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스러운 마음
김기란 지음 / 책읽는수요일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책으로 삶읽기 634


《자연스러운 마음》

 김기란

 책읽는수요일

 2020.8.31.



세상일이 험난하고 / 사람살이 고단하여 / 가는 걸음 더디고도 무겁지만, // 가벼운 바람 한 줄기 불어올 때 / 구김 없던 고운 마음 넓게 펼치어 / 천리 길의 설움을 그려 내리네. // 세 뼘 하고도 세 뼘 … / 아홉 뼘 우주에 앉아 바라보니 / 그날의 별들이 맑게 빛난다. (12쪽)


툭툭 투툭 툭 / 툭툭 // 작은 물방울이 스미는 밤. (悲/21쪽)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하고 묻는 이웃님이 있으면 “뜻하는 대로 하시면 돼요”나 “가장 즐거울 길을 가면 돼요” 하고 이야기한다. 두 가지 길에서 머뭇거린다면 “스스로 사랑이 되는 길을 가면 돼요” 하고 덧붙인다. 우리 뜻, 즐거움, 사랑, 이 세 가지 빼고 뭘 더 생각해야 할까? 무엇을 더 따질까? 어떻게 해야 좋을는지가 아닌, 어떻게 해야 이바지할지가 아닌, 스스로 세운 뜻하고 즐거운 길하고 사랑하는 삶으로 나아가면 된다. 《자연스러운 마음》(김기란, 책읽는수요일, 2020)을 죽 읽으면서 글을 쓰고 그림을 그린 분은 무엇을 ‘자연’이라고 여겼을까 하고 돌아본다. 오늘날 숱한 분들이 ‘자연’이란 말을 참 흔히 쓰는데, 이 한자말이 무엇을 가리키고 어떻게 누가 지은 말인지 생각해 본 적이 있을까? 이 일본스러운 한자말이 퍼지기 앞서 이 땅에서 수수하게 살림을 지으며 사랑을 속삭인 사람들이 쓰던 말씨를 생각해 본 일이 있을까? 조금 더 부드러이 스스로 사랑해 본다면 낯빛뿐 아니라 말빛이 달라진다. 조금 더 푸른 숲처럼 생각을 가꾸어 본다면 몸짓뿐 아니라 이야기가 바뀐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직업으로서의 음악가 - 어느 싱어송라이터의 일 년
김목인 지음 / 열린책들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인문책시렁 145


《직업으로서의 음악가》

 김목인

 열린책들

 2018.11.5.



목포까지 멀리 다녀왔으니 뭐라도 써 보자며 기계적으로 노트를 폈다면 〈우리는 목포로 가고 있었네〉 같은 것을 써 놓고 기록이 경험에 비해 많이 싱겁다고 생각하고 있었을 것이다. (35쪽)


아내는 독박 육아하는 사람이 정말 원하는 것은 그런 게 아니라 아이를 맡기고 핫한 콘서트에 가는 것이라고 했다. 역시 그런 것인가. (57쪽)


어린아이에게 뭘 하고 싶으냐고, 직업으로 골라 보라는 게 얼마나 공허한 일인지 어른들은 한 번쯤 생각해 보길 권한다. 결국 중요한 것은 계속 옷을 갈아입는 꿈이 뭔지를 자신이 알아보는 것이다. (111쪽)


결혼과 육아가 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느냐고들 궁금해 하는데, 엄밀히 말해 아직 체험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고 말하고 싶다. (159쪽)



  모든 사람이 어버이가 되어 아이를 낳아야 한다고는 여기지 않습니다. “아이를 낳아야 어른이 된다”고 말하는 분이 많습니다만, 어른이 되는 길하고 어버이가 되는 길은 다릅니다. “아이를 낳으면 어버이가 됩”니다. 어른이 아니지요. 어버이하고 어른은 다른데, 이를 제대로 가르지 않는다면 다들 나이만 먹는 셈이 되는구나 싶어요.


  어버이란, 사랑받아 자라온 나날을 새로운 아이한테 물려주는 사람입니다. 어른이란, 사랑받아 살아온 나날을 새롭게 가꾸거나 짓는 사람입니다. 어른은 굳이 ‘아이한테 물려줄’ 생각을 하지 않아요. 왜냐하면, 어른이란 철든 사람인 터라, 철든 사람이 슬기롭게 살아가는 몸짓을 지켜보는 둘레 아이들은 스스로 배우거든요.


