우듬지에 둥지를 틀어서 새끼새를 낳는 어미새 마음과 같습니다. 우는 마음이란, 먼지로 뒤덮은 땅을 말끔히 씻어내려고 쩌렁쩌렁 우는 벼락비 같아요. 《스이요비》를 읽으면 말이 띄엄띄엄 있습니다. 거의 눈짓과 손짓과 몸짓과 발짓으로 줄거리를 꾸립니다. 말이 서툰 아가씨를 마주하는 사람들은 처음에는 갸우뚱하지만, 이내 눈짓과 손짓으로 얼마든지 마음을 나눌 수 있는 줄 알아차립니다. 우리 스스로 워낙 말을 지나치게 쏟아낸 줄 깨닫고는, 말에 앞서 마음부터 사근사근 여는 길을 헤아립니다. 실실 웃는다면 시시하지만, 씨앗을 심는 사이에 살그머니 피어나는 웃음이란 빛납니다. 마냥 운다면 철없지만, 빗물을 고스란히 맞아들이면서 몸마음을 하나로 씻으면서 샘솟는 눈물은 반짝입니다. 오늘 우리는 누구나 말을 하고 글을 쓰는 터전을 누립니다. 꽤 오래도록 우두머리나 벼슬아치는 그들끼리 말을 하고 글을 쓸 뿐이었습니다. 마음껏 말글을 틔우는 오늘날인데, 우리는 어떤 말빛과 마음빛으로 마주하는지요? 사랑을 담아서 가꾸는 마음에서 싹트는 말인가요, 아니면 덧없이 뱉는 빈말인가요?


ㅍㄹㄴ


“스이가 나한테 웃어준 건 처음이야. 진짜로.” (33쪽)


“뭐? 내 것도 있어? 아니, 있었어?” (137쪽)


#すいようび #スイようび #汐村友


+


《스이요비 2》(시오무라 유우/박소현 옮김, 레진코믹스, 2017)


10족 있는데

→ 10켤레인데

6쪽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끌별 녀석들 완전판 8
다카하시 루미코 지음, 이승원 옮김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3.18.

책으로 삶읽기 1009


《시끌별 녀석들 8》

 타카하시 루미코

 이승원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2.8.30.



《시끌별 녀석들 8》(타카하시 루미코/이승원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2)을 돌아본다. 누가 나한테 “‘바쁜 부자’하고 ‘느긋한 거지’ 사이에 누가 되겠느냐?” 하고 묻는다면, “나는 늘 ‘나’로 살아가려고 해. 바쁜 날에는 바쁘고, 가멸찬(부자) 살림을 이루면 가멸차고, 느긋할 적에는 느긋하고, 가난한 살림을 이으면 즐겁게 가난하면서, 늘 나는 ‘나’로 살아갈래.” 하고 말하려고 한다. 누가 나한테 “‘배부른 돼지’와 ‘배고픈 소크라테스’ 가운데 어느 길로 살겠느냐?” 하고 묻는다면, “돼지라는 짐승은 숲빛을 품고서 새끼(아이)를 사랑으로 낳아서 돌보는 숲일꾼이랍니다. 돼지는 언제나 스스로 알맞게 먹을 뿐, 마구마구 먹어대지 않아요. 그런데 오늘날 사람들은 ‘들숲’이 아닌 ‘햇볕도 비바람도 없이 시멘트로 틀어막은 가두리’에서 슬피 울다가 지쳐서 모든 응어리를 밥먹기로 풀어대는 불쌍한 돼지만 보더군요. 돼지는 먹보가 아니에요. 그래서 ‘배부른 돼지’는 어떤 숨빛인가 하면, 즐겁게 도토리를 먹고서 느긋이 해바람을 쬐며 낮잠을 즐기는 몸짓이랍니다. 알맞게 먹으면서도 배부른 줄 아는 숲돼지처럼, 알맞게 배우고 익히면서 말씀을 나눌 줄 아는 소크라테스처럼, 모든 아름다운 이웃빛을 맞아들여서, 나는 나로서 나답게 살아가려고 합니다.” 하고 대꾸하려고 한다.


