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 상자 네버랜드 Picture Books 세계의 걸작 그림책 254
데이비드 위즈너 지음 / 시공주니어 / 2018년 2월
평점 :
품절


사진책 읽기 353


사진은 언제 어떻게 태어났을까요?
― 시간 상자
 데이비드 위즈너
 시공주니어
 2018.2.25.


  사진기는 언제부터 있었을까요? 사진은 언제부터 찍었을까요? 사진은 누가 처음 찍었을까요? 이 세 가지 물음에 으레 1800년대 어느 해에 누가 처음 어떤 기계를 마련해서 어디에 담아냈다 하는 이야기를 역사책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른바 사진 역사를 역사책 해적이에 맞추어 아이들한테 알려줄 수 있어요. 그런데 참말로 사진은 바로 그무렵에 처음 태어났을까요? 어쩌면 우리가 모르는 새로운 사진 발자국이 있지는 않을까요? 책에는 적히지 않은 뒷이야기가 있지 않을까요? 학자는 알지 못하는 대단히 재미난 앞이야기가 있지 않을까요?

  지난 2007년 4월에 베틀북 출판사에서 한국판으로 옮긴 그림책 《시간 상자》가 있습니다. 이 그림책은 겉모습은 그림책이지만, 꼭 그림책이라고만 하기는 어렵습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오롯이 ‘사진이란 무엇인가?’를 다뤄요. 그리고 ‘사진은 누가 찍는가?’를 다루지요. 여기에 ‘사진을 언제부터 찍었을까?’라든지 ‘사진을 언제 어디에서 왜 어떻게 찍었을까?’를 나란히 다룹니다.

  그림책 또는 사진책 《시간 상자》는 퍽 오랫동안 판이 끊어졌다가 2018년 2월에 시공주니어에서 새로 옮겨 냅니다. 이 그림책 또는 사진책을 빚은 분은 데이비드 위즈너 님이고, 이녁은 《이상한 화요일》, 《구름 공항》, 《자유 낙하》 같은 그림책을 그리기도 했어요.

  그런데 데이비드 위즈너 님이 빚은 다른 그림책도 꼭 그림책이라고만 하기는 어렵습니다. 마치 사진책 같아요. 여느 사진기로는 담을 수 없구나 싶은 꿈같은 모습을 마치 사진처럼 그림으로 여미어 냅니다. 사회의식에 젖은 어른으로서는 도무지 믿을 수 없는 이야기를 담은 그림책 또는 사진책이라 할 수 있습니다. 사회의식에 젖지 않고 늘 꿈을 꾸면서 기쁜 하루를 바라는 아이한테는 언제 어디에서나 겪거나 마주할 수 있는 이야기를 담은 그림책 또는 사진책이라고 할 수 있어요.

  《시간 상자》를 보면 말이 한 마디도 나오지 않습니다. 아무 말이 없지만 줄거리를 또렷이 드러냅니다. 이 그림책 또는 사진책에는 어린 사내가 바닷가에서 ‘물결에 휩쓸려 온 것’을 주우며 노는 모습이 처음에 나옵니다. 이 아이는 어느 날 큰 물결을 맞고 깜짝 놀랍니다. 이러다가 여태 보지 못한 놀라운 것, 그렇지만 어찌 보면 흔한 것을 만나지요. 바로 사진기입니다.

  아니 물결에 사진기가 휩쓸려 온다고? 게다가 물결에 휩쓸려 온 사진기에는 오래된 필름이 있습니다. 필름을 꺼낸 아이는 더욱 아리송합니다. 물결에 휩쓸려 온 사진기인데 필름은 하나도 안 젖었습니다. 어쩌면 이 필름을 찾을 수 있을까 궁금해서 사진관에 가져갑니다. 사진관 일꾼은 아이한테서 필름을 받아 종이에 뽑아 줍니다. 종이에 얹힌 사진을 본 아이는 아까보다 더욱 놀랍니다.

  왜 놀랄까요? 도무지 믿기지 않는구나 싶은 모습이 잔뜩 찍혔거든요.

  어떤 모습이 찍혔기에 놀랄까요?

