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2022.4.21.

숨은책 592


《이치고다 씨 이야기 3》

 오자와 마리 글·그림

 정효진 옮김

 학산문화사

 2011.1.7.



  만화책은 그저 만화책입니다. ‘학습만화’나 ‘철학만화’처럼 앞에 꾸밈말을 붙이면 만화책이 아닌 ‘만화책 시늉’입니다. 생각해 봐요. ‘학습그림책·철학그림책’이나 ‘학습동화책·철학동화책’이나 ‘학습시집·철학시집’이라 하면 이 책이 참말로 제빛을 고스란히 살리려는 줄거리나 이야기라고 할 만할까요, 아니면 ‘학습·철학·교육·인문’이란 허울을 씌워 장삿속을 숨긴 돈벌이라고 해야 할까요? 《이치고다 씨 이야기》는 결이 몹시 고운 ‘순정만화’입니다. 돌이는 좀처럼 안 쳐다보는 만화요, 순이만 쳐다볼 만화인 듯 여기는 분이 많습니다만, 《이치고다 씨 이야기》에 나오는 돌이는 ‘손으로 옷을 짓기를 즐길 뿐 아니라, 인형옷도 짓고 인형소꿉도 하나하나 짓고 아이들한테 건네기를 즐깁’니다. 오늘날 순이는 치마도 두르고 바지도 뀁니다. 순이는 ‘치마를 벗고 바지를 입는 길(권리)’을 누리기까지 눈물겹게 싸웠습니다. 그러면 ‘치마돌이(치마 입는 사내)’는 어떨까요? 가시내만 두를 치마가 아닌, ‘누구나 입고프면 입을 치마요 바지’란 옷살림으로 바라볼 수 있을까요? ‘순정만화여도(?)’ 누구나 읽을 만합니다. ‘만화는 애들만 보는 책’이 아닙니다. 삶을 그리는 숱한 손길 가운데 하나인 만화일 뿐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2022.4.19.

숨은책 594


《미 군정기의 한글 운동사》

 이응호 엮음

 성청사

 1974.1.4.



  오늘 우리는 아무렇지 않게 우리말을 하고 우리글을 씁니다만, 그리 멀잖은 지난날까지 우리글을 마음껏 못 썼습니다. 더구나 2000년을 맞이할 즈음까지 ‘한자를 안 섞으면 글이 아니다!’ 하고 외치는 글어른(원로작가)이 수두룩했어요. 총칼로 억누른 일본이 물러갔어도 ‘우리말 우리글’로 책을 내거나 새뜸(신문)을 엮거나 배움책(교과서)을 엮을 생각을 터럭만큼도 안 한 글바치(지식인·문인·기자)가 엄청나게 많습니다. 이들은 무척 오래도록 새까맣게 한자를 드러내어 새뜸을 엮고 책을 썼지요. 열린배움터(대학교)에서 쓰는 글(논문)도 우리말·우리글로 쉽게 쓰면 안 받아주었는데, 이 흐름은 오늘날까지 그대로입니다. 《미 군정기의 한글 운동사》는 1945∼1948년 사이에 우리말을 도로 찾으려고 애쓴 사람들 땀방울하고 발자취를 갈무리하면서, 우리말을 굳이 도로 찾지 말고 ‘일본말·일본 한자말’을 마흔 해 가까이 써서 익숙하니까 그대로 쓰자고 외친 글바치 이야기까지 나란히 묶었습니다. 책이름은 “한글 운동사”이지만, “한글 투쟁사”라고 해야 옳구나 싶어요. 더구나 벼슬꾼(공무원)하고 길잡이(교사)도 으레 ‘그동안 익숙하게 쓴 일본말·일본 한자말을 왜 버리냐?’고 따졌다니, 스스로 수렁에 다시 갇힐 뻔했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2022.4.19.

숨은책 661


《수도생활》

 남자수도회연합회·여자수도회연합회 엮음

 분도출판사

 1969.7.10.



  굳이 말하지 않고, 누가 물어도 잘 대꾸하지 않는데, 우리 곁님은 푸른배움터(고등학교)를 다니다가 그만두고서 오랫동안 집밖에 안 나오면서 마음앓이를 깊이 했습니다. 곁님 어버이하고 곁님이 다니던 배움터 길잡이는 “그냥 대학교에 들어가면 좋겠는데!” 하면서 하소연만 했다지요. 마침종이(대학교 졸업장)가 대수인가요, 아이 삶길이 대수롭나요? 저도 푸른배움터를 그만두고픈 마음이 굴뚝같았지만 꾸역꾸역 참았기에, 곁님이 아름길을 꿋꿋하게 갔다고 생각해요. 이런 곁님은 드디어 어버이 집을 뛰쳐나오기로 하고서 ‘수녀원’을 알아보았습니다. 수녀원에 들어가려니 그곳에서 ‘배우자의 기도’를 먼저 하라고 시켰다는데, 어느 날 저를 만났고, 얼결에 함께 살림을 짓기로 했습니다. 마치 ‘노랫소리(The Sound Of Music)’ 이야기랄까요. 《수도생활》은 수도원·수녀원을 알려주는 책인데, 읽다가 덮었습니다.