이쪽이냐 저쪽이냐 하면서 갈라야 하지 않다. 너는 너요, 나는 나이고, 너와 나는 너이면서 나이기에, 우리는 저마다 새롭게 빛나는 숨결이라는 얼거리로 ‘우리’라는 이름을 새록새록 빚는다. 가둘 적에는 “가두는 우리”인 ‘가두리’요, 서로 다르면서 새롭게 빛나는 별인 줄 알아볼 적에는 “하늘인 우리”인 ‘하나’이다.


나는 하나를 바란다. 하늘인 우리인 나로 살아가면 넉넉하고 즐겁다.


ㅍㄹㄴ


“안 된데이! 누나! 안 된데이! 이 녀석들은 둘 다 바보다 아이가!” (29쪽)


“쫓지 마세요! 부탁이에요. 눈감아 주세요. 쫓지 마세요…….” “봐, 봤어? 저 사람, 요정이었어! 조개 요정이었던 거야!” (81쪽)


“향만 즐기지 말고 빨리 먹어!” “시, 시끄러워! 먹을 거야! 라무 양이 직접 만든 요리니까 말이야!” (104쪽)


#たかはしるみこ #高橋留美子 #うる星やつら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거츠 GUT's 8
후도 준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01년 4월
평점 :
절판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3.14.

만화책시렁 724


《거츠 GUT's 8》

 후도 준

 최윤정 옮김

 학산문화사

 2001.4.25.



  ‘주역(周易)’이 어렵다고 여기는 분이 많습니다만, 어려울 까닭은 없습니다. ‘주역에 적힌 글’을 따라하려니 어렵습니다. ‘주역을 쓴 사람이 숲을 바라본 마음과 눈’을 헤아린다면 쉽습니다. 무슨 말인가 하면, ‘주역을 쓴 사람’은 이녁을 둘러싼 해바람비와 풀꽃나무를 스스로 바라보고 돌아보고 헤아리면서 하나하나 읽으려 했습니다. 스스로 알아보고서 익힌 바를 글로 옮겼을 뿐입니다. 그러니까 ‘주역을 거쳐서 해바람비 읽기’를 하려면 얼마나 어려울까요? 우리 스스로 해바람비를 읽는 눈과 마음을 가꾸면 저절로 ‘해바람비 읽기’를 합니다. 《거츠 GUT's》는 ‘야구’도 ‘테니스’도 모르는 아이가 그저 ‘공놀이’를 즐기면서 한 걸음씩 새로 나아가는 길을 보여줍니다. 아이는 오직 하나를 알아요. ‘공’이 왜 공인 줄 알지요. 이 공을 힘껏 쳐내는 놀이가 가장 즐겁습니다. 그래서 다른 아이들은 ‘야구 솜씨’나 ‘테니스 솜씨’를 부리더라도 이 솜씨를 뚫는 길을 스스로 찾아냅니다. 남이 세우는 틀에 저를 안 맞추지요. 모든 배움길과 살림길은 이와 같아요. 부엌일을 잘하는 사람하고 똑같이 설거지를 해야 하지 않습니다. 톱질도 비질도 걸레질도 같아요. 누구나 스스로 ‘나보기’와 ‘바람읽기’를 할 노릇입니다.


ㅍㄹㄴ


“생각해 봐. 만일 네가 야구에서 손을 다쳐 배트를 제대로 잡을 수 없게 됐는데, 그걸 안 투수가 널 동정해서 일부러 쉬운 볼을 던진다면 넌 기분이 어떨까?” (146쪽)


“여기 있는 아이들은 분명 제로니모에는 미치지 못할지도 모르지만, 널 이길 힘은 충분히 가지고 있어!” (160쪽)