  어느 사진은 어느 아이가 한 손에 사진을 쥔 모습인데, 이 사진에는 다른 아이가 사진을 쥔 모습이 있습니다. 사진에 깃든 다른 아이가 쥔 사진에는 또 다른 아이가 …… 이렇게 줄줄이 이어지는데요, 아이는 돋보기를 가져와서 들여다보다가, 나중에는 현미경까지 써서 들여다보는데, 아주아주 오래된 어느 날 어느 또래 아이가 맨 처음으로 찍혔습니다.

  그러나 이 사진은 그리 놀랄 만하지 않습니다. 바닷속에 사는 외계인이 사진으로 나오고, 바닷속에 사는 매우 조그마한 외계인은 저마다 사진기를 들고 해마를 비롯한 갖가지 물고기를 사진으로 찍으며 놉니다. 그림책 또는 사진책 겉그림에 나오기도 하는데요, 물고기 가운데에는 물고기 아닌 로봇 물고기가 있습니다. 이밖에도 아이로서는 믿을 수 없지만 눈앞에서 멀쩡히 사진으로 들여다보는 엄청난 이야기가 있어요.

  《시간 상자》에 나오는 이야기는 참말일까요? 그린이가 꾸며낸 이야기일까요? 숨은 사진 역사일까요? 그저 터무니없는 이야기일까요? 마냥 꿈이라고밖에 여길 수 없는 이야기일까요?

  무엇이 참일는지, 또 무엇이 거짓일는지 섣불리 따지거나 가르기는 어렵습니다. 아니, 참하고 거짓으로 함부로 재거나 나눌 수 없겠지요. 다만 오랜 나날에 걸쳐 지구별 곳곳에서 살아가는 어린 아이들은 물결에 휩쓸려 마실을 다니는 낡은 사진기에 담긴 재미나며 놀라운 사진을 마주한다고 합니다. 이 사진기는 새가 물어다 나르기도 하고, 여러 물고기나 커다란 오징어가 들어서 나르기도 합니다. 지구 이쪽으로 갔다가 지구 저쪽으로 돌아다니는 사진기입니다. 그런데 이 사진기는 지구에서 태어난 사진기일 수 있습니다만, 어쩌면 다른 별에서 태어나 지구에 들어온 사진기일 수 있어요. 물고기나 해마나 고래가 빚어낸 사진기인지도 모릅니다.

  믿거나 말거나인 줄거리를 들려주는데요, 이 책은 우리한테 ‘끝이란 없다’는 이야기를 넌지시 밝히지 싶습니다. 반드시 이래야만 한다는 생각도 없다는 이야기를 조용히 들려주는구나 싶어요. 책이나 역사에 적히지 않은 이야기가 수두룩하다는 생각을 밝히고, 아이들이 꿈으로 지피는 하루란 늘 놀랍고 새로울 만하다는 이야기도 들려줍니다.

  다시 물어봅니다. 사진기는 언제부터 있었을까요? 사진은 언제부터 찍었을까요? 사진은 누가 처음 찍었을까요?

  아이들이 어른한테 이 세 가지를 묻는다면, 우리 어른은 아이한테 어떤 이야기를 들려주면서 생각날개를 활짝 펴 볼 만할까요? 백과사전 지식을 그대로 들려주고 끝내면 좋을까요? 아니면 아이가 마음으로 훨훨 날갯짓을 하면서 눈빛을 초롱초롱 밝히면서 귀를 기울일 재미나고 멋진 이야기를 빚어서 들려줄 수 있을까요?

  사진이란 무엇인지 새삼스레 헤아려 봅니다. ‘사진 + 꿈’으로 풀어내 보고 싶습니다. 사진이란 끝없이 흐르는 꿈입니다. 사진이란 누구나 새롭게 빚어서 나누는 꿈입니다. 사진이란 모든 틀을 넘어서서 곱게 가꾸며 밝히는 꿈입니다. 사진이란 오늘하고 어제를 이어 신바람나는 새날을 짓는 씩씩한 걸음걸이 같은 꿈입니다. 2018.7.22.해.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사진읽기/사진비평/사진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쿄 셔터 걸 2
켄이치 키리키 지음 / 미우(대원씨아이) / 2015년 8월
평점 :
절판


사진책 읽기 370



도쿄를 사진으로 찍는 고등학생

― 도쿄 셔터 걸 2

 켄이치 키리키/주원일 옮김

 미우, 2015.8.30.



