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노래 21. 하늘을 날다



  우리 집 두 아이한테 으레 ‘놀이순이·놀이돌이’ 같은 이름을 붙여서 부릅니다. 아이들이 노는 모습을 지켜보면 이 아이들은 참말로 ‘날순이·날돌이’로구나 싶습니다. 하늘을 훨훨 날고 싶은 꿈으로 신나게 바람을 가르면서 펄쩍펄쩍 뛰며 노래합니다. 이 같은 날순이 모습을 보다가, 나도 어릴 적에 날돌이가 되어 놀았구나 하고 깨닫습니다. 이리하여, 하늘을 나는 아이를 뒤에서 바지런히 좇다가 사진을 한 장 두 장 찍는 내 손길은, 오늘 이곳에서 노는 우리 아이를 찍는 사진일 뿐 아니라, 아스라한 지난날 저곳에서 내가 아이로서 뛰논 모습을 찍는 사진입니다. 4348.7.16.나무.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사진말)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appletreeje 2015-07-16 23:48   좋아요 0 | URL
정말 사진만 보아도, 싱그럽고 함께 마음이 나는 것 같아요~*^^*

숲노래 2015-07-16 23:54   좋아요 0 | URL
지지난해 사진인데
이제서야 이 사진을 다시 보고는
저 스스로 놀라면서
눈물하고 웃음이 함께 나왔어요.
 

사진노래 20. 할머니 손을 거쳐서



  할머니가 아이한테 씨앗을 건넵니다. 아이는 할머니한테서 받은 씨앗을 손바닥에 곱게 올려놓고 한 톨씩 살살 집어서 흙으로 옮깁니다. 밭에서 함께 일하니 밭순이가 된 시골순이는, 씨앗을 심는다기보다 아주 곱게 천천히 옮깁니다. 어느 모로 보면 느린 몸짓이지만, 땅에 심는 씨앗을 한 톨씩 낱낱이 살피면서 아끼는 숨결이라고 할 만합니다. 후딱 끝내야 하는 밭일이 아니라, 기쁜 넋으로 곱게 하는 씨앗심기가 될 때에, 나중에 이 씨앗이 자라서 맺는 열매를 고맙게 얻습니다. 할머니 할아버지한테 흐르는 핏줄이, 먼먼 옛날부터 흐르는 핏줄이, 오늘 이곳에 있습니다. 4348.7.16.나무.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사진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시로 읽는 책 225] 사회제도



  너랑 내가 함께 짓는

  사랑스러운 살림으로

  곱게 보금자리



  사회제도 때문에 혼인을 해야 하지 않습니다. 집안이 좋다든지 돈 걱정을 안 해도 되어 혼인을 해야 하지 않습니다. 집안을 따져서 혼인을 하면, 집안 걱정은 안 하겠지만 다른 걱정이 찾아옵니다. 돈 걱정을 안 해도 되도록 혼인을 하면, 돈 걱정은 안 할 테지만 다른 걱정이 있습니다. 어떤 삶이 즐거울까요? 어떤 삶에서 사랑이 샘솟을까요? 어떤 삶에서 노래가 흐르며 웃음꽃이 피어날까요? 사회제도나 사회의식을 따지면 따질수록, 삶하고 사랑이 모두 멀어지거나 잊혀집니다. 4348.7.16.나무.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진노래 19. 물끄러미 바라보는 그림



  가위질을 하고 싶어서 종이만 보았다 하면 오리는 작은아이는, 그림놀이를 즐기는 누나 옆에 엎드려서 그림 두 점을 그립니다. 방바닥에는 작은아이가 갖고 놀다가 그대로 둔 장난감이 하나씩 늘어나고, 종잇조각이 널브러지며, 마무리로 그림 두 점을 놓습니다. “잘 그렸다. 아버지 보여주면 좋아할 거야.” 큰아이가 작은아이한테 ‘다 들리는 귓속말’을 합니다. “아버지, 자, 다 그렸어. 한번 봐 봐.” 작은아이가 빚은 그림에서 흐르는 이야기를 물끄러미 바라봅니다. 바알갛고 새까만 빛으로 하나씩 테두리를 북북 매기면서 힘껏 새겨넣은 이야기를 읽습니다. 4348.7.14.불.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사진말)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blanca 2015-07-15 14:28   좋아요 0 | URL
아버지, 라는 호칭이 정겹네요. 큰 애 한창 말 배울 때 `아부지`라 부르게 했던 기억도 나고요.

숲노래 2015-07-15 17:08   좋아요 0 | URL
그러게요. `아부지`라고 해도 재미있어요.
아부지 어무니
아바이 어무이
~~
 


사진노래 18. 오늘 이곳에서 내 사진



  사진 한 장을 잘 찍든 못 찍든 대수롭지 않을 줄 느끼기 쉬울 수 있고,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제 막 한글을 익히는 아이가 글씨를 잘 쓰든 못 쓰든 대수롭지 않은 줄 안다면, 사진찍기도 이와 비슷하구나 하고 알아차립니다. 즐겁게 글놀이를 하다 보면 어느새 글쓰기가 재미있고, 글씨도 정갈하게 거듭납니다. 즐겁게 살림을 꾸리면서 사진을 찍다 보면 어느새 사진찍기가 재미있으며, 내 사진 한 장에 싱그러우면서 맑은 기운이 흐릅니다. 빨래를 널면서 하늘을 올려다보는 오늘 이곳에서 사진을 찍습니다. 등허리를 톡톡 두들기면서 펴다가 하늘숨을 마시며 웃습니다. 4348.7.14.불.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사진말)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hnine 2015-07-17 07:58   좋아요 0 | URL
저 이 사진 참 맘에 드네요. 여백을 살리신 것도 좋고, 정지된 화면이지만 빨래감의 움직임이 느껴지고요. 그 움직임때문에 보는 사람 마음도 펄럭이는 것 같은 효과를 주는 것도 좋아요.

숲노래 2015-07-17 08:32   좋아요 0 | URL
작은아이가 아직 기저귀를 대던 무렵 사진인데,
지난달에 전라도닷컴에 빨래 이야기를 쓰고 사진을 보내 주며
옛 사진을 뒤적이다가 문득 새롭게 보았어요.

이 사진을 찍을 적에,
바지랑대도, 구름도, 하늘도, 전깃줄도,
마당에 있는 후박나무도
참 잘 어울리네 하고 느껴서,
마당에 드러누워서 찍었어요~ ^^