+


세계를 전전하게 되면 출석일수가 문제일 텐데

→ 온나라를 돌면 나온날이 걸릴 텐데

《거츠 GUT's 9》(후도 준/최윤정 옮김, 학산문화사, 2001) 98쪽


전부 혼자서 수배하고

→ 다 혼자서 찾고

→ 모두 혼자서 맡고

《거츠 GUT's 9》(후도 준/최윤정 옮김, 학산문화사, 2001) 176쪽


내 안에 있던 에이스로서의 부담감이 사라졌어요

→ 기둥이라는 짐이 사라졌어요

→ 큰별이라는 무게가 사라졌어요

《거츠 GUT's 11》(후도 준/최윤정 옮김, 학산문화사, 2002) 133쪽


말 그대로 개의 산책

→ 말 그대로 개마실

→ 말 그대로 개나들이

《거츠 GUT's 12》(후도 준/최윤정 옮김, 학산문화사, 2002) 7쪽


지구전으로 들어가고 싶지 않은

→ 버티기를 하고 싶지 않은

→ 견디기를 하고 싶지 않은

《거츠 GUT's 12》(후도 준/최윤정 옮김, 학산문화사, 2002) 101쪽


뭔가를 바꾸고 싶다는 강한 정신력으로 쏘아낸, 이판사판의 오버 헤드지

→ 뭐를 바꾸고 싶다는 억센 마음으로 쏘아낸, 마구잡이 높이치기지

→ 무엇을 바꾸고 싶다는 굳센 마음으로 쏘아낸, 되는대로 윗치기지

《거츠 GUT's 12》(후도 준/최윤정 옮김, 학산문화사, 2002) 155쪽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랑과 군함 4
니시 케이코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16년 11월
평점 :
절판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3.14.

만화책시렁 734


《사랑과 군함 4》

 니시 케이코

 김진수 옮김

 대원씨아이

 2016.12.15.



  시골에서는 한 가지만 해서는 살아갈 수 없습니다. 시골에서는 누구나 스스로 온살림을 꾸려야 살아갑니다. 서울에서는 하나만 해도 넉넉히 살아갈 만하고, 하나만 하기에 배부르거나 가멸지기도 합니다. 고루 돌보거나 헤아리지 않아도 되는 서울살이인 터라, 갈수록 서울로 쏠리고, 서울은 더 자라고, 서울에서 ‘하나일(전문직)’은 더더욱 늘어납니다. 《사랑과 군함 4》을 읽습니다. 그림님은 언제나 ‘난봉·바람질(불륜)’을 그립니다. 난봉이나 바람질을 해야 삶이 재미있다고 여기는 마음인가 싶기도 한데, 여태 서울살이만 바탕으로 붓을 놀렸다면 《사랑과 군함》은 작은시골을 그리는 터라 조금 눈여겨보았습니다. 곰곰이 보면 시골살이란 ‘바람살림’입니다. ‘바람질’이란 휩쓸리면서 ‘나잊기’라는 굴레요, ‘바람살림’이란 ‘나보기’를 바탕으로 ‘너보기’를 나란히 이루고 잇는 길입니다. 서울이라는 터전이 갈수록 더 좁고 갇히는 굴레로 치달을 만한데, 갈수록 온살림을 잊으면서 ‘하나만(전문직)’ 좇거든요. 다만 요즈음 시골은 서울을 닮기에 온살림을 차츰 잊고 잃으면서 ‘하나만’으로 기웁니다. 쇠(자동차)를 몰며 온살림을 잊습니다. 쇠를 내려놓아야 온살림으로 갑니다. 아주 쉽습니다. 손발을 쓰면 살아납니다.


ㅍㄹㄴ


“빵만 팔아서 장사가 되나?” “여긴 빵집인걸.” “저기 과자가게가 있는데, 둘이 경쟁하나?” “빵은 빵이고 과자는 과자지.” (37쪽)


“뭐 그러건 말건 상관없지만, 난 언젠가 여길 떠날 거니까.” (73쪽)


“나는 우리 마을이 좋아. 그런데 왜 여기서 태어나고 자랐으면서 이 마을을 싫어하는 걸까?” (101쪽)


+


《사랑과 군함 4》(니시 케이코/김진수 옮김, 대원씨아이, 2016)


뭐 그러건 말건 상관없지만, 난 언젠가 여길 떠날 거니까

→ 뭐 그러건 말건 대수롭잖지만, 난 언젠가 여길 떠나니까

→ 뭐 그러거나 말거나, 난 언젠가 여길 떠날 테니까

73쪽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