“각 학교는 3명 1조의 단체전으로 4∼8매의 사진을 응모. 각 테마에 따라 ‘마음, 기술, 눈’을 겨룬다……라.” (37쪽)



  만화책 《도쿄 셔터 걸》(켄이치 키리키/주원일 옮김, 미우, 2015)은 만화로 사진을 이야기하는 책입니다. 일본에서는 이 같은 만화책이 틈틈이 나옵니다. 한국에서는 사진을 만화로 풀어낸다거나, 삶을 만화라는 옷에 입혀서 이 줄거리에 사진을 한복판에 놓는 이야기책을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이는 살림새가 다른 두 나라 모습이겠지요. 일본은 온누리에서 첫손 꼽는 ‘만화누리’인 터라, 만화로도 사진을 얼마든지 깊고 넓게 다루어요.


  모두 세 권으로 나온 《도쿄 셔터 걸》은 도쿄에서 나고 자라며 사진에 흠뻑 빠진 아이가 제 마을하고 골목하고 이웃을 사진으로 담는 마음이 무엇인가를 이야기합니다. 이러면서 사진마실을 다니는 이야기를 곁들이고, 고등학교 사진대회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일본에는 ‘사진 고시엔’이 있다는데, 이 대회에서는 ‘마음, 솜씨, 눈’ 세 가지로 사진을 살핀다고 합니다.



‘최근 머리 한구석에 언제나 달라붙어 떨어지지 않는 사진고시엔. 지구 예선의 응모작품 테마는 자유. 자유로운 사고는 마치 줄이 끊어진 연처럼 머릿속을 빙글빙글 돌아다닐 뿐이다. 도무지 내 안에서 착지점을 발견하지 못하고 있다. 만약 지금의 스스로에게 정직하게 이제까지 무엇을 찍어 왔는가 하는지 묻는다면 답은 하나밖에 없다. 언제나 익숙하게 보아 온 도쿄의 거리.’ (50쪽)



  일본에서 고등학교 푸름이가 사진을 겨루는 자리에서 살핀다는 세 가지는, 한국 사진밭을 돌아보면 매우 다르구나 싶습니다. 한국에서 사진잔치나 사진대회를 열 적에 이 세 가지, ‘마음, 솜씨, 눈’ 가운데 무엇을 헤아릴까요? 한국은 으레 ‘솜씨’ 하나만, 더욱이 값진 기계로 황금분할을 선보이는 몸짓만 따지지는 않나요?


  지자체마다 관광사진 공모를 하고, 여러 공공기관에서도 주제사진 공모를 하는데, 이러한 사진공모에서 ‘기계 다루는 솜씨’를 넘어서 ‘사진을 마주하는 마음’이나 ‘이웃하고 어깨동무하는 마음’이나 ‘삶을 짓는 사랑이라는 마음’은 얼마나 살필 수 있을까요? 그리고 ‘삶을 보는 눈’하고 ‘사람을 보는 눈’하고 ‘숲을 보는 눈’은 얼마나 생각해 볼는지요?



‘촬영하고 싶은 피사체를 만나면 난 눈을 깜빡이듯 셔터를 누른다.’ (54쪽)


“나도 어린 시절에 자주 아버지의 카메라를 빌려서 타카라즈카의 산과 들을 촬영했어.” (77쪽/고등학교 사진부를 이끄는 교사가 들려준 말)



  《도쿄 셔터 걸》에 나오는 열여덟 살 푸름이는 사진대회에 낼 사진을 고르는 길에서 살짝 헤맵니다. 이제껏 스스로 즐겁게 사진을 찍었을 뿐, 대회에 내서 다른 사람하고 ‘솜씨 겨루기’를 해 본 일이 없기 때문이요, 이를 생각조차 안 했거든요. 그리고 사진대회에서 바라는 다른 두 가지인 ‘사진을 하는 마음’하고 ‘사진으로 보는 눈’이란 무엇인가를 처음부터 새롭게 생각해 보려니 머리가 지끈거린다고 합니다.