입회자격 : ① 합법적 부모에게서 탄생한 자 ② 유전성 질병이 없고 건강한 자 ③ 고등학교 이상 졸업한 자와 그와 동등한 자격을 가진 자 ④ 성격이 선량하고 유순한 자로서 품행이 단정하고 영세 입교한 지 3년 이상 경과한 자 ⑤ 연령은 만 18세부터 30세까지(단, 경우에 따라서는 예외도 있을 수 있다) (122쪽)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2022.4.19.

숨은책 662


《젊은 知性人들에게》

 유진오 글

 신암문화사

 1980.7.30.



  1906년에 태어나 1987년에 숨을 거둔 유진오라는 분은 1932년에 〈김강사와 T교수〉를 썼습니다. 뒷짓에 헛짓을 해대는 이를 부드러우면서 날카롭게 꾸짖는 줄거리입니다. 그러나 이녁은 스스로 쓴 글에 나오는 ‘김 강사’가 아닌 ‘T 교수’ 꼴을 보였어요. ‘조선문인보국회 발기인’에 ‘국민총력조선연맹 상무간사’에 ‘조선언론보국회 평의원’으로 드날렸어요. 일본바라기(친일부역)를 실컷 하고서는 스스로 뉘우치는 빛이 없이, 1948년에 우리나라 으뜸길(헌법)을 닦았습니다. 나중에는 ‘전두환 국정자문위원’까지 맡으며 온갖 힘자리(권력층)에 붙으며 끝까지 엉너리였습니다. 푸른배움터(고등학교)를 다니던 1991∼1993년에는 이런 민낯을 알려주거나 가르친 길잡이를 못 만났습니다. 나중에 혼자 이 책 저 책 찾아서 읽으며 하나하나 알아냈습니다. 힘맛은 그렇게 달콤했을까요? 돈맛이나 이름맛도 더없이 달달했을까요? 젊은날부터 힘켠에 서면서 낮은이를 억누르는 붓끝을 휘두른 분이 1980년 5월 광주가 지난 지 얼마 안 되어 《젊은 知性人들에게》를 선보입니다. 아름답지도 착하지도 깨끗하지도 빛나지도 않은 길을 걸은 늙은이가 젊은이한테 무슨 귀띔을 하려는 뜻이었을까요. 힘(권력)은 머잖아 사그라들게 마련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2022.4.17.

숨은책 657


《Kazakstan nuclear tragedy》

 Yuri Kuidin(유리 이와노비치 꾸이진) 글·사진

 Юрий Иванович Куйдин(반핵 생물학 협회 폰드)

 1997.



  커다란 덩이인 ‘소련(소비에트 연합)’이던 무렵, 큰덩이를 거머쥔 우두머리는 ‘사람이 적게 사는 들판’을 골라 핵실험을 숱하게 했습니다. 1991년에 소련은 풀리고, 여러 나라가 홀로서기를 합니다. 이 가운데 ‘카자흐스탄’이 있습니다. 소련은 바로 이 카자흐스탄 들판에서 끔찍한 짓을 일삼았고, 핵실험 뒤앓이로 죽거나 몹시 앓는 사람이 수두룩해요. 2010년 8월 29일 ‘핵실험 반대날’을 처음으로 외쳤다고 합니다. 《Kazakstan nuclear tragedy》는 소련이 ‘나라(중앙정부)’란 이름으로 얼마나 몹쓸짓을 일삼았는가를 낱낱이 짚으면서 카자흐스탄이 왜 ‘핵실험·핵무기 반대’를 외치는지를 들려줍니다. 이름을 바꾼 러시아는 2022년에 우크라이나로 쳐들어갑니다. 그들이 그동안 어떤 짓을 일삼았는지 뉘우치는 빛이 없이 싸움질을 해대요. 러시아도 미국도 유렵도 중국도 일본도 싸움연모(전쟁무기)를 어마어마하게 거느립니다. 남녘도 북녘도 싸움연모를 허벌나게 거느립니다. 핵무기뿐 아니라 모든 싸움연모는 ‘무기실험’을 해요. 들숲바다에서 몰래 하지요. 우리나라는 전남 고흥에 ‘무인군사드론시험장’을 슬며시 밀어붙였습니다. 때려부수는 총칼로 푸른별을, 우리나라를, 이웃과 숲바다를 지킬까요? 아니면 그저 부술까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