  노래하는 사람으로 일하는 길을 다룬 《직업으로서의 음악가》(김목인, 열린책들, 2018)를 읽는데, 노래 일거리란 이렇구나 하고 느끼면서도 어쩐지 여러모로 갑갑했습니다. 서울에서 목포는 얼마나 멀까요? 고흥에서 부산은 얼마나 멀까요? 아이를 낳아 돌보는 삶이란 무엇일까요? 어른으로서 하는 일하고 어버이로서 하는 일이란 무엇일까요? 어른이 짓는 살림하고 어버이가 맡는 살림은 무엇일까요?


  글쓴님한테 아이가 없다면, 아이가 없이 짝꿍하고 둘이 살면서 노래를 짓고 부르는 일만 했다면, 그러한 삶으로 책을 썼다면, 저는 이 《직업으로서의 음악가》를 다르게 읽었을 테지만, 글쓴님한테는 틀림없이 아이가 있고, 아이를 어떻게 바라보며 사랑하여 즐겁게 앞길을 함께 그리는 어버이로 지낼 적에 스스로 빛나면서 기쁜 하루일까 하는 대목이 빠졌네 싶더군요.


  곰곰이 보자면, 글쓴님은 아직 어버이도 아니지만, 어른도 아니네 싶어요. 다만, 우리가 구태여 어버이나 어른이 되어야 하지 않습니다. 반드시 철이 들어야 하지도 않습니다. 언제까지나 어린이로 살아도 좋아요. 그러면, 어른인 척하기보다는 그저 어린이처럼 살아가면 좋겠고, 어린이처럼 살아가는 이야기를 노래하기를 빕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봇과 일자리 -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나이절 캐머런 지음, 고현석 옮김 / 이음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책으로 삶읽기 633


《로봇과 일자리》

 나이절 캐머런

 고현석 옮김

 이음

 2018.3.27.



이 문제와 관련해 나는 개인적인 경험에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다. (9쪽)


바로 얼마 전에는 세계은행의 경제학자들로부터 초청장이 날아왔다. 나는 공포를 느끼면서 그들의 ‘소굴’로 갔다. 흥미로웠던 것은, 내가 말을 마쳤을 때 아무도 내게 ‘경제학’에 의하면 모든 것이 잘될 것이라고 말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11쪽)


우리는 대토론의 시작 선상에 서 있다. 어떻게 보면 이 문제는 간단하다. 그것은 로봇이 우리의 일자리를 빼앗을 것을 우리가 걱정해야 하는지 아닌지에 대한 것이다. (18쪽)



《로봇과 일자리》(나이절 캐머런/고현석 옮김, 이음, 2018)를 읽었다. 로봇 탓에 일자리를 걱정하는구나 싶으면서도, 로봇이 우리 삶자리에 얼마나 어떻게 깃들었는가부터 따지지 않으면 얘기가 샛길로 빠지기 쉽겠다고 느낀다. 셈틀도 손전화도 로봇 가운데 하나이다. 글붓이나 그림붓조차 로봇이곤 하다. 빨래틀은 어떤가. 요새는 비질을 맡는 로봇이 있고, 먹을거리를 채우는 로봇이 있다. 오늘날에는 ‘로봇을 만들고, 팔고, 다루고, 고치고, 알리는 일자리’가 엄청나게 많다. 씽씽이(자동차)조차 로봇이 될 뿐 아니라, 어디에서나 웬만한 일자리는 ‘로봇하고 얽힌’다. 다시 말하자면, 로봇 탓에 일자리가 사라질 일이란 없는데, 우리 스스로 ‘일’이 무엇인가를 자꾸 잊은 채 서울키우기(도시확장)에 사로잡힌다면, 머잖아 ‘로봇을 만들고 다루고 고치고 알리는 일자리’조차 로봇이 하겠지. 사람이라면 숲살림을 알아야 한다. 숲살림을 모르는 채 서울살림으로만 가면 이런 책이 자꾸자꾸 나오겠네 싶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의 작은 화판 - 권윤덕의 그림책 이야기
권윤덕 지음 / 돌베개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인문책시렁 141


《나의 작은 화판》

 권윤덕

 돌베개

 2020.5.29.