  이러다가 천천히 실마리를 찾아요. 도쿄(서울)에서 나고 자란 나(주인공)는 언제나 익숙하게 사진으로 담은 도쿄(서울)를 찍으면 됩니다. 시골에서 나고 자란 나(주인공)라면 시골을 찍으면 되겠지요. 남한테 보여주려는 사진이 아닌, 스스로 삶을 즐기려는 사진입니다. 남한테 솜씨를 자랑하려는 사진이 아닌, 스스로 기쁘게 활짝 웃으면서 찍은 사진을 넌지시 나누려는 사진입니다.


  사진동아리 아이들은 찍고 싶은 모습을 마주하면 눈을 깜빡이든 사진기 단추를 누른다고 해요. 삶에 고이 스며든 몸짓으로 사진을 누린 사진부 교사한테서 이야기를 들으면서 사진동아리 아이들은 사진에 서리는 깊이가 무엇인가 하고 새삼스레 되새깁니다.



“모처럼 왔으니까, 아까부터 날아다니는 저 나비도 풍경과 함께 찍고 싶은데.” (86쪽)


“테즈카 선생님이 타카라즈카에서 자라지 않으셨다면 완전히 다른 형태의 작품이 생겨났을지도 몰라.” (93쪽)



  사진을 찍는 마음이란, 어쩌면 배우고 싶은 마음일 수 있습니다. 나를 둘러싼 이웃을 헤아리면서 배우려는 마음일 수 있어요. 이웃인 사람을, 이웃인 나무를, 이웃인 숲을, 이웃인 골목을, 이웃인 하늘과 바람을 배우려고 사진기를 손에 쥘 만합니다.


  사진을 찍는 눈이란, 어쩌면 사랑하려는 눈일 수 있습니다. 스스로 오롯이 사랑으로 거듭난 몸과 마음으로서, 우리를 둘러싼 이웃을 두루 어우르거나 어깨동무하려는 사랑스러운 눈이라고 할 만합니다. 따사롭게, 넉넉하게, 포근하게, 너그럽게, 널리 껴안거나 손을 맞잡을 수 있는 눈이 바로 사진눈이지 싶습니다.


  이리하여 사진을 찍는 솜씨란, 더 값진 장비나 기계로 멋을 부리는 솜씨일 수 없습니다. 사진솜씨는 살림을 짓는 손길이자 몸짓입니다. 마음을 가꾸는 손길이 사진솜씨요, 사랑을 짓는 몸짓이 사진재주일 테지요. 2018.7.14.흙.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사진읽기/사진비평/사진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록의 공명
지율 스님 지음 / 삼인 / 200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이 사진책은 비매품 형식이라서 어디에도 안 뜬다. 지율 스님 다른 책에 소개글을 걸친다


사진책시렁 16


《낙동강 before and after》

 지율 스님·‘낙동강 숨결 느끼기’ 순례 동행들

 녹색평론사

 2010.3.31.



  작은 사람 하나는 왜 글을 쓰고 사진을 찍다가 영화까지 빚어서 이야기를 퍼뜨리는 길을 걸었을까요? 작은 사람 하나는 왜 작은 이웃을 지나칠 수 없었을까요? 작은 사람 하나는 왜 작은 목소리를 둘레에 나누어 주는 길에 조용히 서야 했을까요? 그리고 이 땅에서 커다랗다고 하는 사람 여럿은 무슨 글을 쓰고 무슨 사진을 찍으며 무슨 영화를 빚을까요? 커다랗다는 사람은 어떤 이야기를 퍼뜨리려 하고 어떤 목소리를 쩌렁쩌렁 울리는가요? 아주 작게 나왔다가 조용히 자취를 감춘 사진책 《낙동강 before and after》입니다. 천성산 같은 일을 낙동강이 겪지 않기를 바랐으나, 아주 많은 사람들은 천성산도 낙동강도 쳐다보려 하지 않았습니다. 너무 바쁘고 일이 많은 나머지, 고속도로뿐 아니라 고속철도를 타야 했습니다. 이웃집을 들여다보기 힘든 나머지, 곁에 있는 숲이나 숲짐승을 마주할 틈을 내지 못했습니다. 사진 두 장으로 낙동강 두 모습을 보여줍니다. 한쪽은 예전 모습, 다른 한쪽은 막삽질을 받은 모습입니다. 이제 누구나 ‘이명박 막삽질’을 손가락질할 뿐 아니라 감옥에까지 보낼 만하지만, 2010년에 다들 어떤 목소리였는지 돌아볼 노릇입니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Black Farmers in America (Hardcover)
John Francis Ficara / Univ Pr of Kentucky / 200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진책시렁 15


