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의 메시지
누구의 메시지인지 확인하여 → 누구 말인지 살펴
어제의 메시지를 다시 읽고서 → 어제 글월을 다시 읽고서
‘메시지(message)’는 “1. 어떤 사실을 알리거나 주장하거나 경고하기 위하여 보내는 전언(傳言). ‘교서’, ‘성명서’, ‘전갈’로 순화 2. 문예 작품이 담고 있는 교훈이나 의도 3. [언어] 언어나 기호에 의하여 전달되는 정보 내용”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의 + 메시지’라면 ‘-의’를 털고서 ‘알림말’이나 ‘속뜻·뜻’이나 ‘말·말씀·이야기·얘기’로 고쳐쓰면 됩니다. ‘글·글월’로 고쳐써도 돼요. ‘쪽글·쪽글월·쪽뜻’으로 고쳐쓸 만합니다. ‘몇마디·한마디’로 고쳐써도 어울립니다. ‘조각글·사잇글·샛글’이나 ‘손바닥글·작은글’이라 할 만하고, ‘도막·도막글·토막·토막글’이라 해도 어울립니다. ㅍㄹㄴ
먹음직하게 구워 달라는 꽁치 영의 메시지입니다
→ 먹음직하게 구워 달라고 꽁치 넋이 말합니다
→ 먹음직하게 구워 달라고 꽁치 넋이 바랍니다
《경계의 린네 26》(타카하시 루미코/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18) 142쪽
며칠 후 아름이 엄마에게 희망의 메시지가 왔습니다
→ 며칠 뒤 아름이 엄마가 밝은 얘기를 들려줬습니다
→ 며칠 뒤 아름이 엄마가 반가운 말을 했습니다
《너의 마음을 들려줘》(혜별, 샨티, 2018) 109쪽
인터뷰이들 역시 숱한 시행착오를 겪었음에도 조금씩 나아지고 있다는 희망의 메시지를 전해주었다
→ 사람들은 숱하게 부딪혔어도 조금씩 나아진다고 얘기해 주었다
→ 이분들은 숱하게 넘어졌어도 조금씩 나아진다고 들려주었다
《남자가 많은 곳에서 일합니다》(박진희, 앤의서재, 2024) 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