나는 이 책을 만들면서, 마치 이 일을 하려고 그동안 여러 사람을 만나고 도움을 받고 배운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22쪽)


《엄마, 난 이 옷이 좋아요》를 그리고 쓰면서, 지우고 싶었던 나의 어린 시절에도 아름답게 반짝거리며 빛을 내는 소중한 일상이 있었다는 걸 발견했다. (61쪽)


내가 상상했던 대로 중국집 주방은 황홀했다. 요리사가 일하는 모습은 멋졌다. 나는 이런 것들을 글과 그림에 담았다. (175쪽)


어린이들에게 전쟁이 나쁘다고 말하면서 어른들은 갖은 이유를 들어 계속 전쟁을 벌이고, 환경을 보호해야 한다고 가르치면서 자신은 더 많은 부를 위해 환경파괴를 아랑곳하지 않는다. (221쪽)


사실 어린이들은 ‘배틀그라운드’ 게임에 익숙해 있었고, 총은 이미 일상에 깊숙이 들어와 있었으며, 총에 대한 정보는 어디나 널려 있었다. (328쪽)



  2020년대로 접어든 요즈음 우리나라에서는 ‘어른끼리 즐기는 그림책’이 꽤 나옵니다. 그림책을 어린이만 즐길 까닭이 없으니 ‘어른끼리 즐기는 그림책’을 얼마든지 그려낼 만하지요. 다만 ‘그림책이 왜 그림책인가’를 조금 더 헤아린다면 ‘어린이하고 어른이 어깨동무하는 살림길을 노래하는 그림책’으로 피어나리라 봅니다.


  그림책은 그림으로 이야기를 짓는 책입니다. 삶을 읽은 눈길을 그림으로 들려주고, 삶을 읽어낼 눈빛을 그림으로 담아내는 그림책이지요.


  글에 앞서 그림이 있습니다. 글이란 그림을 간추려서 수다를 피우는 무늬라고 할 만해요. 그림은 수다스럽지 않습니다. 그림 한 칸에 온갖 이야기를 품어 느긋하면서 넉넉하게 나누거든요.


  어른끼리 나누는 그림이 있습니다만, 그림책이 오늘날처럼 널리 퍼지고 읽히는 바탕은 바로 ‘이야기를 포근하게 품으면서 함께하는 길’로 그림책이 매우 좋기 때문이에요. 글은 따로 익혀야 하고 겨레나 나라마다 다릅니다. 이와 달리 그림은 글을 몰라도 누려요. 그림은 겨레나 나라를 가로지릅니다. 그림은 사람뿐 아니라 풀꽃나무랑 풀벌레랑 새랑 들짐승도 누리지요. 그야말로 울도 담도 없는 그림인 터라, 그림은 늘 ‘가장 여리거나 작지만 가장 빛나고 사랑스러운 숨결’하고 어깨동무하는 길을 걸었어요.


  《나의 작은 화판》(권윤덕, 돌베개, 2020)은 그림책을 짓는 길을 꾸준히 걸어가는 분이 이녁 발자취를 더듬는 이야기꾸러미입니다. 어떻게 처음 그림책 지음길로 접어들었는가를 밝히고, 여러 그림책을 지은 살림을 보여줍니다. 손수 지은 그림책을 둘러싼 곁이야기를 들려주고, 앞으로 새롭게 짓고 싶은 그림책 꿈을 차분히 적습니다.


  그림책을 짓는 분은 그림으로 여태 모든 말을 털어놓았어요. 먼저 그림책을 보면 그림님 마음을 환히 헤아릴 만합니다. 그런데 그림책 지음이로서 글책을 따로 썼다면, 그림책을 짓는 동안 새롭게 배운 삶이며 살림이며 사랑이 있다는 뜻이겠지요. 《나의 작은 화판》을 읽으며 바로 이 대목을 눈여겨보려 하는데, 뜻밖에 이러한 생각은 얼마 안 되지 싶습니다. 그림책이 나아갈 길, 그림책을 누리는 눈썰미, 그림책으로 가꾸는 터전, 반갑거나 아쉬운 그림책, 그림이라는 이야기로 펼 수 있는 꿈이며 사랑, 이 같은 대목을 깊고 넓게 짚지는 않는구나 싶어 살짝 아쉽기도 합니다.


  더 헤아려 보면 책이름에 ‘나의’란 일본 말씨를 넣은 대목도 아쉽습니다. ‘화판’이란 말도 썩 어린이하고 어깨동무할 만한 말씨는 아니지 싶습니다. 그림책을 그리는 길이니 ‘그림판’이란 이름이면 되는걸요. “내 작은 그림판”이지요. “이 작은 그림판”이고요. 그림책을 그림으로만 엮기도 하지만, 글을 가만히 보태어 ‘글·그림’으로 엮기도 합니다. 그림 못지않게 ‘글에 담아 마음에 씨앗으로 심을 말 한 마디’를 한결 깊고 새롭게 살피시면 좋겠습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자와 생쥐가 한 번도 생각 못 한 것들
전김해 지음 / 지식과감성# / 2020년 4월
평점 :
절판


숲노래 책읽기

인문책시렁 142


《사자와 생쥐가 한 번도 생각 못 한 것들》

 전김해

 지식과감성

 2020.4.24.