《Black farmers in America》

 John Francis Ficara

 th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06



  ‘나는 무엇이라서 안 돼’나 ‘나는 이런 신분이기 때문에 할 수 없어’ 같은 생각을 사슬로 삼을 수 있습니다. 그냥 하면 되는 일이지만, 그냥 하지 않는 마음인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 어린이라서 안 되거나 어른이라서 안 될 일이 있을까요? 사내라서 안 되거나 가시내라서 안 될 길이 있을까요? 공무원이라 하면 안 되거나, 점잖으니 빼야 하는 일이 있을까요? 지난날 이 지구별에서는 어느 곳에서나 사람들 스스로 저마다 달리 살림을 지었지만, 어느 무렵부터 스스로 종이 되거나 임금이 되기로 하면서 차츰 갈라집니다. 어느 길로 가든 살림짓기하고 멉니다. 종이 되어 남이 시키는 일을 따라야 하든, 임금이 되어 남한테 시키기만 하든, 오롯이 사람으로 서기란 어렵습니다. 《Black farmers in America》는 아메리카라는 땅에 검은 사람이 굳이 들어와 살 까닭이, 더욱이 종처럼 부려지는 삶이 될 까닭이 없으나, 발목에 사슬이 묶인 채 땅에 뿌리박아 살아온 자국을 굵고 투박하면서 단단한 손으로 보여줍니다. 왜 적잖은 흰 사람은 스스로 ‘white farmer’이기를 멈추고 손에 총을 쥐었을까요? ‘Black farmer’가 오늘날 미국을 하나하나 지었습니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드론 - 공중에서 본 세상 눈빛사진가선 15
조성준 지음 / 눈빛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진책시렁 14


《드론, 공중에서 본 세상》

 조성준

 눈빛

 2015.7.20.



  드론이 있어 누구나 손쉽게 하늘로 사진기를 날려서 너르게 펼쳐진 모습을 찍을 수 있다고 합니다. 드론으로 바라보는 들판은 새롭다고 할 만합니다. 따로 멧봉우리에 오르지 않아도 땅끝이나 물끝을 볼 수 있거든요. 그렇다면 우리는 하늘에서 땅을 어떤 눈으로 바라볼 만한가요? 그저 하늘에서 바라보니 땅에서 볼 적하고 다른 대목만 느끼나요? 가지런, 어울림, 어지러움, 이런 무늬만 읽나요? 요즈음 시골에서는 농약을 헬리콥터 아닌 드론으로 뿌립니다. 사진하는 이한테는 드론이 ‘사진벗’일 테지만, 시골사람한테는 드론이 ‘사나운 기계’가 됩니다. 헬리콥터도 드론도 매우 센 농약을 마구 뿌리기 때문이요, 땅살림으로 나아가지 않고 더 센 기계와 농약으로 ‘대규모 농업’으로 나아가려 하기 때문입니다. 《드론, 공중에서 본 세상》은 그야말로 다르게 본 이 땅을 보여줍니다. 드론을 다루는 길도 책끝에 알맞게 들려줍니다. 군더더기나 티끌 하나 없이 차분한 사진책입니다. 다만 한 가지는 스쳐 지나가고 말아요. 사진기가 때로 전쟁무기로 뒤바뀌기도 하듯, 드론이 때로 사나운 기계로 뒤바뀌기도 합니다. 기계를 다루는 마음도 짚어야지 싶습니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사진넋/사진비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