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거츠 GUT's 8
후도 준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01년 4월
평점 :
절판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3.14.
만화책시렁 724
《거츠 GUT's 8》
후도 준
최윤정 옮김
학산문화사
2001.4.25.
‘주역(周易)’이 어렵다고 여기는 분이 많습니다만, 어려울 까닭은 없습니다. ‘주역에 적힌 글’을 따라하려니 어렵습니다. ‘주역을 쓴 사람이 숲을 바라본 마음과 눈’을 헤아린다면 쉽습니다. 무슨 말인가 하면, ‘주역을 쓴 사람’은 이녁을 둘러싼 해바람비와 풀꽃나무를 스스로 바라보고 돌아보고 헤아리면서 하나하나 읽으려 했습니다. 스스로 알아보고서 익힌 바를 글로 옮겼을 뿐입니다. 그러니까 ‘주역을 거쳐서 해바람비 읽기’를 하려면 얼마나 어려울까요? 우리 스스로 해바람비를 읽는 눈과 마음을 가꾸면 저절로 ‘해바람비 읽기’를 합니다. 《거츠 GUT's》는 ‘야구’도 ‘테니스’도 모르는 아이가 그저 ‘공놀이’를 즐기면서 한 걸음씩 새로 나아가는 길을 보여줍니다. 아이는 오직 하나를 알아요. ‘공’이 왜 공인 줄 알지요. 이 공을 힘껏 쳐내는 놀이가 가장 즐겁습니다. 그래서 다른 아이들은 ‘야구 솜씨’나 ‘테니스 솜씨’를 부리더라도 이 솜씨를 뚫는 길을 스스로 찾아냅니다. 남이 세우는 틀에 저를 안 맞추지요. 모든 배움길과 살림길은 이와 같아요. 부엌일을 잘하는 사람하고 똑같이 설거지를 해야 하지 않습니다. 톱질도 비질도 걸레질도 같아요. 누구나 스스로 ‘나보기’와 ‘바람읽기’를 할 노릇입니다.
ㅍㄹㄴ
“생각해 봐. 만일 네가 야구에서 손을 다쳐 배트를 제대로 잡을 수 없게 됐는데, 그걸 안 투수가 널 동정해서 일부러 쉬운 볼을 던진다면 넌 기분이 어떨까?” (146쪽)
“여기 있는 아이들은 분명 제로니모에는 미치지 못할지도 모르지만, 널 이길 힘은 충분히 가지고 있어!” (160쪽)
+
세계를 전전하게 되면 출석일수가 문제일 텐데
→ 온나라를 돌면 나온날이 걸릴 텐데
《거츠 GUT's 9》(후도 준/최윤정 옮김, 학산문화사, 2001) 98쪽
전부 혼자서 수배하고
→ 다 혼자서 찾고
→ 모두 혼자서 맡고
《거츠 GUT's 9》(후도 준/최윤정 옮김, 학산문화사, 2001) 176쪽
내 안에 있던 에이스로서의 부담감이 사라졌어요
→ 기둥이라는 짐이 사라졌어요
→ 큰별이라는 무게가 사라졌어요
《거츠 GUT's 11》(후도 준/최윤정 옮김, 학산문화사, 2002) 133쪽
말 그대로 개의 산책
→ 말 그대로 개마실
→ 말 그대로 개나들이
《거츠 GUT's 12》(후도 준/최윤정 옮김, 학산문화사, 2002) 7쪽
지구전으로 들어가고 싶지 않은
→ 버티기를 하고 싶지 않은
→ 견디기를 하고 싶지 않은
《거츠 GUT's 12》(후도 준/최윤정 옮김, 학산문화사, 2002) 101쪽
뭔가를 바꾸고 싶다는 강한 정신력으로 쏘아낸, 이판사판의 오버 헤드지
→ 뭐를 바꾸고 싶다는 억센 마음으로 쏘아낸, 마구잡이 높이치기지
→ 무엇을 바꾸고 싶다는 굳센 마음으로 쏘아낸, 되는대로 윗치기지
《거츠 GUT's 12》(후도 준/최윤정 옮김, 학산문화사, 2002) 155쪽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