사자는 책을 덮고 혼자 중얼거렸어요. ‘작은 생쥐가 밀림의 왕인 나를 구해 줄 수 있다니, 이것은 한 번도 생각해 보지 못한 일이야.’ (10쪽)


“바다에도 사자가 살고 있다고? 이것은 한 번도 생각해 보지 못한 일이야.” 사자는 혼자서 중얼거렸어요. (32쪽)


“천박한 땅의 세계 사람이라고요? 나무꾼님은 이 대자연의 리듬을 유지해 주는 숲속의 대장인걸요. 나무와 꽃들, 온갖 동물들이 나무꾼님의 조화로운 돌봄 아래서 만족스럽게 살아가고 있어요.” (94쪽)


“아버지! 이들이 나무꾼님을 만나도록 일부러 꾸몄을지라도, 결국 나와 나무꾼님이 사랑해서 이루어진 일이에요.” (136쪽)


“더 이상 줄 수가 없다. 천 번 만 번 기회를 주어 다시 하늘 세계로 돌아오게 하여도 너는 모자라서 다시 땅의 세계로 돌아가게 될 뿐이다.” (160쪽)



  뚜벅뚜벅 걸어다니는 오늘, 어떻게 두 다리를 놀려 걸을 수 있었나 하고 생각하지 않습니다만, 다리를 절거나 다칠 적에 새삼스레 돌아보지요. 갓 태어나 어버이 품에서 천천히 자라는 동안 ‘나만 빼고 다 걸어다니네?’ 하고 생각하면서 ‘나는 언제 저렇게 걸으려나?’ 하는 생각을 잇고 ‘저 사람들(어른)이 걷는 몸짓을 잘 보자. 잘 보면서 그 몸짓을 마음에 새기고 이 몸에 기운을 끌어올리면 걷는 날이 오겠지?’ 하면서 하루를 보내었지 싶습니다.


  우리가 아기였을 적을 떠올릴 수 있을까요. 어머니 몸에서 천천히 자라다가 어머니 몸에서 나와 ‘다른 몸’으로 살아가려고 마음을 다진 날을 되새길 수 있을까요? 우리는 어떻게 어머니 몸에서 자라다가 바깥으로 나와서 새롭게 이 삶을 누리는 ‘어버이하고 다른 넋’이 될 수 있었을까요?


  생쥐를 생쥐로만 바라보던, 아니 ‘늘 아는 대로’만 생각하던 사자가 있었다고 해요. 이 사자가 어느 날 ‘여태 생각하지 못한 길’을 처음으로 마주하면서 하루를 새롭게 살아간다는 줄거리를 들려주는 《사자와 생쥐가 한 번도 생각 못 한 것들》(전김해, 지식과감성, 2020)을 읽습니다. 사자뿐 아니라 생쥐로서도 여태 생각하지 못한 일이 많겠지요. 처음 보고, 처음 느끼고, 처음 맞닥뜨리면서, 처음으로 해보는 일도 많을 테고요.


  낯설기에 고개를 저을 수 있습니다. 낯설기에 선뜻 나서면서 해볼 만합니다. 아직 모르니 섣불리 안 다가설 만합니다. 아직 모르니 기꺼이 다가서면서 즐길 수 있어요. 뭔가 자꾸 어긋나니 고개를 떨구면서 손사래치곤 합니다. 뭔가 자꾸 어긋나기에 더욱 기운을 내어 ‘자, 그러면 이다음에는 어떻게 새로 해볼까?’ 하는 마음으로 활짝 웃기도 합니다.


  두 갈래 가운데 어느 쪽으로 가든 우리 삶입니다. ‘잘’이나 ‘안’이 아닌, 잘되고나 안되고가 아닌, 언제나 새로 맞이하는 살림이지요. 그나저나 《사자와 생쥐가 한 번도 생각 못 한 것들》은 사자하고 생쥐에다가 나무꾼 이야기를 곁들이면서 틀을 넓히는데요, 조금 가볍게 살을 덜어 단출히 엮으면 어떠했을까 싶습니다. 그림책 《생쥐와 고래》가 있어요. 아모스와 보리스 둘이 얼크러지는 깊고 너른 이야기처럼 사자하고 생쥐 사이에서도 생각날개를 활짝 펼치면서 이야기꽃을 엮는다면 한결 좋겠다고 봅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